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유록 ()

목차
관련 정보
한문학
개념
꿈속에서 일어난 사건을 내용으로 창작된 문학 작품.
내용 요약

몽유록은 꿈속에서 일어난 사건을 내용에 기반하여 창작된 문학 작품이다. 현실 세계의 주인공이 꿈을 통해 다른 세계로 들어가 여러 가지 경험을 하고, 꿈에서 깨어 다시 현실로 되돌아온다는 이야기이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신라시대 조신의 설화가 있으며, 이후에 창작된 『금오신화』·「원생몽유록」·「대관재몽유록」·「사수몽유록」·「금화사몽유록」·「강도몽유록」·「피생몽유록」·「수성궁몽유록」 등이 있다.

목차
정의
꿈속에서 일어난 사건을 내용으로 창작된 문학 작품.
내용

몽유록의 내용은 현실 세계의 주인공이 꿈을 통해 다른 세계[異界]로 들어가 여러 가지 경험을 하고, 꿈에서 깨어 다시 현실로 되돌아온다는 것이다. 결국, 다른 세계에서 체험이 몽유록 주1의 기본 줄거리가 된다.

몽유록은 ‘현실-꿈-현실’로 진행되는 액자식 주2으로 전개된다. 다른 세계에 들어가기 이전과 돌아온 이후인 현실 세계는 소설의 전개를 위한 도입부와 결말에 해당하며, 주인공 자신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시공(時空, 현실)이다.

반면, 다른 세계는 비일상적인 몽유(꿈)의 시공이다. 다른 세계는 공간적으로 천상 · 지상 · 지하 · 수중 등이 있으며, 시간적으로 과거 · 현재 · 미래 또는 무시간(無時間)의 세계가 있다.

소설 구성에 따라서 다른 세계에서 체험을 처음부터 분명하게 꿈의 형상으로 설정하기도 하고, 애초에는 꿈인지 생시(生時)인지 분간하지 못하게 하였다가 다른 세계에서 체험이 끝남과 동시에 꿈에서 깨는 것으로 형상화(形象化)하기도 한다.

몽유록의 서사 구조(敍事構造)는 서술자가 꿈꾸기 이전의 자신과 같은 생각 · 의식 · 특성을 유지한 채 꿈속의 세계로 나아갔다가, 일련의 일들을 겪은 뒤 본래의 현실로 돌아와 꿈에서 체험했던 내용을 스스로 서술한다는 것이다.

현실과 꿈이 이어지기 때문에 꿈에서 일어난 일을 서술한다. 여기서 ‘현실’은 큰 의미 없이 단지 액자 형식에 필요한 장치이다. 이 때문에 ‘꿈’이라는 비현실적 세계에서 현실적 세계에 대한 비판 의식(批判意識)이 강하다.

몽유록의 서사 구조에서 꿈 부분은 서술자가 다수의 인물을 만나 이야기를 주고받거나 그들의 모임에 참석해서 보고 들은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전개 양상

우리 문학사상 몽유(夢遊)의 모습은 몽유록 계통의 소설이 출현하기 이전에 벌써 나타나고 있다. 『삼국유사』 권3에 있는 신라 조신설화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규보(李奎報)「백운소설(白雲小說)」에도 이규보 자신이 선계(仙界)로 간다는 내용의 몽유가 서술되어 있다.

김시습(金時習)『금오신화』는 몽유라는 문학적 전통을 이어받아 소설 형태의 ‘몽유록’이 나타나는 작품이다.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는 바닷속의 한 섬인 남염부주라는 이계(異界)에서 몽유한 내용을 다루었고,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은 용궁에서의 몽유를 다루었다. 이 2편을 포함하여, 현존하는 『금오신화』에 실린 5편의 소설은 구성상 한결같이 몽유의 형식을 빌리고 있다.

이후 「원생몽유록」에서 몽유록이라는 유형의 성격이 확립(確立)되었다. 「원생몽유록」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실존 인물이면서, 작자의 감정이나 의도에 근거하여 개성적인 인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원생몽유록」에는 감상(感傷)하면서 슬프고 한스러운[哀恨] 분위기가 흐른다.

