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향교 ()

목차
관련 정보
고흥향교
고흥향교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고흥향교(高興鄕校)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5년 02월 25일 지정)
소재지
전남 고흥군 고흥읍 흥양길 90-29 (행정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내용

1441년(세종 2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고흥현 서문(西門) 밖에 창건되었다.

정유재란 때 병화로 소실되었다가 1695년 유생 강익무(姜翊武) · 치무(致武) 형제가 향교의 재건을 상소하고 신규(申樛) · 송만징(宋萬澄) 등이 발의하여 1700년 교궁(校宮)을 중건하였다.

이어 1817년 현감 유민검(柳民儉)이 양사재(養士齋)를 설립하고, 이듬해 현감 신의학(愼宜學)이 동재(東齋) · 서재(西齋)와 명륜당의 지붕을 보수하였으며, 1828년 현감 조존승(趙存昇)과 이광문(李光文) · 송석흠(宋碩欽) 등의 노력으로 대성전이 중수되었다.

1910년 일본 관헌에게 재당(齋堂) 및 토지 등의 재산을 빼앗기고 사림들의 휴식처마저 없어지자, 신재구(申在求)와 송계성(宋桂星)이 논의하여 대성전 좌우에 방을 마련하였다.

또 1912년 송인섭(宋仁燮) · 신재구 · 유중홍(柳重洪) 등이 존성계(尊聖契)를 조직하여 사청(祀廳)을 보수하고 향사를 받들 재원으로 토지를 마련하는 한편, 담장을 보수하였다. 광복 뒤 몇 차례의 보수를 거쳤으며 1955년 홍살문을 세웠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 명륜당 · 동무(東廡) · 서무(西廡) · 동재 · 서재 · 양사재 · 내신문 · 외신문 · 전직사(典直舍) · 유림회관 등이 있다. 정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宋朝) 2현(二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 · 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현재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 · 가을에 석전(釋奠:공자에게 지내는 제사)을 봉행(奉行)하고 초하루 · 보름에 분향하고 있으며,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운영하고 있다. 1985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고흥군지』(고흥군, 1985)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