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제화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사간원과 사헌부에서 언관으로 활동한 문신, 학자.
이칭
중망(仲望)
남계(南溪)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25(인조 3)
사망 연도
1675(숙종 1)
본관
해미(海美)
주요 관직
사헌부 장령, 경성판관
내용 요약

곽제화는 효종조에 출사하여 숙종대까지 주로 사간원, 사헌부에서 언관으로 활약하였다. 현종조에서는 우의정 정유성의 탄핵을 둘러싸고 국왕과 알력을 벌이기도 하였다. 경성판관 재임 시 월과(月課)를 세 차례 올리지 못한 일로 파직되고, 함경도 경성에 충군되었다.

정의
조선 후기 사간원과 사헌부에서 언관으로 활동한 문신, 학자.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해미(海美). 고조할아버지는 곽세공(郭世功), 증조할아버지는 예조좌랑을 역임한 곽기수(郭期壽)이다. 할아버지는 곽치요(郭致堯), 아버지는 주1을 지낸 곽성귀(郭聖龜)이다. 동생은 곽제항(郭齊恒)이다. 해미곽씨는 세 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하였는데, 곽기수, 곽성귀, 곽제화이다. 장인은 홍명현(洪命顯)이다.

주요 활동

1650년(효종 1) 생원, 진사시에 모두 입격하였다. 같은 해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출사 직후인 1652년(효종 3) 사관을 역임하고, 효종조에서는 사헌부 주2과 사간원 주4을 역임하였다. 현종조에서도 사헌부 지평과 사간원 정언을 역임하였다.

주로 주5으로 있으면서 공론(公論)울 주도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1662년(현종 3)에 사헌부 주6으로 있으면서 우의정 정유성(鄭維城)을 탄핵하였다. 탄핵을 받은 정유성은 사직 상소를 올렸다. 이 일로 인해 곽제화는 경성판관(鏡城判官)에 제수되었다.

하지만 사간(司諫) [^7]김우형(金宇亨) 등이 상소를 올려 곽제화의 외직 임명을 철회할 것을 건의하였다. 김우형은 자신의 의견이 받아들이지 않자 주8하여 현종을 압박하기도 하였다. 우의정 정유성도 재차 사직 상소를 올렸다. 결국 경성판관에 제수된 곽제화는 주9를 하였음에도 임지에 부임하지 않았다. 현종은 곽제화에게 임지로 떠나라는 하교(下敎)를 내리기까지 하였다.

우의정 정유성의 탄핵과 곽제화의 경성판관 제수를 둘러싼 현종과 대간들의 갈등은 지속되었다. 결국 현종은 대간들이 곽제화의 외직 임명 철수를 요청하는 건의를 올리지 못하게 하였다. 이후 경성판관 곽제화는 월과(月課)를 세번이나 짓지 않았다는 이유로 파직되었고, 해당 고을인 경성에 주10)되었다. 1675년(숙종 1년) 사헌부 헌납으로 조정에 복귀하였다. 이후 사간과 주11를 역임하였다.

상훈과 추모

1790년(정조 14) 전라도 영암군에 문중 사우(祠宇)가 건립되었다. 처음에는 부암서원(夫岩書院)으로 건립되었고, 뒤에 곽제화의 영정을 봉안한 부암영당(夫岩影堂)이 세워졌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고, 복설(復設)과 소실이 반복되었다. 2010년 충효사라 개칭하고 지금에 이르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숙종실록(肅宗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인터넷 자료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aks)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http://www.grandculture.net)
주석
주1

조선시대에, 사간원에 둔 정오품 벼슬. 태종 1년(1401)에 보궐(補闕)을 고친 것으로 임금의 잘못을 지적하여 고치게 하는 일을 맡아보았다.

주2

대지의 편평한 면.    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에 속하여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간절히 말하거나 글을 올려 일의 옳지 아니함을 논박하는 일을 맡아보던 종육품 낭사(郎舍) 벼슬. 예종 11년(1116)에 습유(拾遺)를 고친 것으로, 충렬왕 34년(1308)에 사보(思補)로 고쳐서 정육품으로 올렸다가, 공민왕 5년(1356)에 다시 이것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4

조선시대에, 사간원에 속한 정육품 벼슬. 태종 1년(1401)에 문하부의 낭사가 사간원으로 독립할 때 습유를 고친 것이다.

주5

임금이나 어른,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잘못을 고치도록 크게 간함.    우리말샘

주6

조선시대에, 사헌부(司憲府)에 속한 정사품 벼슬. 태종 원년(1401)에 사헌시사를 고친 것이다.

주7

조선시대에, 사간원에 속한 종삼품 벼슬. 세조 12년(1466)에 지사간원사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8

공동으로 책임을 지고 일을 피하던 일.    우리말샘

주9

예전에,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공손하고 경건하게 절을 올리던 일.    우리말샘

주10

군대에 편입시킴.    우리말샘

주11

고려 말기ㆍ조선 전기에, 사헌부에 속한 정삼품 벼슬.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