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조 ()

망와선생문집
망와선생문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간, 부제학,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효중(孝仲)
망와(忘窩)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7년(선조 10)
사망 연도
1648년(인조 26)
본관
풍산(豊山)
주요 관직
이조참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간, 부제학,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효중(孝仲), 호는 망와(忘窩). 할아버지는 사의(司議) 김농(金農)이고, 아버지는 산음현감 김대현(金大賢)이며, 어머니는 전주 이씨(全州李氏)이다. 김성일(金誠一)의 사위이다. 9형제 중 5명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1년(선조 34) 사마시에 합격하고, 1612년(광해군 4)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를 거쳐, 전적(典籍)에 승진하였다. 그러나 당시 혼란한 정치를 보고 10여 년 동안 은거 생활을 하였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후 복관되어, 정언(正言)·지평(持平)·부수찬(副修撰)·장령(掌令)·대사헌·대사성·대사간·부제학(副提學)·이조참판 등을 역임하고 여섯 차례나 어사로 나갔다.

1624년(인조 2)에 지평으로 있으면서 대사헌 정엽(鄭曄), 대사간 이현영(李顯英) 등과 함께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이 이괄(李适)의 난에 간여했으니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625년(인조 3)에 장령으로 있으면서 목성선(睦性善)의 상소 내용이 경망하다는 이유로 처벌을 주장하고, “인성군 이공은 광해군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모할 때 동조했고, 또 이괄의 난에 내응해 자식과 신하의 도리를 벗어났으니 처형해야 마땅하다.”고 또다시 주장하였다.

1633년(인조 11)에는 세자 책봉을 주청하기 위해 주청사(奏請使) 한인급(韓仁及)과 함께 부사로 중국에 다녀왔으며, 그 공로로 노비 3구와 토지 10결을 받았다. 1642년(인조 20)에 이조참판으로 있으면서, 취재(取才) 때 인사 부정의 혐의가 있다는 사간원의 탄핵을 받고 파직당하였다.

김영조의 생애를 보면 특별히 모나지 않았고 체구가 작았으며 단정하였다.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구산정사(龜山精舍)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망와집(忘窩集)』이 있다.

참고문헌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망와집(忘窩集)』
『동주집(東洲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