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문 ()

조선시대사
작품
1596년(선조 29) 통신사(通信使) 황신이 일본 본토로 가던 중 험한 바다 물길을 만나 바다의 신에게 맹세한 글.
정의
1596년(선조 29) 통신사(通信使) 황신이 일본 본토로 가던 중 험한 바다 물길을 만나 바다의 신에게 맹세한 글.
구성 및 형식

변려체로 쓰인 작품으로, 11구가 대우(對偶)를 이루고 있다. 변려문의 특성은 고사 인용을 많이 하고 수사에 치우치는 것이 특징이지만, 황신의 서해문은 어려운 고사 인용이 전혀 없으며 꾸밈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내용

황신(黃愼, 1562~1617)의 자는 사숙(思叔), 호는 추포(秋浦), 본관은 창원이다.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1588년(선조 21) 알성시에 급제한 뒤 감찰을 비롯해 정언 등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 때에는 웅천(熊川)의 일본군 진영에 2차례 파견된 바 있으며, 1596년에는 통신사로 파견되었다.

「서해문」은 황신이 통신사로 파견되었을 때 작성된 글이다. 1596년(선조 29) 8월 통신사로 임명되어 일본 본토로 가던 중 대마도와 일기도 사이의 바다에서 바람과 파도를 만나 배가 거의 뒤집히는 상황에서 지은 것으로, 「서해문」을 지어 바다의 신에게 고하고 제사를 드리자 바람과 파도가 수그러들었다고 한다.

글의 내용을 보면, 먼저 “늑대와 범이 우글거리는 속에서 이미 2년을 지켰는데”라며 앞서 2년 동안 일본군 병영에 왕래했던 사실을 기록하고 또 다시 몸을 바칠 각오로 통신사의 임무를 띠고 일본에 향하고 있음을 말하였다. 이어 당시 노정과 자신의 나이를 대우하여 실제적인 일을 기술하고 있으며, 사직의 안녕과 나라에 이롭다면 죽는 것 또한 사양하지 않겠다는 의지 속에서 국가관을 표현하였다.

현황

「서해문」은 황신의 문집인 『추포집』권2에 제문으로 분류되어 수록되었다. 또한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고문서집성 9: 창원황씨편』에 수록되었다.

의의와 평가

「서해문」은 급박한 상황을 극복하려는 황신의 의지와 함께 국가관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문체상으로는 규칙을 준수하는 동시에 내용이 충실한 이상적인 변려문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추포집(秋浦集)』
『해행총재(海行摠載)』
『고문서집성 9: 창원황씨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추포 황신의 삶과 문학」(박우훈, 『한문학논집』12, 근역한문학회, 1994)
한국학자료센터(archive.kostma.net)
집필자
이근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