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령왕비 금귀걸이 ( 귀걸이)

무령왕비 금귀걸이
무령왕비 금귀걸이
공예
유물
국가유산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의 금귀걸이.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무령왕비 금귀걸이(武寧王妃 金製耳飾)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장신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74년 07월 09일 지정)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의 금귀걸이.
개설

197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무령왕릉에서는 모두 5쌍의 금귀걸이가 출토되었는데 이 중 왕의 것은 1쌍이고 나머지는 모두 왕비의 것이다. 왕비 귀걸이는 머리 쪽에서 2쌍, 발치 쪽에서 2쌍이 출토되었다. 발치 쪽에서 출토된 것은 원판형의 장식만을 매달은 단순한 형태인 반면, 머리 쪽에서 출토된 2쌍은 왕의 것처럼 장식성이 뛰어나 국보로 지정되었다.

구성 및 형식

두 점 모두 길쭉한 장식이 매달려있는 형태로 한 점은 두 개의 장식이, 또 다른 한 점은 한 개의 장식만이 달려 있어 차이가 있다. 먼저 두 개의 장식이 달린 귀걸이의 형태를 살펴보면, 큰 고리에 작은 고리가 있고 그 아래 장식이 매달려 있는데, 장식의 길이와 함께 끝에 달린 장식이 다르다. 길이가 긴 장식 끝에는 끝이 뾰족한 탄환형의 장식이 금줄 고리에 매달려 있는데, 고리에는 작은 원형의 금판영락이 여덟 부분에 걸쳐 4개씩 금줄로 묶여있어 화려하다. 이보다 짧은 장식 끝에는 2개의 하트모양 심엽형 금판이 중앙을 직각되게 접은 후 서로를 맞닿게 부쳐 위에서 보면 네 개의 날개를 단 십자형으로 입체감이 있다. 이후 금줄로 연결시켜 고정한 후 작은 심엽형의 금판을 매달아 장식하였다. 심엽형 장식은 외형을 따라 새김눈테[刻目帶]를 둘러 장식했고 안쪽에는 작은 금알갱이를 부착했으나 일부 떨어져 나갔다. 이와 같은 심엽형 장식은 금줄로 이어진 고리에 묶여있으며 중간에는 녹색 유리옥이 금제 모자를 쓰고 있는데 모자는 둥근 고리를 연결해 만든 형태이다. 심엽형 영락이 3군데 4개씩 달려있는데 테두리에 새김눈테가 둘러져, 앞서 살핀 탄원형 장식의 영락과는 차이가 있다. 함께 출토된 한 쌍의 귀걸이는 앞서 본 심엽형 장식만 매달아 장식한 것으로 유리옥 중 1개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내용

하나의 고리에 두 줄의 장식이 매달린 형식은 무령왕의 금귀걸이처럼 그 예를 찾기 어려운 편이나, 귀에 걸리는 중심 고리처럼 금판을 둥글게 말아 접합하는 형태로 속이 비어 있게 제작하는 방식은 6세기 전반 신라 보문동 부부총에서 출토된 귀걸이에서도 볼 수 있다. 반면, 앞서 보았던 2개의 심엽형 금판을 반으로 접어 네 날개모양으로 부착해 만드는 장식은 무령왕릉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일본 시가현[滋賀縣] 카모이나리야마고분[鴨稻荷山古墳]의 출토품과 유사해 주목되며, 유리 구슬 위로 작은 고리를 연결해 반구형을 덧씌우는 방식은 신라에서도 보이기는 하지만, 신라의 경우 반구형이 아닌 완전한 구형으로 중간을 연결하는 장식으로 활용해 차이가 있다.

의의와 평가

백제 귀걸이는 신라, 가야에 비해 출토 사례가 극히 적어 그 특징을 파악하기 어려웠으나 연대가 확실한 무령왕릉 출토품을 통해 6세기 전반 백제뿐 아니라 삼국시대의 장신구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점을 제공해주고, 신라·가야·왜와의 교류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점을 마련해주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국보 금속공예』(문화재청 동산문화재과, 2008)
『신라황금』(국립경주박물관, 2001)
『백제무령왕릉』(공주대학교백제문화연구소, 1991)
『국보』 1-고분금속-(한병삼 편, 예경산업사, 1983)
『무녕왕릉』(문화재관리국, 1973)
『무령왕릉발굴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73)
「무령왕릉 장신구의 국제적 성격」(이한상, 『무령왕릉과 동아세아문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외, 200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