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극
작품
1934년 유치진(柳致眞)이 지은 희곡 작품.
목차
정의
1934년 유치진(柳致眞)이 지은 희곡 작품.
내용

1934년 유치진(柳致眞)이 지은 희곡 작품.

3막. 1935년 극예술연구회(劇藝術硏究會)의 공연극본으로 씌어진 작품이나 일제의 검열로 상연되지 못하고, 동경학생예술좌(東京學生藝術座)의 창립공연으로 상연되었다.

<토막 土幕>(1932)·<버드나무 선 동네 풍경>(1933)로 이어지는 유치진의 농촌극의 대표작으로, 사실주의(寫實主義) 계열의 한국연극 가운데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1930년대 한국농촌을 무대로 하였다. 소작농 국서(局瑞)의 가족은 소 한마리가 유일한 재산이다. 이것을 몰래 팔아서 한 몫 장만하려 드는 둘째아들, 소를 저당잡아서 서울로 팔려갈 위치에 처한 이웃집 처녀를 구하고 나아가 그 처녀에게 장가들고 싶어 하는 큰아들, 끝내는 밀린 소작료의 대가로 소를 몰아내려 드는 마름과의 옥신각신이 우스꽝스러운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그러나 끝내는 이 집안(그리고 마을 전체)의 비극으로 끝나는 이 작품은, 작가의 현실고발과 연극적 재치가 균형을 잘 이루고 있다.

민족항일기 농촌의 현실과 삶의 비참함에 대해서는 이미 전작(前作)에서 다룬 바 있거니와, 이야기의 주축을 이루는 소작인과 마름과의 관계에다 빈곤 때문에 도회지로 팔려가야 할 궁지에 몰린 동네 처녀, 마을을 탈출하여 새로운 기회를 엿보려는 아들, 서울서 타락하여 돌아온 동네여자 등 여러 등장인물이 전체적으로 매우 잘 짜여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뛰어난 점은 표제인 ‘소’를 작품의 중심에 두고서 극 전체가 구상되었다는 데 있다. 유치진은 이 극으로 해서 일제경찰에 구속당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리얼리즘으로부터의 후퇴라는 그의 작가경력의 큰 전환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이 작품은 1937년에 극예술연구회에 의하여 상연되었을 때에는 <풍년기 豊年記>라고 개제(改題)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류치진희곡전집』(성문각, 1971)
「극작가수업삼십년」(류치진, 『현대문학』 1권 5호, 1955)
『한국신극사연구(韓國新劇史硏究)』(이두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류치진(柳致眞)과 애란연극(愛蘭演劇)」(여석기, 『한국연극의 현실』, 동화출판공사, 1974)
『한국현대희곡사』(류민영, 홍성사, 1982)
집필자
여석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