2007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높이 42㎝, 무릎 너비 22.1㎝.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큰 편이며, 갸름한 얼굴에 비교적 긴 상체, 높고 안정감 있는 무릎의 표현 등이 특징인 조선시대의 보살상이다.
간월암 목조보살좌상은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큰 비례를 보이지만, 상체가 길고 무릎이 높아 균형감과 안정감이 느껴진다. 머리에는 화려한 관대가 휘날리는 보관을 쓰고 있지만 제작 당시의 것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얼굴은 둥글고 갸름한 형태로 작은 눈과 긴 코 그리고 미소를 머금은 입은 자연스러우면서 부드러운 인상이다. 머리에는 높은 상투머리[寶髻]가 뒤로 살짝 말린 채 솟아 있고 한 가닥의 머리카락은 귀 중간을 가로질러 어깨 위에 걸쳐져 있다. 어깨는 좁고 허리는 긴 편이며, 착의는 양어깨를 덮은 변형 통견식 대의에 수평의 승각기와 편삼자락이 무겁게 늘어져 있다. 높고 각진 무릎에는 단순하게 처리된 옷주름이 흘러내린다.
이 보살좌상은 타원형의 얼굴에 부드러운 인상, 안정감 있는 신체 표현이 특징이며, 나무 자체의 무게도 가벼운 특성을 보인다. 불상의 밑바닥에는 복장공이 남아 있다. 목조보살좌상의 제작 시기는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양식적인 특징상 16~17세기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간월암 목조보살좌상은 정확한 제작 연대나 상을 만든 조각승은 알 수 없으나 부드러운 인상과 길쭉한 신체 비례 등에서 16~17세기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보존 상태도 좋은 편으로 조선 후기 불교조각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