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계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추충절의보리공신에 책록된 공신.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30년(충숙왕 17)
사망 연도
1388년(우왕 14)
본관
전주(全州)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내부령|동지밀직
관련 사건
위화도회군
정의
고려후기 추충절의보리공신에 책록된 공신. 무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고려의 삭방도만호 겸 동북면병마사 이자춘(李子春: 桓祖)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이씨이다. 조선의 건국자 태조 이성계(李成桂)주1이다. 자식으로는 이양우(李良祐) · 이천우(李天祐) · 이조(李朝) · 이백온(李伯溫) 등 아들 4형제와 딸 4명을 두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한 뒤, 내부령(內府令)이 되었다. 1359년(공민왕 8), 1361년 두 차례에 걸친 홍건적의 침입을 방어하는데 활약하였다. 특히 홍건적의 2차 침입 때는 조천주(趙天柱) 등과 함께 안우(安祐)의 휘하에 종군하여 홍건적을 격퇴하고 개경을 수복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이러한 공으로 1363년 개경을 수복한 공[收復京城功]과 기해년[1359]에 홍건적을 격퇴한 공[己亥擊走紅賊功]으로 각각 이등공신에 책록되고 척산군(陟山君)에 봉해졌다.

1375년(우왕 1) 원나라에서 고려 국왕으로 임명한 심왕(瀋王) 탈탈불화(脫脫不花)가 입국한다는 보고에 따라 국경방비를 강화할 때, 동지밀직(同知密直)으로 원수가 되어 서북방어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이어 1377년 나세(羅世)의 휘하로 종군, 강화에서 왜구를 격퇴하고, 1380년 왜구가 또다시 광주와 능성(綾城) · 화순(和順) 두 현(縣)을 침범하자 주2로서 최공철(崔公哲)과 함께 전라도 방어의 임무를 맡았다.

같은해 황산싸움에서 양광도순검사(楊廣道巡檢使)였던 이원계는 원수로 임명되어, 양광 · 전라 · 경상도 도순찰사(都巡察使)인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왜구를 격퇴하는 데 공을 세워, 추충절의보리공신(推忠節義輔理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다.

1388년 요동정벌(遼東征伐) 때에는 우군도통사(右軍都統使) 이성계 휘하의 팔도도통사 조전원수(八道都統使助戰元帥)로 출전하였다가 회군 5개월 뒤에 죽었다.

상훈과 추모

이성계의 위화도회군에 뜻을 같이 한 공로로 1390년(공양왕 2)에 회군공신 2등, 조선 건국 직후인 1393년(태조 2) 7월에는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며, 1872년(고종 9) 12월 완풍대군(完豊大君)으로 추봉되었다. 묘은 함경남도 함흥의 정릉(定陵) 우측에 있으며, 1909년 함경남도 주3의 선원사(璿源祠)와 1901년 주4의 삼의사(三義祠)에 모셔졌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선원계보(璿源系譜)』
『대동기문(大東奇聞)』
『함경남도지(咸鏡南道誌)』(1930)
주석
주1

둘 이상의 형 가운데 맏이인 형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장성 계급의 하나. 대장의 위로 가장 높은 계급이다. 우리말샘

주3

함경남도 이원군에 있는 면. 농산물(農産物)과 수산물(水産物)의 집산지이며 부근은 철광 산지로 유명하다. 명승지(名勝地)로 마운령의 진흥왕 순수비가 있다. 군청 소재지이다. 우리말샘

주4

함경남도 동북부에 있는 읍. 남대천 유역에 있어서 쌀, 콩, 보리 따위 농산물의 집산지이다. 북청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문수홍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