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두정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에 있는 삼국시대 이후 굴식돌방무덤과 가마터 · 건물터 관련 생활유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에 있는 삼국시대 이후 굴식돌방무덤과 가마터 · 건물터 관련 생활유적.
내용

충주두정리유적은 2007년 발굴조사결과 고구려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구들이 발견되었다. 유적에서 확인된 유구로는 고구려의 횡혈식 석실분 6기가있다. 달천과 가까운 평탄지에 입지하며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형태이다. 출토 유물로는 비교적 많은 관정과 2호와 6호분에서 출토된 단경호, 장동호, 4호분의 은제 지환 등이 있다. 이들 석실분과 출토 유물을 통해 고구려의 충주 경영이 최소한 1세대 이상 계속된 것을 알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유구로는 소성유구 4기, 성격 미상의 수혈 4기가 있다. 이들은 비교적 규모가 작은 단야유적으로 추정되며 두정리유적 주변의 야철지와 비교하여 검토할 수 있겠다. 출토 유물로는 소성유구에서 동이와 경질토기가, 수혈유구에서는 토제와 기와편 등이 있다.

조선중기의 유구로는 기와가마 1기와 원형의 소성유구 3기가 확인되었으며, 기와가마는 세장방형에 비교적 규모가 큰 가마로서 천정을 제외한 소성부, 불턱, 연소부, 전면작업장 등이 확인되고 있다. 출토 유물로는 내부에서 확인된 직선계복합선문과 청해파문을 시문한 기와들이 확인되는데, 가마의 형태와 출토유물을 통해 볼 때 15세기 전후에 조성된 기와가마로 여겨지며, 소성유구들은 가마의 부속 유적으로 추정된다. 두정리 기와가마는 조선 중기 가마로써 조선시대 충주 지역 기와가마의 변천 과정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이외에도 종형토기가 확인된 시대미상의 석축건물지가 1기가 확인되었다.

의의와 평가

충주두정리유적에서 조사된 고구려 횡혈식 석실분은 남한지역에서 그 예가 많지 않은 고구려 고분으로서 기존에 조사된 고구려 고분군의 양상과 유사한 점이 많으며 충주를 지배한 고구려에 대한 문헌기록과도 부합된다. 향후 충주고구려비 등 인근유적과 관련하여 충주지역 고구려 연구에 좋은 고고학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충주 클린에너지파크 조성부지내) 두정리 유적』(중원문화재연구원, 2008)
집필자
이훈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