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상의 장군 예장석묘 ( )

목차
관련 정보
광주 전상의 장군 예장석묘 정면
광주 전상의 장군 예장석묘 정면
조선시대사
유적
문화재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조선시대 무신 전상의의 무덤.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전상의장군예장석묘(全尙毅將軍禮葬石墓)
지정기관
광주광역시
종목
광주광역시 시도기념물(1977년 10월 20일 지정)
소재지
광주 북구 화암동 산239번지
목차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조선시대 무신 전상의의 무덤.
내용

1977년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전상의의 본관은 천안(天安)이며, 지금의 광주광역시 서구 구동에서 용(蓉)의 아들로 태어났다. 1593년(선조 36) 29세 때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으로 벼슬길에 나아갔다. 1617년(광해군 9) 회답사 겸 쇄환사(回答使兼刷還使)가 되어 오윤겸(吳允謙)을 수행하고 일본에 건너가 임진·정유 왜란 때 끌려간 동포를 귀국시키는 데 공을 세웠다.

1627년(인조 5) 구성부사로 있을 때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안주성싸움에서 분전하다 순절하였다.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광주 무등산에 예장하였다. 안주의 충민사(忠愍祠), 광주의 경렬사(景烈祠) 등에 배향되었다. 1684년에는 명정되어 광주 화산 마을에 충신정려를 세웠다.

1979년 신도비를 세웠는데 비문은 홍직필(洪直弼)이 쓴 것이다. 1985년에 충민사를 지었다. 묘소에는 부인과 합장되어 있고, 직경은 4.9m이며, 주위에 호석(護石)이 둘러져 있다. 묘 앞에는 1857년(철종 8)에 세운 묘비가 있다. 관련 유물은 갑옷·투구·활·검 등의 문구류와 교지(敎旨)·완문(完文)·완약(完約) 등이 있다.

참고문헌

『무등산 -문화유적조사-』(광주직할시·향토문화개발협의회, 1998)
『광주시의 문화유적』(광주직할시, 1990)
『무등산』(박선홍, 1996)
『문화재도록』(광주광역시, 199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희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