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하영 ()

목차
관련 정보
오화영
오화영
정치
인물
일제강점기 때,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YMCA 종교부 간사, 신간회 서무부장 등으로 활동하였으며, 해방 이후 조선민족당 당수, 조선정치대학 학장 등을 역임하다가 한국전쟁 때 납북된 목사 · 교육자 · 정치인 ·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국사(菊史), 오화영(吳華英, 吳華泳)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9년(고종 16) 4월 5일
사망 연도
1960년 9월 2일
본관
고창
출생지
황해도 평산군 금암면 대촌리
관련 사건
3·1운동|흥업구락부사건|6·25전쟁
내용 요약

오하영은 일제강점기 수표교교회 목사, 목사경성지회 검사위원, 사동교회 담임목사 등을 역임한 개신교인,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자이다. 1879년 황해도 평산 출생으로 1906년 남감리교 미국인 선교사에게 세례를 받았으며, 1918년 장로목사 안수를 받았다. 3·1운동 민족 대표 33인 가운데 1인으로 독립선언식 후 붙잡혀 2년 6개월의 옥고를 치렀다. 해방 후 건국준비위원회 위원, 조선민족당 당수로 활동하였다. 1950년 납북되었다가 1960년 9월 2일 사망해 북한 애국열사릉에 묻혔다. 1987년 재북 인사에 대한 독립유공 표창의 일환으로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때,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YMCA 종교부 간사, 신간회 서무부장 등으로 활동하였으며, 해방 이후 조선민족당 당수, 조선정치대학 학장 등을 역임하다가 한국전쟁 때 납북된 목사 · 교육자 · 정치인 · 독립운동가.
내용

1879년 황해도 평산군 금암면 대촌리 출생으로 본관은 고창(高敞), 호는 국사(菊史), 다른 이름은 화영(華英, 華泳)이다. 1896년까지 한학을 수학했으며, 동학에 입교해 1894년 갑오농민전쟁에 참여했다가 만주로 갔다. 1906년 만주에서 돌아와 남감리교 미국인 선교사에게 세례를 받으며 기독교인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1909년 남감리회 소속으로 전도생활을 시작해 개성 서구역(1909∼1911), 개성 북부교회(1911∼1913) 전도사를 거쳐 1913년 9월 원산 상리교회로 전임했다. 1914년 8월 23일 김영학(金永鶴), 최태곤(崔泰崑)과 함께 앳킨스 감독(Bishop James Atkins)에게 집사 안수를 받았다.

상리교회 전도사로 있을 때 여성들 스스로 회(band)를 만들도록 제안해 원산여선교회가 창립되었다. 원산여선교회는 앨리스 콥 성경학원(Alice Cobb Bible School)에서 발족되었다. 앨리스 콥 성경학원은 보혜(普惠)여자성경학원 혹은 원산여자성경학원으로 불렸는데 전도부인과 여성지도자들을 많이 양성했다.

1917년 서울 종교교회로 부임해 1918년 10월 장로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1918년 감리교 협성신학교를 졸업했다. 1919년 3 · 1운동 시기 민족 대표 33인 가운데 1인으로 활동했다.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한 후 주1되었다.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른 뒤 만기 출옥하였다.

1922년 5월 수표교교회 담임목사로 부임하였다가 그 해 9월 다시 종교교회(宗橋敎會) 목사로 전임되었으며, 1925년 9월 개성 북부교회(1925∼1927)를 거쳐 1927년 9월 다시 수표교교회 목사로 부임했다. 수표교교회에서 1년간 목회한 후 경성기독교중앙청년회관(YMCA)의 종교부 간사가 되어 일했다. 그 사이 1927년 2월 15일 개최된 신간회 창립대회에서 간사 35명 중 1인으로 선출되었고, 이어 서무부장, 경성지회 검사위원에 선임되었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 때에는 주요한 · 이용설 · 박연서 등과 대책을 강구하던 중 체포되어 두 번째 옥고를 치렀다. 1930년 9월 수표교교회를 사임하였다가 1931년부터 다시 수표교교회 · 상동교회 · 연화봉교회에서 담임목사를 맡았다. 1935년 다시 수표교교회 담임목사가 되었다가 1937년 중부연회에서 퇴회해 수표교교회 본처목사가 되었다. 이후 농업에 종사하다가 1939년 흥업구락부사건으로 다시 체포되어 6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1945년 해방과 함께 건국준비위원회 위원에 선임되었고, 이어 조선민족당 당수가 되었다. 1946년부터는 비상정치회의 위원, 비상국민회의 대의원 정무위원 및 외교협회 이사, 신탁통치반대총동원회 위원,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부회장, 독립전취전국대회 회장, 조선정치학관 관장 및 조선정치대학 기성회장, 조선통일총본부협의원, 남조선과도정부 입법의원 등을 역임했다.

또한 1947년 12월 중간파 세력의 결집체인 민족자주연맹에 참여했으며, 1948년 4월 남북협상에 참여하기 위해 평양에 다녀왔다. 그 해 재단법인 조선정치학관 이사 및 관장이 되었고, 1949년에 조선정치대학(건국대학교의 전신) 학장이 되었다. 1950년 5월 30일 제2대 국회의원으로 서울 종로구에서 당선되었으나 한국전쟁이 일어나 북한군의 서울을 점령 후 북측에 억류되어 그들의 선전 활동에 동원되었다.

1950년 7월 30일 라디오(서울방송)를 통해 ‘ 이승만 정권에 대한 비판과 북조선지지 의사’를 밝혀야 했으며, 이후 북한군 퇴각 때 납북되었다. 1956년 7월 2~3일 열린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결성대회에서 주석단의 1인으로 참석해 최고위원 3인 중 1인, 상무위원 11인 중 1인, 집행위원 29인 중 1인으로 선임되었다. 1960년 9월 2일 사망해 북한 애국열사릉에 묻혔다.

1987년 이후 민주화 분위기 속에서 재북(월 · 납북) 문학인 작품의 해금 등과 함께 재북 인사에 대한 독립유공 표창이 이루어졌는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주2되었다.

참고문헌

『북한정치사연구』Ⅰ 건당·건국·건군의 역사(김광운, 선인, 2003)
『압록강변의 겨울』(이태호 저, 신경완 증언, 다섯수레, 1991)
『한국현대정치사』Ⅰ(송남헌, 한국사료연구소, 1980)
『3·1운동비사』(이병헌, 시사시보사, 1959)
「3·1운동에 미친 민족대표의 역할 재조명: 기독교계 대표 오화영과 유여대를 중심으로」(허동현, 『한국민족운동사연구』46,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6)
「북의 통일정책과 월·납북인의 통일운동(1948~1961년)」(이신철,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5)
「독립유공자공훈록」(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기독교대한감리회 (www.kmc.or.kr)
주석
주1

남에게 붙잡힘. 우리말샘

주2

죽은 뒤에 관등을 올리거나 훈장 따위를 줌. 우리나라의 경우 긴급 상황에서 살신성인의 정신을 실천하다가 사망하거나 위급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신을 희생하여 사회 전체의 본받을 만한 모범이 된 사람, 생전에 큰 공을 세워 국민의 존경을 받으며 덕망을 갖춘 사람에게 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재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