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은선생집 ()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 학자 도은 이숭인의 시 · 서 · 전 · 찬 등을 수록한 시문집.
문헌/고서
간행 시기
1406년, 1863년, 1901년
저자
이숭인
권책수
시집 3권·문집 2권 총 2책
소장처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내용 요약

『도은선생집』은 고려 후기, 학자 도은 이숭인의 시·서·전·찬 등을 수록한 시문집이다. 1406년에 태종의 명으로 간행되었다. 이후 최립에 의해 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1863년과 1901년에 이숭인의 후손들에 의해 재간행되었다. 이숭인은 문학과 도학을 겸하여 「처용가」·「정과정곡」·「제승사」·「오호도」·「초옥자전」 등 뛰어난 시문을 남겼다.

정의
고려 후기, 학자 도은 이숭인의 시 · 서 · 전 · 찬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사항

보물 제1465호. 5권 1책(시집(詩集) 3권, 문집(文集) 2권). 목판본(木版本).

편찬 및 간행 경위

간행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저자가 살아 있는 동안에 간행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저자의 생전(生前)에 지어진 두 편의 서문(序文)과 세 편의 발문(跋文)이 있기 때문이다.

제일 먼저 쓰인 발문은 이색(李穡)이 그에 대해서 지은 것이다. 이색의 발문은 “정사년 11월 그믐날 3일 전 새벽에 일어나 세수하고 머리 빗은 뒤에 향을 피우고 단정히 앉아 도은의 시 두어 편을 읽었다.[丁巳仲冬晦前三日, 晨興盥櫛, 焚香危坐, 讀陶隱詩數篇]”로 시작된다.

따라서 이숭인이 31세 되던 1377년(우왕 3) 11월 27일로 추정되나, 시의 초고(草稿)를 간행한 것인지는 명확히 알 도리가 없다.

『고려사(高麗史)』에서도 “『도은집』이 있어 세상에 전한다”라고 하였지만, 그 간행 연대는 명확하지 않다. 더욱이 저자인 이숭인의 생전에 간행되었다 하더라도, 그 판본이나 책의 권수는 알 수가 없다.

이색의 발문 다음에 붙은 발문은 명나라 사람 장보(張溥)가 지은 것으로, 이숭인이 39세 되는 1385년(우왕 11) 10월에 지어졌다. 마지막 발문은 명나라 고손지(高巽志)의 것으로, 이숭인이 43세 되던 공양왕 1년에 지어졌다.

또한, 서문 가운데 제일 먼저 지어진 서문은 이숭인의 나이 39세 때 명나라의 주탁(周倬)이 지은 것이다. 그 다음 서문은 이숭인의 나이 42세 때 1388년에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것이다.

그 뒤 이숭인이 죽은 지 14년째 되던 해인 1406년(태종 6)에, 태종(太宗)의 명에 의해 2책으로 편찬된 『도은집』이 있다.

이후에 최립(崔岦, 1539~1612)이 『도은시집』을 활자본(活字本)으로 간행하였는데, 「신인도은시집발(新印陶隱詩集跋)」이 『간이집』에 실려 있다.

1863년에 이숭인의 후손 이준호(李俊浩) · 이도복(李道復) 등이 연보(年譜)와 행장(行狀)을 저술하고 여러 사람들의 문자를 수집하여, 이들을 부록(附錄) 2권으로 만든 후 원집의 뒤에 붙여 7권 3책으로 간행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1901년에 이숭인의 19세손 이규형(李圭衡)이 다시 여러 문헌을 근거로 삼아 연보를 다시 만들고, 이숭인의 사적(史籍)을 모아 속집(續集)을 만들었다. 7권 2책의 목판본으로 경상북도 성주군(星州郡) 수륜면(修倫面) 이락정(二樂亭)에서 간행하였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古3648-文62-23)에 소장되어 있다.

1959년 가장 최근에 판각된[近刻] 『도은집』이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여계명현집(麗季名賢集)』으로, 1973년 『고려명현집(高麗名賢集)』으로 간행되면서 시집 3권, 문집 2권 등 목판본 5권을 영인(影印)하였다.

역주서로는 1975년에 대양서적(大洋書籍)에서 『한국명저대전집』 중에 『도은집』을 번역하여 수록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그의 후손인 이동석(李東錫)이 소장한 목판 2책을 대본으로 한 것이다.

