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려의 후손 조적(趙績)이 원집 1권을 편집하여 1516년(중종 11)에 처음으로 간행하였다. 9대손 조영석(趙榮柘)이 흩어져 있는 시문을 다시 수집해 부록 1권을 편집하여 원집과 합편해 1742년(영조 18)에 중간하였다. 그 뒤 후손 조성호(趙性昊)·조성순(趙性恂)·조병규(趙昺奎) 등이 속집을 편집하여 원집 2권과 합편해 1901년에 중간하였다. 권두에 박필주(朴弼周)·강혼(姜渾) 등의 서문과 조영석의 지문이 있다. 원집 권2 말에 조영석의 발문, 속집 권두에 송병선(宋秉璿)의 서문, 권말에 이종기(李種杞)와 후손인 조성가(趙性家)·조성호 등의 발문이 있다.
3권 2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국민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45수, 권2는 부록으로 전(傳)·노릉지전(魯陵志傳)·묘갈명·신도비명·묘표·구일등고시발(九日登高詩跋)·알어계선생사우(謁漁溪先生祠宇) 각 1편, 사제문(賜祭文) 2편, 서산서원육선생봉안고문(西山書院六先生奉安告文)·서산서원석채축문(西山書院釋菜祝文)·서산서원상량문 각 1편, 소(疏) 3편, 회계(回啓) 3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3은 속집으로 시 4수, 부록으로 시 2수, 신편장릉지열전(新編莊陵志列傳)·청시소(請諡疏)·시장(諡狀) 각 1편, 서(書) 2편, 노릉사실(魯陵事實)·상왕복상록(上王服喪錄)·병자사화·동학사초혼각사적(東鶴寺招魂閣事蹟)·상왕제각초혼사(上王祭閣招魂辭)·축문·진설도(陳設圖)·추감록(追感錄)·동학서원사적(東鶴書院事蹟)·팔선생추향봉안문·치악산제명록서(雉岳山題名錄序)·사제금성대군문일단(賜祭錦城大君文一段)·규장각계략(奎章閣啓略)·홍문관계략(弘文館啓略)·전교(傳敎)·팔현사기략(八賢祠記略)·영월유생청사액소략(寧越儒生請賜額疏略)·용계서원봉안문·상향문(常享文)·덕봉사봉안문(德峯祠奉安文)·함주지(咸州誌)·채미정기(采薇亭記)·채미정중수기·영월창절사청향소략(寧越彰節祠請享疏略) 각 1편, 비답(批答) 2편, 재소략(再疏略)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차이참의의림사운(次李參議義林寺韻)」은 의림사에서 참선하던 소감을 읊은 것이다. 「문묘비(文廟碑)」는 문묘의 창립과 아울러 유학을 진흥시킨 왕의 공덕을 찬양한 시다. 부록 가운데 「노릉지전」·「구일등고시발」 등은 그의 생애에 관한 내용이다.
소 가운데 「경상도유학신만원등청여원김양현동시정포소(慶尙道幼學辛萬元等請與元金兩賢同施旌褒疏)」는 조려의 충절이 원호(元昊)·김시습(金時習) 등과 대등하므로 이들과 같은 예우로 함안에 사당을 지어 정표(旌表: 어진 행실을 칭송하고 이를 세상에 널리 알림)해 달라고 청원하는 내용이다. 또한 이를 윤허하는 회계가 있다. 육현서원 건립과 서산서원 등의 사액을 청원하는 상소와 이에 대한 회계도 수록되어 있다.
「신편장릉지열전」에는 그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으며, 「상왕복상록」에는 단종에 대해 상복을 입은 엄흥도(嚴興道) 등 충신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팔선생추향봉안문」은 유방택(柳方澤) 등 여덟 충신을 동학서원에 추봉하는 내용이다. 「팔현사기략」은 생육신과 권절(權節)·정포(鄭誧) 등의 팔현을 봉안한 사묘(祠廟)의 기록이다. 「영월창절사청향소략」·「재소략」은 생육신 가운데 조려·이맹전(李孟專)·성담수(成聃壽)·원호 등을 창절사에 추향하기를 청원하는 상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