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운궁 복제론 ( )

조선시대사
사건
1626년(인조 4) 인조의 생모인 계운궁이 사망하자, 국왕의 상복을 둘러싸고 제기된 복제(服制) 논쟁.
정의
1626년(인조 4) 인조의 생모인 계운궁이 사망하자, 국왕의 상복을 둘러싸고 제기된 복제(服制) 논쟁.
개설

계운궁은 인조(仁祖)의 생모로, 1626년에 사망하자 국왕의 상복(喪服)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이는 인조가 반정으로 왕위에 오르게 되면서 왕통상으로는 선조(宣祖)를 계승하였으나, 혈연적으로 계운궁(啓運宮)의 아들이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이다.

역사적 배경

계운궁 복제론은 인조가 반정으로 왕위를 계승한데서 비롯되었다. 인조는 선조의 왕자인 정원군(定遠君)의 아들이지만, 반정으로 왕위를 계승하며 종통으로는 조부인 선조를 계승하게 되었다. 따라서 인조와 사친(私親), 그리고 선조와의 관계 정립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는 인조의 왕위 계승에 대한 정통성의 문제이기도 하다.

논란은 인조 즉위 직후, 대원군(大院君)으로 추숭된 정원군의 제사 때 제문의 두사(頭辭)에서 인조가 생부를 어떻게 칭할 것인가 하는데서 시작되었다. 이때 김장생(金長生) 등 대다수는 왕위 승통을 우선시해서 인조가 정원군을 백숙부(伯叔父)로 칭해야 한다고 하였고, 박지계(朴知戒)는 정원군을 종통에 포함, 황고(皇考)라 칭해야 한다는 견해를 제출하였다. 예조에서는 양측의 견해를 절충하여 ‘칭고칭자(稱考稱子)’하자는 안을 제출하였다. 즉 ‘고(考)’라 칭하면서 ‘황(皇)’자를 덧붙이지 않고 ‘자(子)’라 칭하면서 ‘효(孝)’자를 덧붙이지 않는다면 종통과 사친 모두에게 극진한 도리가 된다는 논리였다. 결국 예조의 안이 받아들여져 시행되었으나, 향후에도 논란이 될 소지를 안고 있었고, 1626년(인조 4) 계운궁 복제 논쟁은 그 중 하나였다.

경과

1626년(인조 4) 인조의 생모 계운궁이 사망하자 인조의 상복을 두고 논란이 재연되었다. 앞서 ‘고’라 칭하였으나 여전히 ‘모(母)’로 칭할 것인지 아니면 백숙모(伯叔母)로 칭한 것인지가 문제되었다. 나아가 이는 인조의 성복(成服) 문제 및 상주(喪主)와 상구(喪具) 문제 등과 관련된 것이었다.

계운궁이 사망하기 직전 삼정승인 이원익(李元翼)·윤방(尹昉)·신흠(申欽) 등이 논의를 주도하여 삼년복에서 강복(降服)하여 부장기(不杖期)로 정하였다. 이 논의는 앞서 즉위 초 김장생이 제기했던 논점을 따른 것이었다. 인조가 혈연적으로는 선조와 조(祖)-손(孫)의 관계이지만 왕통으로 본다면 부(父)-자(子)의 관계가 되므로 사친에 대해서는 강등하여 기년복을 입어야 하고 당연히 상주가 될 수 없으므로 지팡이를 짚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인조 역시 초기에는 이들의 의견에 동조하였다. 그러나 최명길(崔鳴吉)과 이귀(李貴) 등이 이원익 등의 논의에 대해 문제를 제기, 왕통을 계승했다는 이유로 생부의 상복을 낮출 수는 없다고 하여 삼년복을 주장하였다. 또한 앞서 대원군을 ‘고’라 칭할 때 동의했던 대신들이 계운궁 복제에서는 입장을 바꾸었다고 비난하였다. 최명길 등의 주장에 힘입어 인조 역시 이에 동조하면서 삼년상은 천자로부터 서인에 이르기까지 공통된 것이라고 하며, 왕통을 계승한 뒤에도 부모라고 불렀으니 삼년상을 거행하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당시 논의에서는 기년복이 대세를 이루자 인조 역시 입장을 선회하여 기년복으로 하고 장기(杖期)로 하겠다고 하였다. 자신이 상주가 되어 집례를 하겠다는 의도로, 상주의 결정 여하에 따라 상례(喪禮)의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당시 예조와 대신 등은 의안군(義安君)에게 출계한 능원군(綾原君)을 파계귀종(罷繼歸宗: 양자 관계를 파하여 다시 원래의 친가로 돌려보내는 것)시켜 상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인조는 자신이 선조에게 출계한 것이 아니고 능원군을 파계귀종시킬 수 없다며 자신의 의도를 강하게 주장하였다. 그러나 예조 등의 의견을 꺾지 못했다.

결과

계운궁에 대한 복제는 결국 기년복으로 결정되었고, 상주도 능원군으로 결정되었다. 단, 상례 절차 및 상구의 사용 등은 모두 국장(國葬)에 준하여 왕후의 예로 시행되어 실제로는 삼년상을 거행하는 것과 다르지 않았다.

의의와 평가

이 논의는 인조의 왕위 계승에 대한 정통성 문제와 관련되어 제기된 복제 논쟁으로, 이후 현종대에 있었던 예송 논쟁에 앞선 조선 후기 최초의 복제 논쟁이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조선후기 왕위계승 연구』(이영춘, 집문당, 1998)
「17세기 전반 계운궁 복제론: 김장생·박지계의 예론을 중심으로」(이현진, 『한국사론』49,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03)
「인조초 복제논의에 대한 소고」(서인한, 『북악사론』1,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1989)
집필자
이근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