이 책 외에 속집 2권이 있으며, 부록으로 이숭인에게 보낸 다른 사람들의 시문(詩文)이나 여러 문헌에 남은 이숭인에 대한 기록이 실려 있기도 하다.

『한국문집총간』 제6집에 수록되어 있으며 2008년 완역(完譯)되었다.

구성과 내용

『고려명현집』(영인본)의 내용을 보면, 권1에는 사(辭) 1편과 오언(五言) · 칠언(七言) 고시(古詩) 30제(題)로 모두 31제가 있고, 권2에는 오언 · 칠언 율시(律詩)로 154제, 권3에는 절구(絕句) 152제로 시만 모두 336제이고 사가 1편이다.

권4 · 권5는 문(文)으로 기(記) 7편, 지(誌) 1편, 서(序) 12편, 전(傳) 2편, 제후(題後) 3편, 의(議) 1편, 행장 1편, 찬(讚) 1편, 설(說) · 전(箋) 각 1편, 표(表) 17편, 전 4편 등 모두 51편이 실려 있다.

「시(詩)」 중에는 “신축년 동짓달에 임금의 행차가 남쪽으로 순수하다(辛丑仲冬大駕南狩)”와 같은 저자 15세 때의 시가 있고, 「처용가(處容歌)」「정과정곡(鄭瓜亭曲)」단오(端午)팔관회(八關會) 등을 소재로 한 민족적인 경향의 시도 상당수 보인다.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제승사(題僧舍)」「오호도(嗚呼島)」를 들 수 있다. 「제승사」는 “산 남쪽 산 북쪽 좁은 길이 갈렸는데/송화가 비에 젖어 이리저리 떨어지네/도인이 물을 길어 모옥으로 돌아가니/한줄기 푸른 연기 흰 구름을 물들이네.[山北山南細路分 松花含雨落繽紛 道人汲井歸茅舍 一帶靑烟染白雲]”로 되어 있다. 이 작품과 관련하여, 『지봉유설(芝峰類說)』에 의하면 “이색이 ‘당나라 시에 가깝다’고 평가하자, 이숭인의 명성이 드러나게 되었다”라고 한다. 또한, 이숭인은 「중원잡제(中原雜題)」 · 「영안남(咏安南)」 · 「영유구(咏琉球)」등의 시를 남겨, 당시 중국을 비롯한 주26주44 등의 풍속(風俗)과 문화 교류(文化交流)를 엿보게 한다.

그리고 「문(文)」을 보면 표(表)가 가장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려와 원나라 간에 외교 문서의 교환이 빈번할 때, 이숭인이 문서 작성을 도맡았기 때문이다. 그중 「초옥자전(草屋子傳)」은 당시 정계(政界)에서 상당한 활약을 한 김진양(金震陽)을 다루었는데, 이 글에서 이숭인은 김진양의 내면세계(內面世界)에 대하여 깊이 공감한 바를 나타내었다.

「기(記)」에는 당시 불교와 관계가 있는 글이 많다. 그중에서 특히 「여흥군신륵사대장각기(驪興郡神勒寺大藏閣記)」는 이색이 대장경(大藏經)을 간행하까지의 경위를 서술한 명문(名文)으로, 이숭인과 불교와의 관계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장 솜씨 또한 뛰어난 글이다.

「서문(序文)」 중에는 시와 관계되는 서(序)가 5편으로 그의 문학관(文學觀)을 알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고려는 과거제(科擧制) 실시 이후 주39가 중시되면서 사장(詞章)과 문예(文藝) 중심으로 문풍(文風)이 기울어졌으나, 주자학(朱子學)이 수입된 뒤로는 안향(安珦) · 백이정(白頤正) · 이제현(李齊賢) · 이곡(李穀)을 거쳐, 삼은(三隱)으로 이어지면서 문학의 흐름도 주43인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숭인은 이 시기에 태어나 문학과 도학을 겸하여 국내외에 명성을 떨친 문인으로서, 『도은선생집』은 이러한 그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문학을 담은 귀중한 자료로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명현집(高麗名賢集)』

단행본

민족문화추진회, 『韓國文集叢刊解題』1(민족문화추진회, 1991)

논문

이병혁, 「도은문학고」(『국어국문학연구총서』 7, 국어국문학회편, 1981)

인터넷 자료

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
주석
주1

여러 편의 시를 모아서 엮은 책. 우리말샘

주2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주3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大綱)이나 간행 경위에 관한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주4

