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찰공책판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물품
조선시대, 필사본 제작 시 광곽, 계선, 어미가 있는 공책 인출을 위한 책판.
내용 요약

인찰공책판(印札空冊板)은 광곽과 계선, 어미가 있는 필사 용지를 인출하기 위해 만든 책판이다. 이 책판으로 찍어낸 인출지를 인찰공책지라고 한다. 『조선왕실의궤』를 비롯한 중앙의 주요한 필사본들은 인찰공책지에 기록하였고, 개인들도 다양한 규격의 인찰공책판을 제작해 두었다가 문집의 초고본이나 필요한 서적 등을 필사하기 위한 공책(空冊) 인출에 사용하였다. 『일기청등록』의 기록을 통해 중앙에서 제작되는 중요한 정서본은 대체로 이와 같은 인찰공책을 인쇄하여 사용하였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키워드
목차
정의
조선시대, 필사본 제작 시 광곽, 계선, 어미가 있는 공책 인출을 위한 책판.
내용

인찰공책판(印札空冊板)은 조선시대 필사용 공책을 인쇄하기 위해 제작한 책판이다. 이 책판에 먹을 발라 인쇄하면 주1과 계선, 어미 부분만 인출되어, 세로줄이 있는 필사 용지가 완성되는데, 이를 인찰공책지(印札空冊紙)라 한다. 인출한 낱장의 인찰공책지를 판심이 밖으로 향하도록 접어서 중첩하여 앞뒤 표지와 함께 선장 형태로 묶으면 인찰공책이 되는데, 지금의 필기용 노트와 같다. 공책은 인쇄하지 않고 붓으로 선을 그어서 만들기도 하였으나, 인찰공책판을 이용하면 일정한 형태의 공책을 대량으로 찍어 낼 수 있었다.

인찰공책판의 형태는 일반적인 책판과 마찬가지로 양쪽에 마구리가 달린 경우가 있고, 혹은 마구리 없이 판면의 앞뒷면 또는 한 면에 판각되어 있다. 책판에 여러 개가 판각된 경우는 크기와 모양이 약간씩 차이가 있어서 다양한 용도에 적합한 규격의 인찰공책지를 인출할 수 있었다.

인찰공책지에 원고를 필사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조선왕조의 의궤가 있다. 의궤는 대부분 필사본으로 제작되었는데, 사주단변 · 쌍변의 광곽에 화문어미(花紋魚尾)와 계선이 있는 인찰공책지에 정서되어 있다. 의궤뿐만 아니라 왕실과 중앙기관에서 제작되는 중요한 필사본들은 대체로 인찰공책지에 필사하였으며, 개인 문집의 초고본 또는 정본 등 필사본 제작 시 광곽과 계선이 있는 공책 제작에는 인찰공책판을 인출하여 사용하였다.

영조년간에 일기청에서 화재로 소실된 『승정원일기』를 개수하는 과정을 기록한 『일기청등록』에 보면, 『개수일기(改修日記)』를 정서하기 위한 인찰공책을 제작한 기록이 있다. 감결질에는 교서관에서 『개수일기』를 정서하기 위한 책지(冊紙)를 찍어낼 인출판(印出板)을 제작하여 진배하도록 하였고, 책지에 인찰선을 찍어 인찰공책으로 만드는 작업을 담당할 인출장 1명을 일이 끝날 때까지 매일 일기청에 대령시키기도 하였다. 인출장은 인찰선이 새겨진 자작판 위에 반진묵(半眞墨)의 먹물을 바른 후 책지를 올리고 마렵(馬鬣)과 미추(尾箒)로 밀어내 인찰공책을 만든다고 하였다. 이 『일기청등록』의 기록을 통해 중앙에서 제작되는 중요한 정서본은 대체로 이와 같은 인찰공책을 인쇄하여 사용하였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일기청등록(日記廳謄錄)』

단행본

천혜봉, 『한국서지학』(민음사, 2006)

논문

조계영, 「영조 연간의 『개수일기』와 일기청 운영의 실상」(『규장각』 55, 한국학연구원, 2019)
주석
주1

서책 책장의 사주(四周)를 둘러싸고 있는 검은 선. 사주 단변(四周單邊), 사주 쌍변(四周雙邊), 좌우 쌍변(左右雙邊)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장원연(청주고인쇄박물관 학예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