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감황은편 ()

조선시대사
문헌
승문원에서 원인손과 채제공이 영조의 명으로 명나라의 제문 · 고명 · 칙서 등의 조칙을 모아 1769년에 간행한 어제.
이칭
이칭
황은편
정의
승문원에서 원인손과 채제공이 영조의 명으로 명나라의 제문 · 고명 · 칙서 등의 조칙을 모아 1769년에 간행한 어제.
개설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의 명에 의하여 원인손(元仁孫, 1721∼1774)과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이 1392년(태조 1)부터 1637년(인조 15)까지 약 240년 동안 명나라에서 보내온 제문(祭文)·고명(誥命)·칙서(勅書)·지장(誌狀) 및 예부(禮部)의 자문(咨文) 등을 모아 1769년 승문원(承文院)에서 간행한 어제서이다.

편찬/발간 경위

1769년 승문원 방문을 통해 과거 명나라의 조칙과 청나라의 조칙이 한 곳에 섞여서 보관되고 있는 사실을 발견한 영조는 명나라가 멸망한 지 100년이 지났지만, 존주(尊周)의 마음을 한 번도 잊은 적이 없다면서 명나라 황제의 조칙과 청나라의 조칙이 섞여 있는 것은 옳지 않으니, 명나라의 조칙만을 별도의 책으로 만들라고 지시하였다. 이에 따라 원인손과 채제공이 공역을 감독하였고 승문원에서 간행되었다.

서지적 사항

2책. 금속활자본. 권말에는 1769년에 쓴 영조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조선 국왕의 행장(行狀)을 적은 다음 명나라에서 보내 온 선왕이나 왕후에 대한 제문(祭文), 고명(誥命)·금인(金印)을 하사(下賜)하는 칙서(勅書), 그 밖의 자문(咨文) 등을 연대에 따라 수록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명나라가 멸망한 지 한 세기가 지난 18세기 중엽 조선의 지배층들은 명나라에 대한 강한 추념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았다. 영조 역시 이런 분위기에 동참하고 있었는데 1741년(영조 17)에 북경본 『역대통감찬요(歷代通鑑纂要)』에 찍힌 명나라 황제의 어보(御寶)를 보고 감회에 젖거나, 또 1743년(영조 19)에 직접 하황은(荷皇恩) 3장을 지었던 모습은 그런 영조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본서의 편찬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국왕이 명나라에 대한 존숭의 마음을 강조한 것은 과거 황제에 대한 지속적인 정성을 보임으로써 신하들의 국왕에 대한 충성을 더 이끌어내려는 정치적인 의도도 일부 내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추감황은편(追感皇恩篇)』
『영조실록(英祖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허태용, 아카넷, 200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