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나무 (나무)

식물
생물
은행나무과 은행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
내용 요약

은행나무는 은행나무과 은행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잎은 부채꼴로 중간 부위가 갈라진다. 중생대 쥐라기 이후부터 현재까지 생존하여 온 오래된 식물의 하나로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불린다. 수형이 크고 깨끗하다. 가을 단풍이 아름답고 병충해가 거의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어 정자목, 풍치수, 가로수로 많이 심는다. 은행은 종자의 일부이나 통속적으로 열매라고 부르고 있다. 은행은 진해·거담에 약효가 좋다. 우리나라·일본·중국에 분포되어 있고, 화석은 북미대륙·그린란드·시베리아·영국·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정의
은행나무과 은행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
개설

한자어로는 은행목(銀杏木) · 행자목(杏子木) · 공손수(公孫樹) · 압각수(鴨脚樹) 등이라 한다. 학명은 Ginkgo biloba L. 이다.

은행은 은빛나는 살구씨 모양의 열매를 뜻하는 것으로 풀이되며, 행(杏)은 주14를 뜻하기도 하나 은행나무를 뜻할 수도 있다고 『아언각비(雅言覺非)』에 기록되어 있다.

내용

소나무 · 향나무 · 가문비나무 · 전나무 등 대부분의 주1은 잎이 바늘모양인데 은행나무의 잎은 부채꼴로 중간 부위가 갈라진다. 잎은 가지 끝에 3∼5개가 조밀하고 어긋나게 달려 마치 한 곳에서 자라난 것처럼 보인다.

암수 딴그루로 4월에 꽃이 피고 암꽃은 2개의 주2가 있으나 이 중 1개가 종자가 되어 10월에 누렇게 익는다. 수꽃은 꽃잎이 없고 2∼6개의 수술은 황록색이며 멀리까지 꽃가루가 퍼진다.

꽃가루에는 꼬리가 달려 있고 이동할 수 있어서 꽃가루라고 하지 않고 주3이라고 한다.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중생대 쥐라기 이후부터 현재까지 생존하여 온 가장 오래된 식물의 하나인 은행나무는 우리나라 · 일본 · 중국에 분포되어 있고, 화석으로는 북미대륙 · 그린란드 · 시베리아 · 영국 ·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북의 높은 산, 고원지대, 그리고 기온이 낮은 곳을 제외하고는 전국에 분포하여 있다.

중국의 시에 “압각이 강남에 나고.”라고 한 것으로 보아 따뜻한 기후를 좋아한다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종자로 묘목을 양성하기가 쉽고, 묘목은 옮겨 심어도 잘 살며, 어릴 때의 자람이 빠른 편이다. 삽목을 하거나 주4로도 번식이 잘 된다. 번식용의 종자는 가을에 땅속에 묻어 두는 이른바 주5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산림경제』에는 둥근 종자를 뿌리면 암나무로 되고 세모지거나 뾰족한 종자에서는 수나무가 생겨난다고 하고, 수나무를 암나무로 만들려면 암나무의 가지를 얻어 수나무줄기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넣어 주면 된다고도 기록하고 있으며, 또 은행나무를 우물가나 못가에 심어 주면 물속에 비치는 그림자와 주6를 하여 종자를 맺을 수 있다고 하였으나 과학적인 근거는 없다. 은행나무의 모양을 보고 암나무와 수나무를 구별하는 방법으로 곁가지와 원줄기가 만드는 각도의 크기로 가능하다고 하나 예외가 있다.

효능 및 기능

은행나무는 오래 살며 수형이 크고 깨끗하다. 그리고 가을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거의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점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서 정자목 또는 풍치수로 심었고, 가로수로도 많이 심었으며, 구미각국에서도 많이 심고 있다.

