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환희사 석불 입상 (서울 )

조각
유물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환희사 용화전에 봉안되어 있는 고려시대 석불입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환희사 석불입상(歡喜寺 石佛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6년 09월 14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환희사 용화전에 봉안되어 있는 고려시대 석불입상.
개설

2006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불상 높이 117.5㎝.불상과 함께 광배가 한 돌에 조각된 석불입상이다. 전체적인 조각 수법은 투박한 편이고 얼굴 표현 등을 바탕으로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석불입상은 현재 환희사 용화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하단 부분과 광배 뒷면을 바닥과 벽면에 시멘트로 고정한 상태이다. 석불입상의 측면에는 사각의 홈이 좌우에 하나씩 남아 있다. 상의 원래 위치는 알 수 없으며, 관련 기록도 남아 있지 않다.

하나의 돌을 이용해 광배와 불상을 저부조로 조각했는데, 전체적으로 투박한 느낌이다. 광배는 여러 겹으로,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을 각각 따로 조각했다. 이중으로 조각한 두광은 안쪽에는 연꽃무늬를 새겼고, 바깥쪽 두광에도 연꽃잎 형태를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광 역시 이중으로 조각했고, 바깥쪽 신광은 자유로운 곡선으로 흘러내린 듯 표현하고 있어 독특하다.

얼굴은 둥근 형태이고 눈, 코, 입은 마모가 심하다. 소발(素髮)의 머리 가운데에는 육계가 높게 솟아 있다. 목에는 삼도를 표현했고 양쪽 어깨를 모두 덮은 통견(通絹)의 착의법을 보이고 있다. 옷주름은 몇 가닥으로 간략하게 표현되었으며 U자 형태로 반복되는 옷주름도 보인다. 수인은 왼손을 가슴 높이로 들어올리고, 오른손은 손바닥을 바깥 방향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내린 형태이다.

특징

전체적으로 저부조로 조각되었으며, 옷주름이나 수인, 얼굴 표현 등은 간략하게 처리되었다. 광배 표현이 독특한데, 이중의 형태에 연꽃무늬까지 추가로 조각되어 있다. 얼굴 부분은 마모가 심하지만,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로 볼과 턱에 양감이 강조된 점도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하나의 돌을 이용해 광배와 불상을 함께 조각한 사례로, 세부적인 표현이나 조각 수법은 다소 투박하다.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불입상의 양식적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작품으로, 비교적 늦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문화재』서울특별시(문화재청·(재)불교문화재연구소, 2012)
『문화유적분포지도』서울특별시(서울역사박물관, 2006)
집필자
민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