시의 초고(草稿). 또는 시의 원고. 우리말샘

주5

책 따위를 인쇄하여 발행하다. 우리말샘

주6

목판으로 인쇄한 책. 우리말샘

주7

고려 제34대 마지막 왕(1345~1394). 이름은 요(瑤). 이성계 일파에 의하여 왕위에 올랐으나 실권을 빼앗겼고, 정몽주가 살해된 뒤에 폐위당하고 살해되었다. 재위 기간은 1389~1392년이다. 우리말샘

주8

사람이 한평생 동안 지낸 일을 연월순(年月順)으로 간략하게 적은 기록. 흔히 개인의 연대기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0

글을 짓거나 책을 저술하다. 우리말샘

주11

여러 사람들을 정중히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2

본문 끝에 덧붙이는 기록. 우리말샘

주13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책. 우리말샘

주14

본디 있던 서책에 잇대어 수집하여 펴낸 문집이나 시집. 우리말샘

주15

인쇄물의 원본을 사진으로 복사하여 인쇄하다. 우리말샘

주16

시가와 산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7

전체가 완전하게 번역되다. 우리말샘

주18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고시. <초사(楚辭)>, 항우의 <해하가>, 한나라 고조의 <대풍가(大風歌)>, 한나라 무제의 <추풍사#GT#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9

한시(漢詩)에서, 한 구(句)가 다섯 글자로 이루어진 형식. 우리말샘

주20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의 오덕(五德)의 말. 우리말샘

주21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의 오덕(五德)의 말. 우리말샘

주22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율시. 모두 8구로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23

한시(漢詩)에서, 한 구(句)가 다섯 글자로 이루어진 형식. 우리말샘

주24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고시. <초사(楚辭)>, 항우의 <해하가>, 한나라 고조의 <대풍가(大風歌)>, 한나라 무제의 <추풍사#GT#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5

학문, 문학, 예술 따위를 무(武)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6

‘베트남’의 다른 이름. 중국 당나라 때, 지금의 베트남령에 안남 도호부를 둔 데서 유래한다. 우리말샘

주27

옛날부터 그 사회에 전해 오는 생활 전반에 걸친 습관 따위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8

서로 다른 음악, 학문, 생활 양식 따위의 문화가 서로 통함. 우리말샘

주29

618년에 중국의 이연(李淵)이 수나라 공제(恭帝)의 왕위를 물려받아 세운 통일 왕조. 도읍은 장안(長安)이며,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문화가 크게 융성하였으나, 안사(安史)의 난 이후 쇠퇴하여 907년에 주전충(朱全忠)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30

1368년에 주원장이 강남(江南)에서 일어나 원(元)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세운 중국의 통일 왕조. 영락제 때 난징(南京)에서 베이징으로 도읍을 옮기고 몽고와 남해에 원정하여 전성기를 이루었으나, 뒤에 북로남왜에 시달리고 환관의 전횡과 당쟁, 농민의 반란이 끊이지 않아 1644년에 이자성(李自成)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31

1271년에 몽고 제국의 제5대 황제 쿠빌라이가 대도(大都)에 도읍하고 세운 나라. 1279년에 남송을 멸망시키고, 중국 본토를 중심으로 몽고, 티베트를 영유하여 몽고 지상주의 입장에서 민족적 신분제를 세웠으나 1368년에 주원장을 중심으로 한 한족의 봉기로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32

정치에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조직체나 개인의 활동 분야. 우리말샘

주33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하는 마음속의 감정이나 심리. 우리말샘

주34

불경을 모아 엮은 여러 책. 우리말샘

주36

뛰어나게 잘 지은 글. 우리말샘

주37

문학에 관한 소견. 우리말샘

주38

고려ㆍ조선 시대에, 과거를 통하여 관리를 선발하던 제도. 우리말샘

주39

고려 시대에, 과거에서 시(詩), 부(賦), 송(頌), 책(策) 따위의 한문학으로써 시취(試取)하던 과목. 문신을 등용하기 위한 시험으로, 합격자를 진사라고 불렀다. 우리말샘

주40

문학과 예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1

글을 숭상하는 풍습. 우리말샘

주42

글을 숭상하는 풍습. 우리말샘

주43

판단이나 행동의 기준이 이념적인 도덕에 충실한 나머지 현실과는 동떨어진.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44

중국 차오저우(潮州), 취안저우(泉州)의 동쪽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나라. 지금의 대만(臺灣) 또는 류큐(琉球)라는 설이 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