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제23대 왕.
이칭
초명
왕진(王瞋), 왕질(王晊)
본명
왕철(王㬚)
대명(大命), 천우(天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192년(명종 22)
사망 연도
1259년(고종 46)
본관
개성(開城)
주요 관직
고려 제23대 임금
관련 사건
대몽전쟁, 강화천도
내용 요약

고종은 고려 후기의 제23대 왕이다. 무인 정권하에서 재위하였으며, 재위 중인 1231년(고종 18)부터 몽골군의 침입이 시작되었고 이듬해 1232년(고종 19)에 강화도로 도읍지를 옮겨 항쟁하였다. 1259년(고종 46)까지 전란이 지속되어 개경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강화도에서 숨을 거두었다. 장기적인 전란, 천도, 무인 정권이라는 특수한 정치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고려의 역대 임금 가운데 가장 오랜 기간 재위한 임금이다.

정의
고려 후기, 제23대 왕.
가계 및 인적사항

1212년(강종 1)에 태자에 책봉되어 이듬해 강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고, 재위 기간은 1213년에서 1259년까지이다. 이름은 왕철(王㬚), 초명은 왕진(王瞋) · 왕질(王晊), 자는 대명(大命) · 천우(天祐)이다. 강종(康宗)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원덕태후(元德太后) 유씨(柳氏), 비는 희종(熙宗)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柳氏)이다.

주요 활동

46년의 재위 기간 동안 최씨(崔氏)의 무단 정치로 실권을 잡지 못하였다. 1219년(고종 9) 최충헌(崔忠獻)의 죽음 이후에도 고종은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없었다. 최충헌의 아들 최우(崔瑀)정방(政房)을 통해 백관의 인사를 마음대로 결정하였다. 1258년(고종 45)에 최의(崔竩)가 살해되고 최씨 정권이 무너짐으로써 표면상으로 왕권이 복구되었으나, 여전히 실권은 김준(金俊) 등 무인 정권에 있었다. 최우, 최항(崔沆), 최의 3대의 최씨 정권과 김준의 무인 정권을 아래에서 고종은 무인 집정자의 정책 결정이나 의견에 맞서지 않는다는 철저한 입장을 견지하였다. 강화천도(江華遷都)는 고종은 원하지 않았으나 최우의 정치적 결정과 압박을 받아들인 결과였다.

잦은 민란과 거란 · 몽골의 침입으로 국가적 위기를 겪었다. 1216년(고종 3)부터 3년간 계속된 거란의 침입과 뒤이은 몽골의 장기적인 침입으로, 고종의 재위 기간은 고려 최대의 국난을 겪은 시기였다. 1231년(고종 18) 몽골의 침입이 시작되자 이듬해 1232년(고종 19)에 주1로 도읍지를 옮겨 장기적인 항전을 지속하였다. 1259년(고종 46)에 몽골에 주5를 청하기 위해 태자 주2을 몽골에 보냈으며, 무인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강화도의 내성과 외성을 헐게 하였다. 태자의 주3와 성곽의 철거는 몽골에 대한 복속을 뜻하는 결정이었다. 그러나 몽골의 국왕 입조(入朝) 및 환도(還都) 요구에는 끝까지 응하지 않았고 태자 입조로 타협하였다.

재위 동안 절에 직접 거둥하여 불공을 드렸고 각종 불교 의례를 개설하는 데 특별히 힘썼다. 1236년(고종 23)에 부처의 힘으로 몽골군을 격퇴하고자 대장도감(大藏都監)을 설치하여 소실된 대장경판의 재각(再刻)에 착수하였다.

1227년(고종 14)에는 감수국사(監修國史) 평장사(平章事) 최보순(崔甫淳), 수찬관(修撰官) 김양경(金良鏡) · 임경숙(任景肅) · 유승단(兪升旦) 등에게 『명종실록(明宗實錄)』을 편찬하게 하였다.

전례 없는 전란과 천도, 무인 정권이라는 특수한 상황 아래, 고종은 46년 간 재위하였는데 그것은 고려의 역대 왕 가운데 가장 오랜 재위 기간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가장 정치적인 환경에도 불구하고 가장 비정치적인 왕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무인 정권의 부정적 입장에도 불구하고 태자(왕전, 원종)의 왕위 계승을 가능하게 한 치밀함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상훈과 추모

능은 강화 홍릉(江華洪陵)[^4]이며, 시호는 안효(安孝)이다. 1310년(충선왕 2)에 충헌(忠憲)이라는 시호가 증시(贈諡)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윤용혁, 『여몽전쟁과 강화도성 연구』(혜안, 2011)
윤용혁, 『고려대몽항쟁사연구』(일지사, 1991)

논문

윤용혁, 「무인정권, 그리고 전란 속의 왕권: 고려 고종(1192-1259) 연구」(『한국인물사연구』 12, 한국인물사연구회, 2009)
이정신, 「고려시대 고종 연구-최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한국인물사연구』 3, 한국인물사연구회, 2005)
주석
주1

지금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주2

뒤의 원종.

주3

임금이 몸소 나라를 다스림. 우리말샘

주4

인천광역시 강화군 부내면 국화리.

주5

싸우던 두 편이 싸움을 그치고 평화로운 상태가 됨. 우리말샘

주6

지금까지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