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녕대군 이제 묘역 (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양녕대군 이제 묘 정면
서울 양녕대군 이제 묘 정면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조선전기 제3대 태종의 장남 양녕대군의 사당과 묘소.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녕대군 이제 묘역(讓寧大君 李? 墓域)
분류
유적건조물/무덤/왕실무덤/조선시대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72년 08월 30일 지정)
소재지
서울 동작구 양녕로 167 (상도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조선전기 제3대 태종의 장남 양녕대군의 사당과 묘소.
내용

1972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관악산의 지맥인 국사봉 북쪽 기슭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에 위치해 있다. 묘역은 11,888평에 건평 9평인 사당을 비롯한 3동의 건물과 묘 1기로 구성되어 있다. 1972년 8월 3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재단법인 지덕사(至德祠)에서 관리하고 있다.

지덕사는 앞툇마루가 놓인 3칸의 사당을 중심으로 전면 마당 좌우측에 제사당 서고 및 제기고를 두었다. 마당 전면에는 삼문을 두고 담장을 둘러 외부와 구분하고 있다. 사당의 뒤편에 양녕대군정경부인 광산 김씨(光山金氏)를 합장한 묘소가 자리하고 있다.

봉분 앞에는 장명등과 묘비 및 문인석이 좌우에 2기씩 서 있다. 양녕대군은 유언으로 호화로운 예장을 받지 말고 묘비와 상석을 만들지 말라 했는데 7대손 김만(金曼)과 8대손 김성항(金性恒)이 묘소 앞에 석물을 세웠다 한다. 하지만 그 때 세운 묘비가 1910년 경술국치 전날인 8월 28일 밤 난데없이 벼락소리와 함께 갈라졌다고 한다. 현재의 묘비는 1915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사당 안에는 세조 어제(御製)의 금자현액(金字懸額), 허목(許穆)의 지덕사기(至德祠記), 정조 어제 지덕사기, 양녕대군이 친필로 쓴 소동파(蘇東坡)의 후적벽부(後赤壁賦) · 팔곡병풍 목각판 및 대군의 필적인 숭례문(崇禮門) 탑본 등이 보관되어 있다.

지덕사는 1675년(숙종 1) 양녕대군의 외손인 우의정 허목의 건의로 남대문 밖 서부 도저동에 세웠다. 이 때 건축된 지덕사는 남관왕묘 건너편에 위치하고 있었다. 현재 서울시 용산구 후암동 일대다. 다음해 건물이 완성되어 지덕사라 이름하고 사적을 지어 현판을 써서 걸었다.

지덕이란 이름은 『논어』권8 태백편(太白篇)의 “태백은 지덕이다.”고 칭한 공자의 말에서 유래되었다. 이 고사는 주나라 대왕 때에 상(商)이 약해지고 주가 날로 강해질 때의 일이다. 대왕에게는 아들 셋이 있었다. 대왕은 셋째 계력(季歷)에게 왕위를 계승시켜 천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장자 태백과 차자 우중(虞中)이 형만(荊蠻)의 땅으로 몸을 숨겨 계력으로 하여금 왕위를 잇도록 하였다. 양녕대군과 효령대군이 동생 충녕대군을 왕위에 오르게 하고자 방탕과 탁불(托佛)한 것을 고사와 비교해서 양녕의 행동을 태백의 지덕으로 명명한 것이다.

1757년(영조 33) 영조는 양녕의 후손인 이지광(李趾光)을 불러 초임직을 주고 퇴락한 사당을 보수하게 했으며, 직접 제문을 짓고 치제하였다. 1789년(정조 13) 정조는 사액했고, 직접 지덕사기를 지어 현판에 써서 걸도록 하였다. 사당은 1912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참고문헌

『한경지략(漢京識略)』
『전주이씨양녕대군파보(全州李氏讓寧大君派譜)』
『서울의 산』(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97)
『문화재현황』(서울특별시, 1997)
『서울육백년사』-문화사적편-(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87)
『서울문화재대관』(서울특별시, 1987)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