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창
주메뉴
연표보기
경제·산업
경제
교통
산업
통신
과학
과학기술
동물
식물
의약학
교육
교육
문학
고전산문
고전시가
구비문학
한문학
현대문학
사회
가족
사회구조
촌락
생활
민속·인류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언론·출판
언론·방송
출판
언어
언어·문자
역사
선사문화
고대사
고려시대사
조선시대사
근대사
현대사
예술·체육
건축
공예
국악
대중음악
무용
서예
연극
영화
조각
체육
현대음악
회화
정치·법제
국방
법제·행정
북한
외교
정치
종교·철학
개신교
대종교
도교
민간신앙
불교
신종교
원불교
유교
천도교
천주교
지리
인문지리
자연지리
인물
지명
개념/용어
문화재
유물
단체
작품
문헌
사건
물품
제도
놀이
유적
의식/행사
동/식물
경제·산업
경제
교통
산업
통신
과학
과학기술
동물
식물
의약학
교육
교육
문학
고전산문
고전시가
구비문학
한문학
현대문학
사회
가족
사회구조
촌락
생활
민속·인류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언론·출판
언론·방송
출판
언어
언어·문자
역사
선사문화
고대사
고려시대사
조선시대사
근대사
현대사
예술·체육
건축
공예
국악
대중음악
무용
서예
연극
영화
조각
체육
현대음악
회화
정치·법제
국방
법제·행정
북한
외교
정치
종교·철학
개신교
대종교
도교
민간신앙
불교
신종교
원불교
유교
천도교
천주교
지리
인문지리
자연지리
인물
지명
개념/용어
문화재
유물
단체
작품
문헌
사건
물품
제도
놀이
유적
의식/행사
동/식물
권익경
목차
버튼
기본정보
정의
개설
생애 및 활동사항
바로가기
참고문헌
내 검색어
권익경
(權益慶)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안동 부현감, 감찰 등을 역임한 문신.
확대하기
축소하기
프린트
URL
의견제시
트위터
페이스북
의견제시
항목명
권익경
이메일
올바른 형식의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의견
10자 이상 상세히 작성해 주세요.
첨부파일
파일선택
이칭
성길(成吉)
분야
조선시대사
유형
인물
성격
문신
성별
남
출생일
1572년(선조 5)
사망일
1637년(인조 15)
본관
안동(安東)
경력
감찰
관련사건
병자호란
시대
조선
정의
조선시대 안동 부현감, 감찰 등을 역임한 문신.
키워드
병자호란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권태경(權泰慶), 자는 성길(成吉). 아버지는 권순(權恂)이며, 아버지의 형인 임진왜란 때의 명장 권율(權慄)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광해군 때 진사로서 안동의 부현감이 되고 뒤에 감찰에 올랐다.
1636년 (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모시고 강화도에 들어갔는데, 그곳이 함락되고 적병이 세자를 해치려고 하자 돌벼루로 적병 여러 사람을 격살하고 크게 꾸짖다가 결국 살해당하였다. 뒤에 좌승지가 추증되고 정문(旌門)이 세워져 표창되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집필자
집필 (1996년)
조계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