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린 ()

조선시대사
인물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휘하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무신.
이칭
사박(史博)
묵암(黙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595년(선조 28)
본관
창원(昌原)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정린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휘하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무신이다. 이순신의 지휘 아래 초기 해전에서 전공을 세웠다.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도 참전하였다. 부산포 해전에서 형 정철이 전사하자, 복수를 위해 적진으로 돌진하였다. 정린은 부산포 해전에서 입은 부상으로 사망하였다.

정의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휘하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무신.
가계 및 인적사항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사박(史博), 호는 묵암(默巖)이다. 할아버지는 월천공(月川公) 정계생(鄭戒生)이고 아버지는 정순원(鄭舜元)이다. 정린의 가계는 할아버지인 정계생이 기묘사화를 피해 순천부 여수면 고음천(古音川)으로 이사한 후 자손들이 세거(世居)하게 되었다. 형은 청은공(靑隱公) 정철(丁哲)이다.

주요 활동

1588년(선조 21)에 정린은 사촌 형 정춘(丁春), 조카 정대수(丁大水)와 함께 무과에 급제하였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린은 형 정철, 재종 형제 정춘, 조카 정대수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이순신 막하로 들어갔다. 정린은 무과 동년의 일가 3인과 사촌 형 정철과 함께 전라 좌수영에 자원종군하여 초기 해전에서 공을 세웠다.

정철은 우위장(右衛將)이 되어 녹도만호 정운(鄭運), 송희립(宋希立) 등과 함께 책임을 부여받고 진군하였다. 정철과 정린은 당항포 해전에서 전공을 세웠다. 이 전공으로 정철은 초계 군수에 제수되었다. 1593년(선조 26)에 진주에 남아 있던 일본군이 사방으로 흩어져 백성들이 유망하게 되자, 이순신은 정철을 별장으로 삼았다.

정린은 형 정철과 함께 진주 전장에서 사력을 다해 싸워 전공을 세웠다. 1595년(선조 28)에 부산포 해전에서 형 정철은 전후장(殿後將)으로 일본군과 교전을 벌이다 포환에 맞아 전사하였다. 정린은 아들 정언신(丁彦愼)과 함께 형의 시신을 수습해 본선(本船)에 안치한 후, 형의 복수를 위해 혼자 작은 배를 이끌고 집접 적진에 돌진하였다. 그는 겹겹이 쌓인 포위망을 뚫고 들어가 일본군을 무찔렀다.

아들 정언신은 부상당한 아버지를 보호하고 적의 포위망을 뚫고 나왔다. 얼마 뒤 정린은 부산포 해전에서 당한 부상으로 병세가 깊어져 사망하였다. 아들 정언신도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적의 요새로 직접 뛰어들어 싸우다 전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임진왜란 후에 조정에서는 정린을 선무원종공신 2등에 책봉하였다. 형 정철과 조카 정대수는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1847년(헌종 13)에 정철, 정린, 정춘, 정대수를 기리는 사충사(四忠祠)가 건립되었고, 1927년 정린의 후손들과 충무공 이순신의 본손들이 합의하여 웅천동 송현마을에 이순신을 주향으로 하고 정씨사충을 배항하는 오충사를 건립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난중일기(亂中日記)』

단행본

『이순신의 전쟁기록과 전라도수군의 활동사』(국립순천대학교박물관, 2016)
『이충무공과 여수 오충사』(여수지역사회연구소, 2006)

인터넷 자료-

디지털여수문화대전(http://yeosu.grandculture.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