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윤구 ()

청경천근민소 / 금사유집
청경천근민소 / 금사유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율봉찰방, 전적 등을 역임하였으며, 『금사유집』 등을 저술한 문신.
이칭
여옥(汝沃)
금사(錦沙)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0년(선조 3)
사망 연도
1646년(인조 24)
본관
진양(晉陽)
출생지
화순
주요 관직
율봉찰방|전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율봉찰방, 전적 등을 역임하였으며, 『금사유집』 등을 저술한 문신.
개설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여옥(汝沃), 호는 금사(錦沙). 화순 출생. 아버지는 참군(參軍) 하대표(河大豹)이며, 어머니는 경주배씨(慶州裵氏)이다.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1610년(광해군 2)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15년 한성시(漢城試)에 응시하기 위하여 김포현관(金浦縣館)에 들렀다가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이 일어난다는 소식을 듣고 분개하여 벽상(壁上)에 「대인륜시(大人倫詩)」를 남기고 과장(科場)에 나가지 않았다. 또한, 폐모론의 극창자들을 탄핵하였다.

1633년(인조 11)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율봉찰방(栗峰察訪)에 이어 전적이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66세의 노구로 후방에서 의병을 지휘하여 청주에 이르렀으나, 화친이 이루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거빈탄(去邠歎)」의 시를 지어 통곡하고 파병(罷兵)하였다.

향리에 돌아와서 비분한 한을 시문으로 달래면서 항상 이의 설욕에 대한 집념을 버리지 않았다. 저서로는 『금사유집(錦沙遺集)』 2권이 있다.

참고문헌

『금사유집(錦沙遺集)』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