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후 ()

조선시대사
인물
임진왜란 당시, 형 이광후와 함께 곽재우 휘하에서 활약한 의병장.
이칭
비승(丕承)
죽헌(竹軒 )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7년(선조 즉위년)
사망 연도
1648(인조 26)
본관
농서(隴西)
관련 사건
임진왜란
내용 요약

이창후는 임진왜란 당시, 형 이광후와 함께 곽재우의 휘하에서 활약한 의병장이다. 17세의 어린 나이에 형을 따라 전후 8년 동안 곽재우의 막하에서 활동하면서 정진을 방어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는 곽재우를 따라 화왕산성을 지켰다. 향리에서는 이름난 효자였다.

정의
임진왜란 당시, 형 이광후와 함께 곽재우 휘하에서 활약한 의병장.
가계 및 인적사항

1567년(선조 즉위년)에 태어나 1648년(인조 26)에 죽었다. 본관은 농서(隴西)이다. 증조부는 병조 판서를 지낸 이자상(李自商)이고, 형은 이광후(李光後)이다.

주요활동

1592년 4월 19일 일본 제3군 구로다 나가유키〔黑田長政〕와 오오토모 요시무네〔大友義統〕가 이끄는 1만 1000명의 일본군이 김해에 상륙하였다. 이들은 김해와 창원을 연이어 함락시키고 북상하였다. 일본군은 칠원(漆原) - 영산(靈山) - 창녕(昌寧) – 현풍(玄風)을 거쳐 대구의 서쪽 주1까지 진격하였다. 조정에서는 김성일(金誠一)경상우도 주2에 임명하였다. 김성일의 초유 활동으로 경상우도에서 곽재우, 김면, 정인홍 등이 의병을 일으켰다.

이창후는 17세에 임진왜란을 경험하였다. 아직 혼례도 치르지 않았던 그는 일본군의 침략 소식을 듣고 형 이광후와 함께 곽재우의 막하에 합류하였다. 초유사 김성일의 초유 활동으로 경상우도에도 곳곳에서 의병 주3가 이어졌다. 주4들 중에는 곽재우가 이끄는 의병 부대에 합세하는 자들도 늘어났다. 곽재우는 효율적인 의병 활동을 위해 군사 업무를 분장하였다.

이창후는 형 이광후와 함께 곽재우의 막하에서 전후 8년 동안 정진(鼎津)에서 일본군을 격퇴하는 데 참여하였다.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현풍 석문산성에 주둔하였던 경상좌도 방어사 곽재우는 조정의 청야책에 따라 창녕 주5을 지켰다. 이창후는 곽재우를 따라 화왕산성에 들어갔다. 이창후는 모친의 주6를 당한 후 3년 동안 주7하니 향리의 사람들이 효자라 감동하여 관가에 알리려고 하였다. 그 소식을 들은 이창후는 이를 중지시켰다는 일화가 전한다.

상훈과 추모

경상도 자인의 상덕사(尙德祠)에 주8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단행본

최효식, 『임란기 경상좌도의 의병항쟁』(국학자료원, 2004)

논문

장준호, 「임진왜란기 경상우도방위의 실상과 지역의 동향: 경상우도 합천지역을 중심으로」(『동양고전연구』 74, 동양고전학회, 2019)
최효식, 「임란기 망우당 곽재우의 의병항전」(『신라문화』 24,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4)
주석
주1

경상북도의 서남부에 있는 군. 명승지로 성산산성(星山山城), 동방사 유지(東方寺遺址), 가야 고분(伽倻古墳), 가야산, 인흥사(仁興寺) 따위가 있다. 군청 소재지는 성주.    우리말샘

주2

난리가 일어났을 때, 백성을 타일러 경계하는 일을 맡아 하던 임시 벼슬.    우리말샘

주3

국난을 당하였을 때 나라를 위하여 의병을 일으킴.    우리말샘

주4

의병을 거느리는 장수.    우리말샘

주5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에 있는 삼국 시대의 산성. 조선 전기에 성의 기능을 잃었다가 임진왜란 때 의병의 근거지로 활용되었다. 이후 몇 번의 수리를 거쳐 지금까지 잘 보존되고 있다. 둘레는 2.6km이다. 사적 정식 명칭은 ‘창녕 화왕산성’이다.    우리말샘

주6

사람이 죽은 사고.    우리말샘

주7

눈물을 흘리며 슬프게 욺.    우리말샘

주8

공신의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일.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