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방정례 ()

의생활
문헌
1751년(영조 26), 상의원(尙衣院)에서 왕실 복식을 비롯한 각종 재물과 물품에 관한 규례를 기록하여 간행한 책.
문헌/고서
편찬 시기
1751년(영조 26년 12월~27년 2월)
간행 시기
1751년(영조 26년 12월~27년 2월)
편저자
상의원
권책수
3권 3책
권수제
항례 1권|별례 2권
판본
무신자 금속활자본
표제
상방정례
소장처
장서각|규장각
내용 요약

『상방정례』는 1751년(영조 26)에 상의원(尙衣院)에서 왕실 복식, 각종 재물과 물품에 관한 규례를 기록하여 간행한 책이다. 이를 통해 각전과 각궁에 진상하는 데 필요한 기준을 세워 재정을 절약하고자 하였다. 이는 천 · 지 · 인의 3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권」은 항시 이루어지는 진상 물품을 기록한 항례, 「지권」 · 「인권」은 각종 왕실 행사에 따른 별례를 기록했다. 그리고 궁중 생활상, 왕실 복식의 전체 구조와 세부 사항을 살필 수 있으며, 상의원의 재원과 재료를 조달하는 방식, 수공업의 현황을 알 수 있다.

정의
1751년(영조 26), 상의원(尙衣院)에서 왕실 복식을 비롯한 각종 재물과 물품에 관한 규례를 기록하여 간행한 책.
저자 및 편자

상의원(尙衣院)에서 편찬하였다.

서지사항

이 책의 판본은 주1 금속 주6이며, 판식(版式)은 사주단변(四周單邊)에 11행(行) 20자(字)이다. 판식의 주7가 1책의 주2 부분에만 『상방정례(尙方定例)』로 되어 있고, 나머지는 『탁지정례(度支定例)』로 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1751년(영조 26년 12월~영조 27년 2월)에 영조가 왕실의 복식을 비롯한 각종 재물과 물품의 주3에 절제가 없음을 염려하여 담당 관아인 상의원에게 이 책을 편찬케 하였다.

구성과 내용

『상방정례』는 천(天) · 지(地) · 인(人)의 3권 3책으로 구성하여 「천권(天卷)」에는 주4를, 「지권(地卷)」, 「인권(人卷)」에는 주8를 기록했다. 항례를 담고 있는 「천권」에는 미리 정해져 있거나 예측되는 생활, 즉 생일, 명절, 절기 등 항시 이루어지는 진상 물품을 기록하였다. 여기에는 주9 · 대왕대비전(大王大妃殿) · 주10 · 세자궁(世子宮) · 빈궁(嬪宮) · 현빈궁(賢嬪宮) 등 각전과 각궁의 생일을 맞아 올리는 주11 · 생신 진상(進上), 주12 · 삼짇날 주13 · 단오 · 추석 · 동지 등 명절에 올리는 주14 진상, 춘추로 2차례 올리는 춘추 양등(兩等) 진상, 초하루마다 올리는 주15 진상, 보름마다 올리는 주16 진상, 1년에 1차례 올리는 연례(燕禮) 진상 · 연례 진배, 임금이 신하에게 내려줄 이엄(耳掩)류의 송사물(頌賜物)을 1년에 1번 올리는 연례 송사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별례가 들어 있는 「지권」과 「인권」에는 각종 왕실 행사에 따른 사례별 복식을 기록했다. 그리고 「지권」은 명령에 따라 수시로 준비해야 하는 복식을 싣고 있으며, 「인권」에는 각종 왕실 행사와 절차에 따라 필요한 복식을 정리하여 수록했다.

의의 및 평가

『상방정례』는 궁중 생활상과 더불어 왕실 복식의 전체적인 구조와 세부 사항을 살필 수가 있으며, 상의원에서 재원과 재료를 조달하는 주17, 신공(身貢), 복정(卜定), 호조진배(戶曹進排) 등의 방식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준절식(準折式)은 왕실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의 규격 · 용량 · 가격을 밝히고 주18을 기록해 놓아서 당시 수공업의 상황을 보여 준다.

한편 이 책은 『탁지정례』의 일부로 편찬되어 동일한 주제가 연속적으로 간행되는 서적 인쇄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기에 인쇄 문화사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상방정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8)

논문

김소현, 「『상방정례』로 보는 조선왕실의 복식구조-착용사례를 중심으로-」(『복식』 58-3, 한국복식학회, 2008)
김소현, 「조선시대 상의원의 왕실복식 공급체계 연구」(『복식』 57-2, 한국복식학회, 2007)
이민주, 「『尙方定例』의 편찬의미와 특징-왕실복식을 중심으로-」(『장서각』 27,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주석
주1

조선 현종 9년(1668) 무신년에 만들어진 금속 활자. 김좌명이 수어청에서 만들었다. 우리말샘

주2

임금이 몸소 짓거나 만듦. 또는 그런 글이나 물건. 우리말샘

주3

일을 맡아서 주관함. 우리말샘

주4

보통 있는 일. 우리말샘

주5

세공(歲貢)으로 보통 바치는 일정한 공물. 우리말샘

주6

금속 활자로 짜서 만든 인쇄용 판. 또는 그 판으로 찍어 낸 책. 일정한 글자본에 의해 주형을 만들어 주조하였기 때문에 글자 모양이 같고 정연하다. 우리말샘

주7

판심에 표시된 책의 이름. 우리말샘

주8

특례의 옛말. 우리말샘

주9

임금이 거처하는 궁전. 우리말샘

주10

왕비가 거처하던 궁전. 우리말샘

주11

‘생일’을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2

설날 아침. 우리말샘

주13

음력 삼월 초사흗날. 우리말샘

주14

명절과 국경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5

한 달 한 달. 우리말샘

주16

한 달을 거름. 또는 한 달씩 거름. 우리말샘

주17

세공(歲貢)으로 보통 바치는 일정한 공물. 우리말샘

주18

직공들이 품을 판 대가.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