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내의원(內醫院) 소속의 당상(堂上) 의원인 어의(御醫) 가운데 가장 중요한 최고 책임 의원.
제도/관직
설치 시기
조선시대
소속
내의원
내용 요약

수의는 조선시대 내의원(內醫院) 소속의 당상(堂上) 의관인 어의(御醫) 가운데 가장 중요한 최고 책임 의원이다. 신분은 중인이었지만 매우 높은 처우를 받았다. 수의는 중요한 의원 가문이 역임하였고, 지방 수령으로 파견되는 비중도 높았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내의원(內醫院) 소속의 당상(堂上) 의원인 어의(御醫) 가운데 가장 중요한 최고 책임 의원.
임무와 직능

내의원의 관원들 중 의과(醫科)에 합격한 사람을 대상으로 주1내의(內醫)를 선발하였다. 당상관 이상인 자에게는 ‘어의’라 칭하였고 그 수를 제한하지 않았다. 어의 가운데 으뜸을 수의라 불렀다. 내의원의 당하 의관은 내의라고 칭하고 12인으로 수를 제한하였다. 내의 12인 중에서 어의를 선발하기도 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내의를 거쳐 수의로 승급하였다.

이 외에도 내의원 관원과 함께 의약청(議藥廳)에서 약을 의논할 때 함께 참석하는 타 관청의 의관, 즉 의약동참(議藥同參) 12인과 주2주3 12인 또한 당상관과 당하관을 막론하고 어의라고 칭하였다. 내의원의 의원이 내의, 침의, 의약동침 등을 포괄한 것은 약과 침 분야에 걸쳐 관과 민간을 통틀어 최고의 의원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내의원에서 약을 의논하는 일은 전부 수의가 주관한다고 하였다.

내의원은 주4 조제를 맡았기 때문에, 다른 의료기관보다 왕실과 가까워 승진하기 쉬웠다. 허준은 1600년(선조 33)에 수의였던 양예수가 사망하자 수의로 대접 받았으며, 이후 현직 의사로서의 활동보다는 『 동의보감』을 비롯한 의서 편찬에 주력하였다. 영조 대의 수의 김이형(金履亨)은 공이 있다 하여 파주 목사(坡州牧使)가 되었다. 정조강명길(康命吉)은 정조가 주5으로 있을 때부터 총애를 받아 의약에 대한 자문에 응하였으며, 1794년(정조18)에 수의가 되었고, 1799년에는 왕명으로 『 제중신편(濟衆新編)』 8권을 편찬하였다.

그러나 왕이 죽거나 의료사고를 냈을 경우에는 가혹한 처벌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선조의 죽음에 책임을 물어 1608년(광해군 즉위년)에 수의 허준은 의주 귀양길에 올랐으며, 영조 대 수의 권성징(權聖徵)은 효장세자(孝章世子)가 죽었을 때 약을 잘 의논하지 않았다고 하여 주6에 유배되었다.

수의는 내의원 의관 가운데 가장 중요한 책임자로서, 신분은 중인이지만 관인적으로 매우 높은 처우를 받았다. 수의는 중요한 의관 가문이 주로 역임하였고, 지방 수령으로 파견되는 비중도 높았는데, 조선 전기보다 후기로 갈수록 높아졌다.

참고문헌

원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숙종실록(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논문

신유아, 「조선시대 내의원의 기능과 의관의 지위」(『역사와실학』 65, 역사실학회, 2018)
이규근, 「조선후기 내의원 의관 연구: 「내의선생안」의 분석을 중심으로」(『조선시대사학보』 3, 조선시대사학회, 1997)
김양수, 「조선후기 의관의 현관실직 진출: 경기도 수령 등 지방관을 중심으로」(『청대사림』 6, 청주대학교 사학회, 1994)
주석
주1

궁궐 내에서, 임금이나 왕족의 병을 치료하던 의원.    우리말샘

주2

내의원에 속하여 침술로 병을 다스리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우리말샘

주3

침술로 병을 다스리는 의원.    우리말샘

주4

임금의 약을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5

왕세자의 맏아들.    우리말샘

주6

중심이 되는 곳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변경.    우리말샘

집필자
한희숙(숙명여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