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임진왜란 때 함창 황령사에서 창의(倡義)하여 일본군을 격퇴한 의병장.
이칭
여우(汝遇)
일묵재(一默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2년(명종 17)
사망 연도
1608년(선조 41)
본관
상주(尙州)
내용 요약

김광두는 조선 후기 임진왜란 때 정경세, 이전, 이준 등과 함께 함창 황령사에서 창의하여 왜군을 격퇴하였다. 전란이 끝난 후 정경세 등과 함께 사설 의료원인 존애원(存愛院)을 설립하는 데 동참하였다. 사망 후 효곡서원에 제향되었다.

정의
조선 후기 임진왜란 때 함창 황령사에서 창의(倡義)하여 일본군을 격퇴한 의병장.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상주(尙州). 할아버지는 김국량(金國良)이고, 아버지는 김인(金仁)이다.

주요 활동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부산과 동래성을 함락시키고 북상하였다. 4월 20일 상주목사 김해(金澥)와 함창현감 이국필(李弼)이 군사를 거느리고 경상도관찰사 김수(金睟)를 후원하기 위해 출진하였는데, 인동과 성주의 경계에서 일본군에게 패하였다. 상주목사 김해는 상주를 사수하지 않고 자신의 주1을 데리고 도망하였다. 주2 이일(李鎰)은 문경을 거쳐 상주로 들어와 일본군의 북상을 차단하고자 하였다.

4월 25일 고니시 유키나가 군이 상주로 들어왔고, 이일 군과 전투를 벌였다. 이 상주전투에서 조선군은 일본군에게 크게 패하였고, 이일은 단기로 달아났다. 4월 26일 일본군은 상주를 점령하였다. 상주를 점령한 일본군은 후방기지를 건설하고, 용궁 · 가은 · 화령 등지까지 진출하였다. 인근의 수령들은 모두 도주하였다.

이후 김광두는 정경세(鄭經世) · 이전(李㙉) · 이준(李埈) · 전식(全湜) · 조정(趙靖) 등과 함창 황령사(黃領寺)에서 주3하여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학문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에서 수학한 문인이다. 1599년(선조 32) 김광두는 정경세 등과 함께 사설 의료원인 존애원(存愛院)을 설립하는 데 동참하였다. 이후 송령(松領) 아래에 집을 짓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1606년(선조 39) 44세에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추모

1608년(선조 14) 사망하였고, 상주 효곡서원(孝谷書院)김충(金沖), 고인계(高仁繼)와 함께 주4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논문

장준호, 「임진왜란기 聞慶의 義兵 활동과 지역의 動向」(『국학연구』 44, 2021)
김형수, 「임란직후 상주 지역질서의 재편과 존애원存愛院」(『국학연구』 30, 2016)

인터넷 자료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aks)
주석
주1

한집에 거느리고 사는 식구.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왕명으로 군무(軍務)를 띠고 변경을 순찰하던 특사.    우리말샘

주3

국난을 당하였을 때 나라를 위하여 의병을 일으킴.    우리말샘

주4

나라에서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