따라서 작품 속 인물의 성격도 이 같은 분위기를 나누어 가지고 나타난다. 작품 속에서 역사상 순절(殉節)한 충신(忠臣)들은 옛 임금을 모시고 억울하고 답답하였던 지난날의 일들을 토로(吐露)함으로써 소극적인 위안으로 삼고 있다.

「원생몽유록」의 이계는 한(恨)을 품은 영혼들이 사는 영계(靈界)였던 까닭에 분위기가 어둡고 쓸쓸하다. 등장인물 9명이 시를 지어 부르면서 슬픈 느낌[悲感]이 고조(高調)된다. 그 끝에 원생은 홀연히 놀라며 꿈에서 깬다. 원생이 꿈에서 깨면서 이야기는 끝난다.

「원생몽유록」이 나온 뒤에도 몽유록계 소설 문학은 독자적으로 발달하며 활발하게 창작되었다. 「대관재몽유록」은 조선 중종 때의 사람 심의(沈義)가 쓴 한문소설(漢文小說)이다.

일명 ‘대관재기몽(大觀齋記夢)’이라고 한다. 「대관재몽유록」의 문장왕국(文章王國)에서는 문장(文章)의 수준이 높고 낮음이 관작(官爵)의 높낮이와 똑같은 가치로 매겨진다. 이로써 작자는 자신의 비평 의도를 빗대어 드러내고 있다. 「대관재몽유록」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인공이 몽유하여 들어간 이계는 최치원(崔致遠)이 천자(天子)이고 역대의 문인(文人)들이 신하가 되어 있는 문장왕국이다. 여기서 주인공은 대장군(大將軍)이 되어 김시습의 반란을 평정(平定)한다.

대당천자(大唐天子) 주15와 조선 천자 최치원이 사단(詞壇)에 모여 시회(詩會)를 연다. 주인공은 이 나라에서 부귀(富貴)와 공명(功名)을 누리다가 천자로부터 ‘대관선생(大觀先生)’의 주16를 받고 고향으로 돌아온다.

그런데 이색(李穡)이 주인공의 내장을 주17으로 쓰기 위하여 주인공을 금으로 된 칼[金刀]로 찌른다. 주인공은 칼에 찔리는 아픔에 놀라 꿈에서 깨어난다. 꿈에서 깨고 보니, 현실에서 주인공 자신의 배는 북과 같이 불러 있었다. 그리고 꺼질락 말락 한 등불이 가물거리는 가운데 주인공의 병든 아내가 누워서 신음하고 있었다.

「사수몽유록(泗水夢遊錄)」은 1942년 『인문평론(人文評論)』(제2권 제4호)에 이명선(李明善)이 소개한 작자 미상의 필사본(筆寫本)으로 전해진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문성궁몽유록(文成宮夢遊錄)」이 이 「사수몽유록」과 일치한다.

「사수몽유록」은 유교주의적 왕도정치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중원(中原)에 사는 유생(儒生)은 공자(孔子)와 같은 대현(大賢)이 뜻을 얻지 못하고 천하를 방황한 것에 대해 원망하고 한탄하였다. 그러던 중 유생은 주50의 안내를 받아 승천하였다. 승천하여 도착한 곳에서 유생은 옥황(玉皇)에게 질책받고, 공자가 문성왕으로 재위해 있는 사수(泗水)의 주52으로 인도되어 갔다.

소국에는 공자의 제자를 비롯하여, 중국 역대의 유학자(儒學者)들과 우리나라 역대의 유학자 등 11명이 제각기 관직(官職)을 맡아 문성왕을 보필하고 있다. 전후로 양(楊) · 묵(墨) · 노(老) · 불(佛)의 침략이 4차례 있었으나 주21를 비롯한 장수들이 그때마다 침략에 맞서 싸워서 이긴다.

문성왕은 주55들과 더불어 주22를 강론(講論)하고 주23으로 하여금 역대의 인물을 논평(論評)하게 한다. 끝으로, 자공은 문성왕이 다스리는 소국을 주58에 비견(比肩)하였고, 주25주74에도 없었던 태평성대(太平聖代)라며 소국을 칭송(稱頌)하였다.

