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속오계 ()

삼국유사 / 원광서학조의 세속오계
삼국유사 / 원광서학조의 세속오계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 화랑이 지켜야 했던 다섯 가지 계율.
이칭
이칭
화랑오계(花郎五戒)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세속오계는 신라시대 화랑이 지켜야 했던 다섯 가지 계율이다. 원광법사가 사량부의 화랑 기산과 추항이 가르침을 청하자 내려준 계율이다. 사군이충, 사친이효, 교우이신, 임전무퇴, 살생유택이 그 내용이다. 유교·불교·도교 등 세 가지 사상이 전래되기 전부터 신라에 존재하던 풍류·화랑도 등의 고유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공동체의식과 철저한 의리 정신, 숭고한 희생 정신, 그리고 선량한 인간의 정신을 담은 세속오계가 나온 것이다. 그 당시 신라인들이 가지고 있던 시대정신이 당대의 석학인 원광의 탁월한 식견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정리·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목차
정의
신라시대 화랑이 지켜야 했던 다섯 가지 계율.
내용
  1. 연원

‘화랑오계(花郎五戒)’라고도 한다. 원광법사(圓光法師)사량부(沙梁部)에 사는 귀산(貴山)추항(箒項)에게 가르친 것에서 비롯되었다.

600년(진평왕 22) 원광이 중국 수나라에서 돌아와 운문산(雲門山) 가실사(嘉瑟寺)에 있을 때 두 사람이 평생의 경구로 삼을 가르침을 청하자, 사군이충(事君以忠) · 사친이효(事親以孝) · 교우이신(交友以信) · 임전무퇴(臨戰無退) · 살생유택(殺生有擇) 등 다섯 가지 계율을 가르쳤다.

그 뒤 두 사람은 이를 잘 지켜서 602년 백제와의 아막성(阿莫城) 전투에서 화랑의 일원으로 싸우다 순국하였다.

  1. 사상적 배경

이 계율은 특히 화랑들에 의하여 잘 지켜졌고 화랑도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기도 했으나, 그렇다고 해서 이 오계가 화랑들만의 것이었다고는 볼 수 없다. 또한, 원광이 가르쳤다고 해서 그의 독창적인 견해라고 할 수도 없다.

이는 그 당시 신라인들이 가지고 있던 시대정신이 당대의 석학인 원광의 탁월한 식견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정리 · 표현된 것이라 하겠다.

신라인들의 이러한 이념의 연원을 밝혀주는 것으로는 『삼국사기』 권4 진흥왕조에 실린 최치원(崔致遠)난랑비서(鸞郎碑序)가 있다. 여기에는 “우리나라에 현묘(玄妙)한 도(道)가 있었으니 풍류(風流)라 이른다. 그 교(敎)의 기원은 선사(仙史)에 자세히 실려 있거니와, 실로 이는 삼교(三敎)를 포함한다”라는 구절이 있다.

또한 화랑도는 원광이 세속오계를 가르치기 24년 전인 576년(진지왕 1)에 마련되었는데 이에 앞서 이미 ‘풍류’라는 도가 있었고, 당시까지 비록 유교 · 불교 · 도교 등 세 가지 사상이 전래되지는 않았으나 이미 신라사회에는 이들 사상을 포함하였다고 할 만한 고유사상이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

기록상으로도 유교의 경우는 682년(신문왕 2)에야 국학(國學)이 정식으로 설립되었고, 불교는 527년(법흥왕 14)에 공인되어 아직 얼마 되지 않았으며, 도교 또한 전래되었다는 기록이 없다.

세속오계의 사상적 연원이 된 신라의 고유사상이 어떠한 것이었는지는 그 당시까지 신라사회를 지배하며 발전해 온 사상적 특성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신라는 지증왕대에 이르러 비로소 정식으로 국호를 제정하고 왕권국가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이때까지 신라는 신의 뜻에 따라 국정을 운영하는 제정일치(祭政一致)체제의 철저한 신권국가였다.

개국설화에서 나타나듯 신라는 시조왕 박혁거세 탄생의 신이성(神異性)을 믿고 그를 임금으로 봉대(奉戴)함으로써 신의를 따르려 하였으며, 이러한 사상은 그 뒤 왕위승계에 있어 세습제를 따르지 않고 박 · 석 · 김 3성 중에서 인물 본위로 왕위를 승계하도록 한 사실에서도 분명히 이어진다.

당시 신라인들이 뚜렷하게 간직하였던 이러한 사상을 후세에서는 ‘고신도사상(古神道思想)’이라고 부르거니와, 이 사상은 멀리 고조선 초기의 단군신화에서 비롯되었으며 당시 동북아시아 일대에 보편적으로 퍼져 있던 무속신앙의 형태를 갖추면서 이어져 왔다.

신라의 경우는 『삼국사기』 신라본기 남해차차웅조(南解次次雄條)에 임금 자신이 무속신앙의 중심인물이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더욱 분명하다.

