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헌집 ()

목차
관련 정보
묵헌집(2)
묵헌집(2)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오도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오도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활자본. 1943년 문석린(文錫麟)이 편집하고 증손 정주(정注)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진찬(兪鎭贊)·문석린의 서문과 권말에 재종 석용(錫容), 손자 민수(民銖)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상에 시 202수, 권하에 서(書) 3편, 기(記) 7편, 서(序) 5편, 발(跋) 2편, 상량문·설(說) 각 1편, 뇌장(誄章) 4편, 부록으로 묵헌차운(默軒次韻) 14수, 묵헌기(默軒記) 9편, 서(書) 6편, 근제문생계안서후표(謹題門生契案序後表) 1편, 제문 2편, 가장(家狀)·행장·묘갈명 각 1편, 문생록(門生錄)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산수시와 명승고적을 읊은 시가 대부분이며 증여시(贈與詩)도 상당수에 달한다. 두보(杜甫)의 「추흥팔수(秋興八首)」에 차운한 「차두자추흥팔수(次杜子秋興八首)」와 이를 모방하여 지은 「춘흥팔수(春興八首)」가 있다. 그밖에 강봉조(姜鳳祚) 등과 주고받은 화답시, 기우만(奇宇萬)의 시에 차운한 시 등이 있다.

서(書)에는 기우만에게 보낸 것과 아들에게 보낸 「계자십물서(戒子十勿書)」·「답문낙안(答文樂安)」 등이 있다.

기에는 일기가 5편을 차지하고 있는데, 당시 생활상을 살피는 데 참고가 된다. 그 중 오왕(吳王) 손권(孫權)의 묘에 얽힌 전설도 있으며, 「유교룡산성일기(游蛟龍山城日記)」·「어휘각신건일기(御諱閣新建日記)」에는 명나라 태조와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와의 동사(同事)에 관한 내용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