그리고 이 사실을 기록하여 인간 세상에 전해야 한다고 하며, 유생에게 자신이 적은 것을 주어 돌아가게 하였다. 유생이 그것을 받아서 주61을 내려오다가 발을 헛디디면서 꿈에서 깨어났다.

「금화사몽유록」은 한문 필사본과 국문본(國文本)으로 전해진다. 한문 필사본으로는 ‘금산사몽회록(金山寺夢會錄)’ · ‘금화사기(金華寺記)’ 등의 표제로 된 이본(異本) 3개가 있고, 국문본으로는 1921년 세창서관(世昌書館)에서 간행한 것이 있다. 이 4개의 이본은 구성 · 전개가 같으나 글자 및 문장에 다른 점들이 있다.

이 작품은 중화사상(中華思想)을 배경으로 하고 유교적 왕도정치를 이상화(理想化)한 작품이다. 청나라 주67 말년(末年)에 산동(山東)에 사는 성허(成虛)가 주69에서 얼핏 졸다가 중국 역대의 주70들이 일당(큰 집)에 모여 연회(宴會)를 하는 자리에

한고조(漢高祖)주26를 비롯한 한족(漢族)의 창업주(創業主)들이 모두 제왕연(帝王宴)에 참석하였다. 그러나 원나라 태조는 제왕연에 초청되지 않았다. 자신을 잔치에 초청하지 않는 것에 화가 난 원나라 태조는 이들에게 도전한다. 그러자 주28과 한 주29가 그를 격퇴한다. 날이 새고 닭이 울자, 연회가 끝나고, 성허는 꿈에서 깨어난다.

그 밖의 몽유록으로 병자호란(丙子胡亂)을 소재로 한 「강도몽유록」, 임진왜란 때 죽은 이를 거두어 장사(葬事)하는 것을 두고 유불(儒佛)의 논쟁을 다룬 「피생몽유록」, 윤계선(尹繼善)「달천몽유록(達川夢遊錄)」, 「운영전(雲英傳)으로 알려진 「수성궁몽유록」 등이 전해진다.

참고문헌

단행본

장덕순, 「몽유록소고」(『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60)
차용주, 『금산사몽유록고』(청주여자사범대학논문집, 1973)
김기동, 『이조시대소설의 연구』(성문각, 1974)
차용주, 『몽유록계 구조의 분석적 연구』(창학사, 1979)
소재영, 『고소설통론』(이우출판사, 1983)
정원표, 「몽유록의 장르 규정(『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유종국, 『몽유록소설 연구』(아세아문화사, 1987)
장효현, 「몽유록의 역사적 성격」(『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1990)
양언석, 『몽유소설의 서술유형연구』(국학자료원, 1996)

논문

신재홍, 「몽유양식의 소설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윤주필, 「원생몽유록의 종합적 고찰」(『한국한문학연구』 16, 한국한문학회, 1993)
이가원, 「몽유록의 작자소고」(『서지』 2-1, 1961)
이주영, 「몽유록의 양식적 특성에 대한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정학성, 「몽유록의역사의식과 유형적 특질」(『관학어문연구』 3, 서울대, 1978)
차용주, 「몽유록과 몽자류소설의 동이에 대한 고찰」(『논문집』 3, 청주여사대, 1974)
황패강, 「임제와 원생몽유록」(『한국서사문학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1972)
주석
주1

비현실적인 꿈과 환상의 세계를 통해 우의적으로 현실 세계를 묘사하는 유형의 고전 소설. 김만중의 <구운몽>, 김시습의 <금오신화#GT#따위가 대표적이다. 우리말샘

주2

소설, 희곡 따위에서, 이야기 속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야기가 들어 있는 구성. 우리말샘

주3

시간의 흐름에 따른 행위의 연속과 그로 인해 만들어지는 사건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이야기를 전개해 가는 방식. 우리말샘

주4

≪삼국유사≫ 조신몽 설화에 나오는 신라의 승려. 꿈속에서 아름다운 여인과 40여 년간을 함께 돌아다니며 살았는데, 헐벗고 굶주려 끝내 아이를 죽게 하는 따위의 비참한 지경을 당하고, 그 여인과 헤어질 때 꿈에서 깨어나 인생의 고락이 헛됨을 깨닫고 정토사(淨土寺)를 지었다고 전한다. 우리말샘

