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장 예복 ( )

의생활
의복
문화재
대한제국기, 육군 회계관의 참장(參將) 계급이 착용한 서구식 군복의 예복 구성품.
의복
재질
흑융(黑絨)|청색 융(靑色 絨)|가죽
제작 시기
대한제국기
관련 의례
육군의 정장(正裝)|예장(禮裝) 착용 시의 의례
소장처
육군박물관
국가등록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소재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내용 요약

참장 예복은 대한제국기 육군 회계관의 참장(參將) 계급이 착용한 서구식 군복의 예복 구성품이다. 육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20년 10월 15일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유물 구성은 예모(禮帽) 1점, 예복 상의(上衣) 1점, 대례 견장(大禮肩章) 2점이다. 예모와 예복 상의에 청색 융(絨)이 붙어 있어 육군 회계관(會計官) 병과의 군복으로 추정된다. 참장 예복은 국내에 보고된 유일한 회계관 참장의 군복이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크다.

정의
대한제국기, 육군 회계관의 참장(參將) 계급이 착용한 서구식 군복의 예복 구성품.
연원

참장 예복(參將 禮服)은 근대 육군 참장 계급의 주6 1점, 예복 주7 1점, 대례 견장(大禮肩章) 2점으로 구성되어 주1, 2020년 10월 15일에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육군 회계관(會計官)의 주8는 1895년(고종 32)에 주6, 병과색은 「육군복장규칙(陸軍服裝規則)」에 청색으로 제시되어 주3

형태 및 용도

개항(開港) 이후 대한제국기(大韓帝國期)에 육군 장교의 계급은 주9, 주10, 주11으로 나누어졌고, 더 세분하여 주12, 주13, 참장, 주14, 주15, 주16, 주17, 주18, 주19로 나누어졌다. 참장 예복은 참장의 예복으로 장교 중 위에서 세 번째 계급에 해당한다.

참장 예모는 검은색 융(絨) 바탕에 정수리에는 주20 장식을 하고 하반부는 청색 융으로 제작하였다. 상반부에는 금선양고직(金線兩股織)을 전후좌우에 세로로 각각 3줄씩 붙였고, 하반부에는 가로로 6줄 붙였다. 장관급은 세로선 3줄에 참장일 경우 가로선 7줄이지만 참장 예복은 가로선이 1줄 적다. 예모 정면에는 타원형 표장을 붙이는데 금실, 은실로 이화와 무궁화 나뭇가지를 수놓았다.

참장 예복 상의의 바탕 재질은 검은색 융이고, 옷깃, 소매 끝, 뒤트임 장식으로 청색 융을 붙였다. 밑단을 제외한 가장자리에는 청색 융으로 만든 얇은 선을 둘렀다. 옷깃에는 금실로 정도기자(正倒己字)와 일자(一字)와 별을 자수(刺繡)하였는데 장관급이기 때문에 좌우에 별을 3개씩 수놓았다. 흉부 좌우에는 금속제 단추를 7개씩 달았다. 이와 같이 두 줄 단추가 붙어 있는 형태의 상의를 더블 브레스티드(double breasted)형이라 하고, 1900년(광무 4)에 개정된 육군의 예복부터 주4. 소매의 계급장인 수장(袖章)으로는 소매 끝에 청색 융을 붙였고, 그 위에 금색의 브레이드로 정도기자 문양(文樣)을 붙였으며, 그 위에 금사양고직(金絲兩股織) 7줄을 붙였다. 인자형선(人字形線) 7줄은 참장 계급을 나타내는 것이다.

대례견장은 금사광직(金絲廣織)으로 만들었다. 장관은 대례견장에 금선(金線)으로 만든 술 장식이 있었다. 견장의 계급장은 가운데에 교차하는 나뭇가지와 태극(太極)을 두고 좌우에 금실로 별 1개씩을 자수하여 참장 계급을 나타냈다.

1897년(고종 34)에 개정된 「육군복장규칙」을 기준으로 육군의 복장에는 주30, 주31, 주32, 상장(常裝)이 있었다. 정장은 국가 경축일이나 제사를 지낼 때 등에, 군장은 전투나 군사 훈련 상황 등에, 예장은 공식적인 연회(宴會) 등에, 상장은 주33 구별 없이 항상 착용하였다. 정장은 예모, 예복 상의, 바지, 도(刀)와 도대(刀帶) 등을 착용하고 입전모(立前毛), 대례견장, 주34를 더한 차림이었고, 예장은 대례견장 대신에 소례견장(小禮肩章)을 더한 차림이었다. 참장 예복은 정장 혹은 예장으로 착용되었을 것이다.