이렇듯 무속신앙의 형태를 갖추며 이어진 고신도사상의 특징과 사회적 기능은 어떠한 것인가? 이러한 사상적 바탕과 신앙적 형태는 상보작용(相補作用)을 하면서 그 특징과 사회적 기능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낸다.

그 특징으로는 하늘의 뜻[神意]을 받드는 데 있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개개인의 무구청순(無垢淸純)한 신앙적 심성과, 어떠한 일보다도 소중한 것으로 간주되던 하늘과 조령(祖靈)을 모시는 제의(祭儀)에 대한 지극한 정성(精誠), 그리고 이러한 청순한 심성과 지극한 정성을 통해 이룩된 천신(天神)과 무(巫)와 사람[人]의 종적 관계가 동족공동체라는 횡적 관계로 파급되어 조성된 공고한 공동체 의식 등을 들 수 있다.

  1. 사회적 기능

그리고 이러한 특징으로 말미암아 이룩된 사회적 기능으로는 ① 고결한 정의감과 신앙적이기까지 한 철저한 의리사상, ② 천민(天民) 또는 천손(天孫)이라는 긍지 아래 경천보본(敬天報本)하고 숭조여천(崇祖如天)하였던 투철한 경천숭조사상, ③ 멸사봉공의 희생정신이 크게 진작된 가운데 군신(君臣)이 더불어 보국안민하고자 하는 동족공동체 의식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상의 여러 가지 사실들은 구체적으로 정치제도 면에까지 작용하여 협동에서의 조화와 개인 심성에서의 순백(純白)을 바탕으로 이룩된 화백제도(和白制度)를 창출하기에 이른다. 이는 당시 신라인들의 사상적 진면목을 여실히 보여 주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세속오계의 바탕이 되었다 하겠다.

  1. 세부 내용

세속오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군이충’과 ‘사친이효’는 유교적인 충 · 효를 각각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라든가 ‘충신출어효자지문(忠臣出於孝子之門)’이라고 한 유교적 관점에서 보면 이 경우 충 · 효는 그 순서가 뒤바뀌어 있다.

여기서 유교의 일반적인 사상과 달리 효보다 충을 앞세웠던 당시 신라인들의 강렬한 공동체의식을 엿볼 수 있다. 이는 김유신(金庾信)과 그의 아들 원술(元述)과의 사이에 얽힌 이야기에서도 드러난다.

‘교우이신’ 역시 평범한 차원에서 유교적인 신의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에 나타난 내용이나 사다함(斯多含)의 예에서 보듯이, 약사우(約死友)하고 이것을 충실히 지켜낼 수 있는, 유교 일반적인 관점에서는 상상할 수도 없는 일종의 신앙적인 차원의 것이었다.

‘임전무퇴’는 강렬한 공동체 의식과 멸사봉공하자는 숭고한 희생 정신의 표현인데, 관창(官昌)이나 김흠운(金欽運)의 경우가 이에 대한 좋은 예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살생유택’은 불교적이라고 하겠으나, 불교에서의 ‘불살생(不殺生)’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냉혹한 현실 속에서도 인간성이 존중되어야 한다는 실제적인 사상을 나타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세속오계는 고신도사상적 무속신앙을 통하여 신과 인간이 합일할 수 있는 차원에서 이룩된 순수성을 바탕으로 강력한 공동체의식과 철저한 의리정신, 숭고한 희생정신, 그리고 선량한 인간의 정신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단순히 신라인들의 시대정신을 표출하는 데 그치지 않고, 화랑도사상의 구체적 실천 덕목을 약여(躍如)하게 부각시키고 이념적 체계를 가다듬게 함으로써 화랑도 발전에 결정적인 구실을 하였다.

이리하여 직접적으로는 신라로 하여금 삼국통일의 위업을 성취하고 세계사상 유례가 드문 천년왕조의 영광을 누리게 하였고, 간접적으로는 후대에 와서 민족사의 흐름 속에서 거세게 밀어닥친 외래문화의 물결 속에서도 우리 민족 특유의 순수선량하고도 의연한 민족성을 이어오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그리고 민족적 전통사상의 도도한 흐름을 타고 고려왕조의 처절한 항몽정신(抗蒙精神)과 조선왕조의 의리사상, 한말의 의병정신, 그리고 일제하에서의 독립정신 등으로 이어지는 불굴의 민족정기의 맥락은 모두 이 세속오계의 정신을 통해 튼튼하게 다져진 것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화랑문화의 신연구』(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1996)
『조선사상사』(현상윤, 반도문화사, 1978)
『조선도교사』(이능화, 한국학연구소, 1977)
『한국사연구초』(신채호, 을유문화사, 1974)
「화랑도의 사상적 연원에 관한 소고」(김정신, 『동방사상논고』-도원유승국박사화갑기념논문집-, 198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