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

불교
인물
조선 후기, 사명문파의 교와 편양문파의 선을 함께 계승하고 밀양 표충사의 초대 원장을 지낸 승려.
이칭
설송(雪松)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6년(숙종 2)
사망 연도
1750년(영조 26)
출생지
경상도 자인
주요 관직
밀양 표충사 원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연초는 조선 후기 사명문파의 교와 편양문파의 선을 함께 계승하고 밀양 표충사의 초대 원장을 지낸 승려이다. 운문사에서 출가하고 통도사에 오래 주석했으며 제자로는 밀양 표충사 사액 청원운동을 주도한 태허 남붕 등이 있다.

정의
조선 후기, 사명문파의 교와 편양문파의 선을 함께 계승하고 밀양 표충사의 초대 원장을 지낸 승려.
가계 및 인적 사항

속성은 백(白)씨이고 경상도 자인(현재 경산시) 출신이다. 13세에 청도 운문사(雲門寺)로 출가했다.

주요 활동

사명(四溟) 유정(惟政)의 4세손 명암(銘巖) 석제(釋霽)에게 배웠고 편양(鞭羊)문파 환성(喚醒) 지안(志安)의 법을 이었다.

1738년(영조 14)에 유정의 출생지 밀양에 세워진 표충사(表忠祠)가 국가로부터 정식 사액(賜額) 사우로 지정되었을 때 선교양종정사(禪敎兩宗正事)로서 표충사 초대 원장이 되었다. 표충사 사액 청원운동을 주도한 이는 연초의 제자 태허 남붕(太虛南鵬)이었는데, 그는 표충사의 도총섭(都摠攝)이 되었고 유정 관련 기문을 모아 『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1739)을 간행했다.

연초는 통도사(通度寺)에 오래 머물렀으며 차 한 잔을 마신 뒤 임종게(臨終偈)를 쓴 다음 염불을 하고 입적했다. 탑과 비가 출가 사찰인 운문사와 입적지인 통도사에 세워졌다.

상훈과 추모

비문은 제자 태허 남붕의 의뢰로 1754년 영의정 이천보(李天輔)가 썼다. 그에 의하면 연초는 사명파의 교학과 편양파의 선법을 모두 전하여 청허계가 그에 이르러 하나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참고문헌

원전

「雪松堂大師碑銘」
『해동불조원류(海東佛祖源流)』

단행본

김용태, 『조선 불교사상사』 (성균관대 출판부, 2021)
이능화,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 (신문관, 1918)

논문

김용태, 「환성 지안의 종통 계승과 선교 융합」 (『남도문화연구』 36, 순천대 남도문화연구소, 201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용태(동국대학교 교수, 지역불교 및 불교사 연구(조선시대 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