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만갑 ()

국악
인물
일제강점기 조선성악연구회를 조직하여 제자양성에 힘쓴 판소리의 명창.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5년(고종 2)
사망 연도
1939년
정의
일제강점기 조선성악연구회를 조직하여 제자양성에 힘쓴 판소리의 명창.
개설

전라남도 구례읍 봉북리(鳳北里)에서 태어났다. 순조 때 가왕(歌王)으로 칭호를 받던 흥록(興祿)의 종손이며, 철종 때 명창 우룡(雨龍)의 아들로 판소리 명문에서 태어났다.

생애 및 활동사항

7세 때부터 아버지에게서 판소리를 공부하였고, 천재적 재질이 있어 13세 때에는 소년 명창으로 이름이 자자하였다. 아명(兒名)이 밤쇠였는데 어린 나이로 전주대사습(全州大私習)에 나가 성인들을 무색하게 하였다.

전라감사한테서 참봉직을 받았고, 원각사(圓覺社) 시절에는 여러 차례 어전에서 소리를 하여 고종한테서 감찰직(監察職)을 제수 받았으며, 원각사 폐쇄 뒤에는 궁내부(宮內部)의 별순검(別巡檢)의 직을 3개월 정도 수행하였다.

어느 때 서편제(西便制) 선배 명창 정창업(丁昌業)의 소리를 듣고 뜻한 바 있어 집안에서 대대로 내려오는 고매한 동편제(東便制)에 새로운 통속적인 소리조를 가미하여 불렀다. 이 때문에 집안에서 쫓겨나 객지로 돌아다니며 소리를 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 서울에 올라와 김창환(金昌煥)과 함께 원각사 간부로 있으면서 판소리와 창극공연에 힘을 기울였다. 1934년에 이동백(李東伯)·정정렬(丁貞烈) 등과 함께 조선성악연구회(朝鮮聲樂硏究會)를 조직하여 제자양성과 창극공연에 힘쓰다가 74세로 죽었다.

생전에 많은 제자를 길러 장판개(張判介)·박중근(朴重根)·김정문(金正文)·박봉래(朴奉來)·박녹주(朴綠珠) 등 쟁쟁한 명창들을 배출하였다. 그러나 이상하게 그의 제자들이 일찍 세상을 떠나 소리가 많이 전승되지 못하였다.

그의 소리는 매우 정교하고 치밀하나 아니리가 부족하였다. 일제강점기에 판소리교육과 더불어 창극공연을 많이 하였으며 이때 취입한 음반도 많이 남아 있다.

판소리 다섯마당을 두루 잘 하였고, 특히 <춘향가>·<심청가>·<적벽가>를 잘 하였다. 일제 때의 음반 중 <수궁가>의 ‘고고천변(皐皐天邊)’, <춘향가>의 이별가(離別歌) ‘날다려가오’, 단가(短歌) 중 ‘진국명산(鎭國名山)’ 등은 걸작이었다.

참고문헌

『한국의 판소리』(정병욱, 집문당, 1981)
『판소리소사』(박황, 신구문화사, 1974)
『조선창극사』(정로식, 조선일보사 출판부, 1940)
「1940년대 판소리와 창극 연구」(김민수,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3)
「송만갑 명창의 출생지 고찰 논의와 그 성격」(김기형, 『판소리연구』28, 2009)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