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정충신 문서 일괄 ( )

조선시대사
문헌
문화재
조선시대 무신 정충신의 문중(충청남도 서산)에 전래된 유학서. 종가유물.
정의
조선시대 무신 정충신의 문중(충청남도 서산)에 전래된 유학서. 종가유물.
개설

정충신(鄭忠信, 1576∼1636)은 이괄(李适)의 난 때, 도원수 장만(張晩)의 휘하에서 전부대장(前部大將)으로 이괄의 군사를 황주와 서울 안산(鞍山)에서 싸워 이겼다. 이괄의 난을 진압한 공로가 인정되어 진무공신(振武功臣) 1등에 책록되었고, 금남군(錦南君)에 봉해졌다.

‘서산 정충신 문서 일괄’은 금남군으로 봉한 교서(敎書)를 비롯해서 정충신과 관련된 고문서 38점, 그리고 1699년(숙종 25)에 간인된 정충신의 문집인 『금남집(錦南集)』 등 40점이다. 2011년 7월 20일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서지적 사항

정충신 관련 고문서 39점과 그의 문집 『금남집』 1책이다. 고문서는 정충신 공신교서(功臣敎書) 1건(호접장, 1625년 4월), 교서 1건(90×202, 1632년 4월 3일), 교지(敎旨) 13건(1623년 3월 21일~1634년 10월 3일), 시호 교지(諡號敎旨) 1건(1685년 8월 11일) 시호 서경(諡號署經) 1건(54×46, 1685년 8월 19일), 완의(完議) 1건(39×51.5, 1685년 12월 1일), 유서(諭書) 4건(1627년 1월 2일~1632년 3월 26일), 유지(有旨) 16건(1622년 3월 7일~1627년 3월 22일) 등이다.

『금남집』은 목판본으로, 발(跋)에 의하면, 1699년(숙종 25)에 간인된 것으로 보인다. 분권되지 않은 1책으로 반곽(半郭)의 크기는 23.5×18.1㎝이고, 책의 크기는 34.5×23.0㎝이다. 표지 서명은 『금남집』이고, 권수제와 판심제는 『금남사적(錦南事蹟)』이다. 서(序)는 1672년(현종 13)에 원경하(元景夏)가 썼고, 발문은 곡성현감(谷城縣監) 문흥감(文興感)이 썼다.

내용

정충신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고려 명장 정지(鄭地)의 9대손으로 금천군(錦川君) 정윤(鄭倫)의 아들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光州牧使)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종군하였고, 이해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621년(광해군 13) 만포첨사로 국경을 수비하였으며, 이때 명을 받고 여진족 진에 들어가 여러 추장을 만나기도 하였다. 1623년(인조 1) 안주목사로 방어사를 겸임하고, 다음해 이괄의 난 때에는 황주와 서울에서 이괄의 군사를 진압하여 그 공로로 진무공신 1등이 되었다. 저서로 『만운집』·『금남집』·『백사북천일록(白沙北遷日錄)』 등이 있고, 시호는 충무(忠武)이다.정충신가의 소장 고문서는 총 53건이나, 정충신 관련 고문서 39점과, 정충신의 문집인 『금남집』 1건 등 40점만이 일괄 지정되었다. 일괄지정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번 문서명 발급자 수취자 크기(㎝) 작성년도 장정형태
1 공신교서(功臣敎書) 국왕(國王) 정충신(鄭忠信)   1625년(天啓 5) 4월 일 호접장
2 교서(敎書) 국왕 정충신 90×202 1632년(崇禎 5) 4월 3일 낱장
3 교지(敎旨) 국왕 정충신 48×86 1623년(天啓 4) 3월 21일 낱장
4 교지 국왕 정충신 48×64 1620년(萬曆 48) 11월 18일 낱장
5 교지 국왕 정충신 50×69 1621년(天啓 1) 윤2월 4일 낱장
6 교지 국왕 정충신 52×70 1622년(天啓 2) 3월 12일 낱장
7 교지 국왕 정충신 50×74 1624년(天啓 4) 8월 3일 낱장
8 교지 국왕 정충신 47×54 1629년(崇禎 2) 12월 26일 낱장
9 교지 국왕 정충신 51×73 1628년(崇禎 1) 9월 26일 낱장
10 교지 국왕 정충신 47×64 1631년(崇禎 4) 4월 28일 낱장
11 교지 국왕 정충신 48×71 1632년(崇禎 5) 1월 9일 낱장
12 교지 국왕 정충신 53×63 1634년(崇禎 7) 3월 9일 낱장
13 교지 국왕 정충신 53×65 1634년(崇禎 7) 10월 3일 낱장
14 교지 국왕 정충신 53×71 1634년(崇禎 7) 10월 3일 낱장
15 교지 국왕 정충신 53×65   낱장
16 시호교지(諡號敎旨) 국왕 정충신   1685년(康熙 24) 8월 11일 낱장
17 시호서경(諡號署經) 국왕 정충신 54×46 1685년(康熙 24) 8월 19일 낱장
18 종의(完議) 국왕 정충신 39×51.5 1685년(康熙 24) 12월 1일 낱장
19 유서(諭書) 국왕 정충신 52×57 1627년(天啓 7) 1월 25일 낱장
20 유서 국왕 정충신 53×126 1632년(崇禎 5) 1월 11일 낱장
21 유서 국왕 정충신 53×123 1632년(崇禎 5) 3월 26일 낱장
22 유서 국왕 정충신 53×60   낱장
23 유지(有旨) 국왕 정충신 51×68.5 1622년(天啓 2) 3월 7일 낱장
24 유지 국왕 정충신 50.5×58.5 1622년(天啓 2) 7월 17일 낱장
25 유지 국왕 정충신 50×142 1630년(崇禎 3) 5월 12일 낱장
26 유지 국왕 정충신 49×72 1630년(崇禎 3) 5월 27일 낱장
27 유지 국왕 정충신 51×69.5, 1630년(崇禎 3) 5월 24일 낱장
28 유지 국왕 정충신 51.5×55 1630년(崇禎 3) 6월 2일 낱장
29 유지 국왕 정충신 1622.03.07.-50×72 1630년(崇禎 3) 6월 20일 낱장
30 유지 국왕 정충신 51×74 1630년(崇禎 3) 6월 24일 낱장
31 유지 국왕 정충신 51×60 1630년(崇禎 3) 6월 29일 낱장
32 유지 국왕 정충신 50×72 1631년(崇禎 4) 6월 13일 낱장
33 유지 국왕   49×57 1631년(崇禎 4) 6월 24일 낱장
34 유지 국왕 정충신 51×71 1631년(崇禎 4) 7월 22일 낱장
35 유지 국왕 정충신 53×52 1630년(崇禎 3) 6월 10일 낱장
36 유지 국왕 정충신 43×79 1627년(天啓 7) 4월 5일 낱장
37 유지 국왕 정충신 38.5×31 1627년(天啓 7) 8월 12일 낱장
38 유지 국왕 정충신 34×33.5 1627년(天啓 7) 3월 22일 낱장
39 치제문(致祭文) 국왕 정충신 54×73 1798년(嘉慶 3) 낱장
40 금남집(錦南集)     34.5×23 1699년 1책
의의와 평가

정충신 일괄문서는 진무공신 교서 등 일괄로, 17세기 역사적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문서라는데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현지조사보고서」(성봉현, 2011)
문화재청(www.cha.go.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