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주향교 ()

목차
관련 정보
화순 능주향교
화순 능주향교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1392년(태조 1)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능주의 서쪽에 창건되었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었다가 1600년에 현령 하응도(河應圖)가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611년 현령 윤수(尹燧)가 동무(東廡)·서무(西廡)를 중건하고 1724년에 중수하였으며, 1775년에 목사 이광도(李廣度)를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이 중수하였다.

1921년에는 동무를 중건하고 1923년에 명륜당과 서무를 보수하는 한편, 동재와 서재를 신축하였으며, 그뒤로도 수차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서재·동무·서무·향사당(鄕射堂)·노반청(奴班廳)·홍살문 등이 있다.

정면 5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의 내부는 통문으로, 우물마루로 깔려있다. 대성전의 처마는 전면은 겹처마로, 후면은 홑처마이다.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맞배지붕으로 된 동무·서무의 전면은 툇간을 두었고, 3량가의 납도리집이다. 내삼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구조는 3량가이다. 정면 4칸, 측면 1칸으로 된 사마재는 중앙에 마루 2칸 양옆으로 방을 각각 1칸씩 두었고 양쪽으로 날개를 달아 부엌으로 사용했고, 정면과 후면에는 마루를 달았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 및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명륜당은 정면 6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건축형태는 앞쪽에 명륜당을 세우고 뒤쪽에 대성전을 세운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이 향교는 1985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향교재단에서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1855년(철종 6) 이후에 재임한 역대 임원들의 기록이 잘 보관되어 있는데, 《능주향교유안 綾州鄕校儒案》·《사마재유사안 司馬齋有司案》·《양사재집강안 養士齋集綱案》 등의 안류(案類)와 《육영재절목 育英齋節目》·《능주목유생흥학절목 綾州牧儒生興學節目》 등 절목류의 기록이 10여권에 이른다.

참고문헌

『綾州鄕校誌』(綾州鄕校, 1923)
『文化遺蹟總覽』 下(文化財管理局, 1977)
집필자
이범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