주5

≪삼국유사≫ 조신몽 설화에 나오는 신라의 승려. 꿈속에서 아름다운 여인과 40여 년간을 함께 돌아다니며 살았는데, 헐벗고 굶주려 끝내 아이를 죽게 하는 따위의 비참한 지경을 당하고, 그 여인과 헤어질 때 꿈에서 깨어나 인생의 고락이 헛됨을 깨닫고 정토사(淨土寺)를 지었다고 전한다. 우리말샘

주6

꿈속에서 놂. 우리말샘

주7

꿈속에서 놀다. 우리말샘

주9

하찮은 일에도 쓸쓸하고 슬퍼져서 마음이 상하다. 우리말샘

주10

충성스러운 절개나 여자의 곧은 절개를 지키기 위하여 죽다. 우리말샘

주11

‘영계’의 방언 우리말샘

주12

높음과 낮음. 또는 높고 낮은 정도. 우리말샘

주13

문인(文人)들의 사회. 우리말샘

주14

시인이나 시의 애호가들이 시를 짓거나 시에 대하여 토론ㆍ감상ㆍ연구하기 위하여 모인 모임. 우리말샘

주15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712~770).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ㆍ공부(工部)ㆍ노두(老杜). 율시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 사실적 묘사 수법 따위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하였다. ‘시성’으로 불리며, 이백(李白)과 함께 중국의 최고 시인으로 꼽힌다. 작품에 <북정(北征)>, <병거행(兵車行)>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6

임금이 호를 내려 줌. 또는 그 호. 우리말샘

주17

벼루에 먹을 갈아 만든 검은 물. 우리말샘

주18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ㆍ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 만년에는 교육에 전념하여 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제자들이 엮은 ≪논어≫에 그의 언행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우리말샘

주19

매우 어질고 지혜로운 사람. 우리말샘

주20

임금의 자리에 있다. 우리말샘

주21

‘맹자’의 본명. 우리말샘

주22

유교의 도. 우리말샘

주23

중국 춘추 시대 위나라의 유학자(B.C.520?~B.C.456?). 성은 단목(端木), 이름은 사(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언어에 뛰어났으며, 노나라와 위나라의 재상(宰相)을 지냈다. 우리말샘

주24

서로 비슷한 위치에서 견주다. 또는 견주어지다. 우리말샘

주25

중국 당나라의 문인ㆍ정치가(768~824). 자는 퇴지(退之). 호는 창려(昌黎).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변려문을 비판하고 고문(古文)을 주장하였다. 시문집에 ≪창려선생집≫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6

중국 한(漢)나라의 제1대 황제(B.C.247~B.C.195). 성은 유(劉). 이름은 방(邦). 자는 계(季). 시호는 고황제(高皇帝). 고조는 묘호. 진시황이 죽은 다음 해 항우와 합세하여 진(秦)나라를 멸망시켰다. 그 뒤 해하(垓下)의 싸움에서 항우를 대파하여 중국을 통일하고 제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206~기원전 195년이다. 우리말샘

주27

한 나라를 처음으로 세우는 데에 주체가 되는 사람. 우리말샘

주28

중국 진(秦)나라의 제1대 황제(B.C.259~B.C.210). 이름은 정(政).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라 칭하였다. 중앙 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의 통일, 만리장성의 증축, 아방궁의 축조, 분서갱유 따위로 위세를 떨쳤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247~기원전 210년이다. 우리말샘

주29

중국 전한(前漢) 제7대 황제(B.C.156~B.C.87). 성은 유(劉). 이름은 철(徹). 묘호는 세종(世宗). 중앙 집권을 강화하고 흉노를 외몽골로 내쫓는 등 여러 지역을 정벌하였으며, 중앙아시아를 통하여 동서 교류를 왕성하게 하였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 141~기원전 87년이다. 우리말샘

주30

죽은 사람을 땅에 묻거나 화장하다. 우리말샘

주31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없음. 우리말샘

주33

자거나 취하지 아니하고 깨어 있을 때. 우리말샘

주34

형체로는 분명히 나타나 있지 않은 것을 어떤 방법이나 매체를 통하여 구체적이고 명확한 형상으로 나타냄. 특히 어떤 소재를 예술적으로 재창조하는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35

