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때 의병을 일으킨 의병장이자 학자.
이칭
자룡(子龍)
풍암(楓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1년(선조 4)
사망 연도
1627년(인조 5)
본관
광산(光山)
내용 요약

김덕보는 조선 후기 임진왜란 때 형 김덕홍, 김덕령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전라도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형 김덕령이 옥사에 연루되어 죽은 후, 광주 무등산에 풍암정을 짓고 은둔하여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정묘호란 때는 안방준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정의
조선 후기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때 의병을 일으킨 의병장이자 학자.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아버지는 김익(金翊)이다. 아버지는 김붕섭(金鵬燮)이고, 어머니는 남평반씨(南平潘氏)로 직장(直長) 반계종(潘繼宗)의 딸이다. 김익과 김붕섭은 재행은 있었으나 현달하지는 못하였다. 큰형은 김덕홍(金德弘)이고, 둘째 형은 김덕령(金德齡)이다.

주요 활동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큰형 김덕홍이 먼저 의병을 일으켰으나 고경명과 함께 금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이후 담양부사 이경린(李景麟)과 장성부사(長城府使) 이귀(李貴)주1에게 김덕령을 장군으로 천거하였다. 특히 이경린은 전투 장비까지 내주면 거병할 것을 권유하였다. 김덕보는 큰형이 의병을 일으켰을 때 노모를 모시고 집에 머물러 있었다.

둘째 형 김덕령은 순절한 형 김덕홍의 뒤를 이어 주2하였다. 그의 의병 활동은 형에 대한 복수의 성격이 강하였다. 거병 직후 둘째 형 김덕령은 주3 권율로부터 초승장(超乘將)이란 칭호를 받았다. 주4를 이끌던 광해군은 김덕령에게 익호장(翼虎將)이라는 칭호를 내려주었다. 의병장으로서 기치를 세웠던 작은 형 김덕령은 두 차례에 걸쳐 옥사에 연루되었다. 그는 1596년(선조 29) 이몽학(李夢鶴)의 난이 일어났을 때 무고를 당해 화를 면하지 못하였다.

김덕보는 두 형이 비명(非命)에 죽은 것을 애통히 여겨 세상 일에 뜻을 두지 않았다. 그는 광주 무등산에 풍암정(楓巖亭)을 짓고 은둔하여 학문과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1627년(인조 5) 후금(後金)이 조선을 침입한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안방준(安邦俊)과 합심하여 창의하고자 하였으나, 노병으로 전장에 나가지 못하고 죽었다.

상훈과 추모

김덕보는 장형 김덕홍, 차형 김덕령, 박광옥(朴光玉), 오두인(吳斗寅)과 함께 의열사에 배향되었다. 1785년(정조 9) 정조는 김덕보를 집의에 증직하였다. 차형 김덕령에게는 충장(忠壯)이라는 시호가 내려졌고, 장형 김덕홍은 지평에 증직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김충장유사(金忠壯公遺事)』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정조실록(正祖實錄)』
『홍재전서(弘齋全書)』

인터넷 자료-

한국고전번역원(https://www.itkc.or.kr)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aks)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둔, 각 도의 으뜸 벼슬. 그 지방의 경찰권ㆍ사법권ㆍ징세권 따위의 행정상 절대적인 권한을 가진 종이품 벼슬로, 도관찰출척사를 세조 12년(1466)에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2

국난을 당하였을 때 나라를 위하여 의병을 일으킴.    우리말샘

주3

고려ㆍ조선 시대에, 전쟁이 났을 때 군무를 통괄하던 임시 무관 벼슬.    우리말샘

주4

조정을 나눔.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