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도 ()

강서 강서대묘 북벽 현무
강서 강서대묘 북벽 현무
회화
개념
동서남북의 방위를 나타내고 우주의 질서를 진호하는 상징적인 동물을 그린 그림. 사령 · 사수.
이칭
이칭
사령(四靈), 사수(四獸)
내용 요약

사신도는 동서남북의 방위를 나타내고 우주의 질서를 진호하는 상징적인 동물을 그린 그림이다. 사신은 사령·사수라고도 하는데, 동쪽의 청룡, 서쪽의 백호, 남쪽의 주작, 북쪽의 현무를 일컫는다. 사신사상은 중국의 전국시대부터 진한시대에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방위와 색깔, 수호신으로서의 동물과 결합한 형태로 오행사상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방위신인 사신은 군 부대의 깃발과 포진에 응용되거나 풍수지리에 적용되기도 했다. 사신도는 삼국시대 고구려 고분벽화에 등장한 이래 건축물·동경·동전 등 방위와 관련된 특정 공간이나 기물에 장식되었다.

목차
정의
동서남북의 방위를 나타내고 우주의 질서를 진호하는 상징적인 동물을 그린 그림. 사령 · 사수.
연원 및 변천

사신(四神)은 ‘사령(四靈)’ 또는 ‘사수(四獸)’라고도 지칭하며 동쪽의 청룡(靑龍), 서쪽의 백호(白虎), 남쪽의 주작(朱雀), 북쪽의 현무(玄武)를 일컫는다. 사신에 대한 도상(圖像)과 관념이 언제부터 유래했는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중국의 전국시대부터 진한시대(秦漢時代)에 걸쳐 정착된 것으로 생각된다.

사신에 대한 개념은 오행설(五行說)과도 관련이 깊다. 『회남자(淮南子)』의 「천문훈(天文訓)」에서는 오성(五星)을 설명하면서 동방은 목(木)으로 그 동물은 창룡(蒼龍)이고, 남방은 화(火)로 그 동물은 주조(朱鳥)라 하였다. 그리고 중앙은 토(土)로 그 동물은 황룡(黃龍)이고, 서방은 금(金)으로 그 동물은 백호이며, 북방은 수(水)로 그 동물은 현무라 하였다. 이로 보아 오행사상에 기초한 천문관 · 방위관 · 색채관이 사신사상의 성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방위신(方位神)인 사신은 사방의 수호신으로서 군사적으로는 부대의 깃발, 포진에도 응용되었다. 그리고 좌청룡 · 우백호 · 전주작 · 후현무로 풍수지리(風水地理)에 적용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중국 고대부터 고분의 내부, 건축물, 동경(銅鏡), 동전(銅錢) 등 방위의 의미를 지닌 특정 공간이나 기물에 사신을 장식하는 일이 유행하였다.

내용

우리나라에서 사신의 개념이나 형상이 표현되는 것은 삼국시대에 중국 문화의 전래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가장 먼저 나타나는 것이 고구려 고분벽화요동성총(遼東城塚) 등 4∼5세기 고분에서부터 사신도가 등장한다. 또 천장화의 일상(日像)과 월상(月像), 별자리 그림에서도 사신의 개념을 찾아볼 수 있다.

사신도가 등장하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예로는 요동성총, 무용총, 쌍영총(雙楹塚), 대안리1호분(大安里一號墳), 팔청리벽화고분(八淸里壁畵古墳), 매산리사신총(梅山里四神塚), 약수리벽화고분(藥水里壁畵古墳), 고산리9호분(高山里九號墳), 개마총(鎧馬塚), 호남리사신총(湖南里四神塚), 고산리1호분(高山里一號墳), 강서대묘(江西大墓), 강서중묘(江西中墓), 진파리1호분(眞坡里一號墳), 내리1호분(內里一號墳), 통구사신총(通溝四神塚), 통구4호분, 통구5호분 등이 있다.

이들 고분의 사신도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중국의 한 · 육조 · 수 · 당 초기의 영향을 보여 주고 있다. 4∼6세기로 편년되는 벽화고분에는 사신도가 인물풍속화와 함께 그려져 있다. 그리고 6세기 말∼7세기 전반경에 들어서면서 사신이 고분벽화의 네 벽에 그려지는 화제(畵題)로 등장한다. 그 가운데에서도 강서대묘, 진파리1호분, 통구사신총 등 후기의 사신도 벽화는 가장 세련되고 주1하는 표현을 보이며, 고구려의 뛰어난 회화 솜씨를 증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구려의 사신도는 백제에도 영향을 미쳐 공주의 송산리고분(宋山里古墳), 부여의 능산리고분(陵山里古墳)의 벽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개풍의 수락암동1호분(水落巖洞一號墳)에서 보듯이 12지신상(十二支神像)과 함께 등장하기도 한다. 또한 사신이 조각된 석관(石棺)으로 미루어 고려시대 묘제(墓制)에도 사신도가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선조목릉(穆陵)에 사신도가 나타나 있으며 민화(民畵)에서도 즐겨 다룬 화제였다.

이와 같은 사신도의 형상은 시대마다 약간씩 다른 양식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대체로 현실과 상상의 동물이 복합된 내용으로 그 모습이 서로 유사하다. 청룡과 백호는 두 날개와 사지(四肢)를 가진 상상적인 동물로 허공을 나는 자세나 외형이 비슷하게 표현된다. 청룡은 몸에 뱀의 비늘로 무늬를 넣고 눈을 부리부리하게 뜬 머리에 뿔이 한 개 혹은 두 개 돋아 있다. 화염(火焰)을 뿜고 있는 것이 통례이다. 백호의 경우 호랑이의 특징을 살린 안면과 호피문(虎皮文)으로 표현되었으며, 혀를 내밀어 위용을 나타냈다. 주작은 봉황과 유사한 형상이며, 일반적으로 한 쌍으로 등장한다. 거북과 뱀으로 표현되는 현무는 청룡 · 백호 · 주작 등과 다르게 실존하는 동물로 구성되어 있다. 뱀과 거북이 서로 몸을 휘감고 엉킨 모습으로 그려졌다.

참고문헌

『사기(史記)』
『천관서(天官書)』
『회남자(淮南子)』
『사기(史記)』
『천관서(天官書)』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전호태, 사계절, 2000)
『한국의 벽화고분』(김기웅, 동화출판공사, 1982)
『한국벽화고분』(김원룡, 일지사, 1980)
「강서고분벽화의 기원에 대한 연구」(이병도, 『동방학지』 1,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1954)
주석
주1

기품이 넘쳐, 뛰어난 예술품을 이르는 말. 중국 육조 시대에 주로 인물화에 썼던 말로, 묘사할 대상의 기질과 성격이 화면에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을 때 표현하였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