또, 껍질이 두껍고 코르크질이 많아 화재에 강하므로 주7로도 이용된다. 은행이라는 것은 과학적으로는 종자의 일부이나 흔히 통속적으로 열매라고 부르고 있다. 그 색이 흰 까닭에 백과(白果)라고도 하는데, 주8 등 요리에 쓰이고 과자의 재료가 되기도 하며 날것으로 혹은 구워서 먹기도

진해주9 · 주10에 약효가 있으며, 공주 · 예산 · 보령 · 가평 · 양주 · 포천 등지에서 많이 생산되는데, 연간 175t 정도가 생산된다. 『산림경제』에는 과식하면 소화기를 해치고 중독성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어른은 1회에 10∼15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또한, 잎은 심장에 좋다고 하며 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목재는 결이 곱고 치밀하며 탄력이 있어서 가구재 · 조각재 · 바둑판 · 밥상 등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은행나무에는 주11가 많으며 주12의 뒤쪽에 많이 심었는데, 이것은 중국에서 주13에 살구나무를 심은 것이 잘못 전하여진 것으로 보인다. 예로부터 · 사단(祠壇) · 문묘(文廟) · 묘사(墓舍) 등에 많이 심었다.

참고문헌

『산림경제(山林經濟)』
『아언각비(雅言覺非)』
『조경용소재도감』(한국종합조경공사, 1983)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1981)
『특용수재배학』(임경빈, 향문사, 1975)
『나무백과』 상(임경빈, 일지사, 1971)
『朝鮮林木』(植木秀幹, 朝鮮山林會, 1926)
주석
주1

밑씨가 씨방 안에 있지 않고 드러나 있는 식물. 가루받이 때 꽃가루가 밑씨 위에 바로 붙는다. 꽃잎은 없으며, 줄기에는 형성층이 발달하였으나 물관이 없고 헛물관을 갖는다. 소나무, 소철, 잣나무, 전나무, 은행나무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꽃식물의 꽃의 암꽃술에 있는 중요 기관. 정받이한 뒤에 자라서 씨가 되는 것으로, 속씨식물에서는 씨방 안에 생기고, 겉씨식물에서는 밖으로 드러나 있다. 우리말샘

주3

생물의 수컷의 생식 세포. 사람의 경우 길이는 0.05mm가량이고 머리, 목, 꼬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운동성이 뛰어나다. 모든 후생동물과 은행나무, 이끼, 고사리류, 소철 따위에서 볼 수 있다. 우리말샘

주4

식물의 가지, 줄기, 잎 따위를 자르거나 꺾어 흙 속에 꽂아 뿌리 내리게 하는 일. 우리말샘

주5

조경 식물의 종자를 습기 있는 모래흙, 톱밥 따위에 켜켜이 넣어서 땅속에 저장하는 방법. 종자의 휴면을 깨뜨리는 데 쓰인다. 우리말샘

주6

암수의 생식 세포가 하나로 합쳐져 접합자가 됨. 또는 그런 현상. 동물은 정자와 난자가 합쳐져 수정란을 이루고, 종자식물에서는 암술의 씨방 안의 난핵과 수술의 정핵이 결합하여 수정란을 만든다. 우리말샘

주7

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집이나 산림의 주위에 심는 나무. 소나무, 측백나무 따위의 상록수를 쓴다. 우리말샘

주8

상 위에 놓고 음식을 끓이는 그릇. 또는 그것에 끓인 음식. 구리, 놋쇠 따위로 굽 높은 대접 비슷하게 만든 것인데, 가운데에 숯불을 담는 통이 있고, 통 둘레에 여러 가지 음식을 담아서 끓인다. 보통 여러 가지 어육과 채소를 색을 맞추어 넣고, 그 위에 석이버섯ㆍ호두ㆍ은행ㆍ황밤ㆍ실백ㆍ지단ㆍ실고추 따위를 얹은 다음에 장국을 붓고 끓이면서 먹는다. 우리말샘

주9

기침을 그치게 하는 일. 우리말샘

주10

가래를 없앰. 우리말샘

주11

수령(樹齡)이 많고 커다란 나무. 우리말샘

주12

‘문묘’의 다른 이름. 우리말샘

주13

학문을 닦는 곳을 이르는 말. 공자가 은행나무 단에서 제자를 가르쳤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우리말샘

주14

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5~7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타원형이다. 꽃이 잎보다 먼저 4월경에 피는데 연분홍색이며, 열매는 7월에 누런 붉은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식용하고, 씨는 약용하며, 한국ㆍ중국ㆍ일본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