변천 및 현황

근대 육군의 회계관은 1895년에 관제를 정하여 감독장(監督長), 주25, 감독보(監督補), 주26를 두었다. 가장 높은 감독장은 주27 4등, 감독은 주28 1~3등, 감독보는 주임 4등, 군사는 주임 4~6등 주5. 회계관의 병과색은 1895년 「육군복장규칙」에서 훈련대 회계관의 바지 봉장(縫章) 색을 청색으로 정한 것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참장 예복은 케피형의 주29에 더블 브레스티드(double breasted) 형의 웃옷이므로 1900년 개정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근대에 도입된 서구식 군복은 주21, 주22, 주23, 주24, 회계관 등 다양한 병과에 따라 병과색을 다르게 표현하여 소속을 나타냈다. 참장 예복은 육군 회계관의 유물이고, 참장(參將) 계급이라는 점에서도 희소성이 크므로 대한제국기 장교 복식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원전

『(구한국) 관보(官報)』
『고종실록(高宗實錄)』

단행본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의 군복식발달사』 1(국방군사연구소, 1997)
단국대학교부설 동양학연구소, 『구한국 관보 복식 관련 자료집』(민속원, 2011)
육군박물관, 『육군박물관 소장 군사복식』(육군박물관, 2012)

논문

이경미·노무라 미찌요·이지수·김민지, 「대한제국기 육군 복장 법령의 시기별 변화」(『한국문화』 8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박가영·이경미, 「대한제국의 상징 복식, 군복」(『강군의 염원, 대한제국 군을 다시 보다』, 육군박물관, 2021)

인터넷 자료

한국고전용어사전(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41826&categoryId=41826)

기타 자료

『2020년도 국가등록문화재 등록조사보고서』(문화재청, 2021)
주석
주1

문화재청, 『2020년도 국가문화재 등록조사보고서』(문화재청, 2021)

주2

『고종실록』 33권, 고종 32(1895)년 윤5월 24일

주3

『(구한국)관보』 제10호 개국 504(1895)년 4월 11일

주4

이경미, 노무라 미찌요, 이지수, 김민지, 「대한제국기 육군 복장 법령의 시기별 변화」(『한국문화』 8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주5

한국고전용어사전(terms.naver.com›list.nhn)

주6

예복을 입을 때 격식에 맞추어 쓰는 모자. 우리말샘

주7

위에 입는 옷. 우리말샘

주8

관리하여 통제함. 특히 국가나 공항 따위에서 필요에 따라 강제적으로 관리하여 통제하는 일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9

군사를 거느리는 우두머리. 우리말샘

주10

소령, 중령, 대령을 통틀어 이르는 말. 위관(尉官)보다 높고 장성(將星)보다 낮은 계급이다. 우리말샘

주11

준위, 소위, 중위, 대위의 초급 장교를 통틀어 이르는 말. 부사관보다 높고 영관(領官)보다 낮은 계급이다. 우리말샘

주12

한 무리의 우두머리. 우리말샘

주13

구세군 계급의 하나. 정령의 위, 대장의 아래이다. 우리말샘

주14

구세군 계급의 하나. 부장의 아래, 부정령의 위이다. 우리말샘

주15

대한 제국 때에 둔, 영관 계급의 하나. 정령의 아래, 참령의 위이다. 우리말샘

주16

구세군 계급의 하나. 부정령의 아래, 정위의 위이다. 우리말샘

주17

구세군 계급의 하나. 참령의 아래, 부위의 위이다. 우리말샘

주18

구세군 계급의 하나. 정위의 아래이다. 우리말샘

주19

대한 제국 때에 둔 위관 계급의 하나. 부위의 아래, 특무정교의 위이다. 우리말샘

주20

자두나무의 꽃. 우리말샘

주21

육군의 주력을 이루는 전투 병과. 소총(小銃)을 주 무기로 삼으며, 최후의 돌격 단계에서 적에게 돌진하여 승패를 결정하는 구실을 한다. 우리말샘

주22

말을 타고 싸우는 병사. 우리말샘

주23

육군에서, 포 사격을 맡아 하는 군대나 군인. 우리말샘

주24

군대에서 토목, 건축 임무를 맡은 부서 또는 그에 속한 군인. 우리말샘

주25

일이나 사람 따위가 잘못되지 아니하도록 살피어 단속함. 또는 일의 전체를 지휘함. 우리말샘

주26

군사령관이 지휘ㆍ통솔하여 야전군의 지휘가 이루어지는 군의 중심 본부. 우리말샘

주27

임금의 명으로 벼슬을 시킴. 또는 그 벼슬. 우리말샘

주28

벼슬아치를 임명할 때에 주무 대신이 임금에게 상주하여 윤허를 얻은 후에 임용하던 일. 우리말샘

주29

정복(正服)에 갖추어 쓰는 모자. 우리말샘

주30

정식의 복장을 함. 또는 그 복장. 우리말샘

주31

군인의 복장. 우리말샘

주32

예복을 입고 위엄 있는 몸가짐이나 차림새를 갖춤. 우리말샘

주33

공공의 일과 사사로운 일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4

드레스의 허리나 모자 따위에 장식하는 띠.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