사물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밝히거나 잘못된 점을 지적하려는 의식. 우리말샘

주36

신선이 산다는 곳. 우리말샘

주37

체계나 견해, 조직 따위가 굳게 섬. 또는 그렇게 함. 우리말샘

주38

마음에 있는 것을 죄다 드러내어서 말함. 우리말샘

주39

육정신의 하나. 나라와 임금을 위하여 충성을 다하는 신하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40

몹시 원망스럽고 억울하거나 안타깝고 슬퍼 응어리진 마음. 우리말샘

주41

사상이나 감정, 세력 따위가 한창 무르익거나 높아지다. 우리말샘

주42

글을 뛰어나게 잘 짓는 사람. 우리말샘

주43

관직(官職)과 작위(爵位)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4

천제(天帝)의 아들, 즉 하늘의 뜻을 받아 하늘을 대신하여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군주 국가의 최고 통치자를 이르는 말. 우리나라에서는 임금 또는 왕(王)이라고 하였다. 우리말샘

주45

반란이나 소요를 누르고 평온하게 진정함. 우리말샘

주46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음. 우리말샘

주47

공을 세워서 자기의 이름을 널리 드러냄. 또는 그 이름. 우리말샘

주48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우리말샘

주49

유학(儒學)을 공부하는 선비. 우리말샘

주50

신선의 시중을 든다는 푸른 옷을 입은 사내아이. 우리말샘

주51

흔히 도가(道家)에서, ‘하느님’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2

국력이 약하거나 국토가 작은 나라. 우리말샘

주53

유학을 깊이 연구하여 높은 경지에 오른 사람. 우리말샘

주54

직무의 일반적 종류를 뜻하는 관(官)과 구체적 범위를 뜻하는 직(職)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5

여러 신하. 우리말샘

주56

학술이나 도의(道義)의 뜻을 해설하며 토론함. 우리말샘

주57

어떤 글이나 말 또는 사건 따위의 내용에 대하여 논하여 비평함. 또는 그런 비평. 우리말샘

주58

고대 중국의 요임금과 순임금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9

어진 임금이 잘 다스리어 태평한 세상이나 시대. 우리말샘

주60

칭찬하여 일컬음. 또는 그런 말. 우리말샘

주61

집채의 앞뒤에 오르내릴 수 있게 놓은 돌층계. 우리말샘

주62

우리나라 고유의 글자인 한글로 표기된 책. 우리말샘

주63

문학 작품 따위에서 기본적인 내용은 같으면서도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책. 우리말샘

주64

서책의 겉에 쓰는 그 책의 이름. 우리말샘

주65

중국 사람이 자기 민족을 세계 문명의 중심이라고 생각하여 자기 민족의 우월성을 자랑하여 온 사상. 대체로 통일적인 민족 문화가 형성된 춘추 전국 시대에 일어나 오랫동안 한민족(漢民族)의 사상의 기본이 되어 왔다. 우리말샘

주66

현실을 그대로 보지 않고 이상에 비추어서 보고 생각하는 일. 우리말샘

주67

중국 청나라 성조(聖祖) 때의 연호(1662~1722). 이를 본떠 성조를 강희제라고도 한다. 우리말샘

주68

어떤 시기의 마지막 몇 해 동안. 우리말샘

주69

조선 시대에, 궁성과 도성, 도로 따위의 수축과 궁성, 관아, 각 방(坊)의 소방(消防)을 맡아보던 관아. 성종 때 수성금화도감을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70

황제와 국왕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1

축하, 위로, 환영, 석별 따위를 위하여 여러 사람이 모여 베푸는 잔치. 우리말샘

주72

중국 본토에서 예로부터 살아온, 중국의 중심이 되는 종족. 인종적으로 황인종에 속하고, 한어(漢語)를 쓰며, 중국 전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우리말샘

주73

유교와 불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4

중국 고대의 요순(堯舜) 시대와 하(夏)나라, 은(殷)나라, 주(周)나라 시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