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언 ()

언어·문자
개념
일반적으로 동사와 형용사를 포괄하여 부르는 품사분류의 상위개념.
내용 요약

용언은 일반적으로 동사와 형용사를 포괄하여 부르는 품사분류의 상위개념이다. 형태론적으로는 활용을 하고, 통사론적으로는 주로 서술어의 구실을 수행한다. 동사는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형용사는 사물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낸다. 또 다양한 어미와 연결하여 문장의 거의 모든 성분이 될 수 있다. 용언에는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인 연결관계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화자나 청자 또는 제삼자 사이의 신분이나 지위의 상하관계, 서법이나 시제 등 다양한 문법적인 관계가 나타나기 때문에 문장을 이루는 데서 중추적인 구실을 한다. 일정한 활용형 뒤에서만 쓰이는 용언은 보조용언이라 한다.

정의
일반적으로 동사와 형용사를 포괄하여 부르는 품사분류의 상위개념.
내용

형태론적으로는 활용(活用)을 하고, 통사론적으로는 주로 서술어의 구실을 수행한다. 용언은 동사와 형용사로 나뉘는데, 동사는 주로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형용사는 사물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낸다. 명령형 어미와 청유형 어미를 취할 수 있는 동사와는 달리 형용사는 명령형 · 청유형 어미를 취할 수 없다. 또한 현재 시제의 ‘-느-’는 동사에만 통합 가능하고, 형용사에는 통합이 불가능하다.(먹느냐?/예쁘냐?) 이처럼 동사와 형용사가 서로 구별되는 점이 있지만, 형용사가 계사 없이 바로 서술어로 쓰일 수 있다든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반드시 관형형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은 동사와 거의 동일한 특성이다. 차이점보다는 공통점에 중점을 두고, 형용사와 동사의 분류를 중요시하지 않는 입장에서는 둘을 굳이 구분하지 않고 ‘동사’라는 말로 용언을 가리키기도 한다.

계사(繫辭) ‘이다’도 용언에 속할 것이나, 이에 대하여는 학자마다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최현배와 같이 ‘이다’를 지정사(指定詞, 잡음씨)와 같은 하나의 품사로 따로 세우는 입장도 있으나, 계사를 독립된 품사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용언의 하나로 보는 견해가 차츰 지배적이 되어가고 있다. 학교문법에서는 ‘이다’를 서술격조사로 취급하고 있으나, 이희승은 ‘이다’의 ‘이’를 주1와 같은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렇게 보면 격조사가 활용을 한다든지 체언이 활용을 한다든지 하는 현상이 생기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체언과 용언의 구분 자체가 무의미하게 된다.

기능

용언은 그 다양한 어미와 함께 문장의 거의 모든 성분이 될 수 있다. 명사형어미가 연결되면 명사가 담당할 수 있는 모든 성분이 될 수 있고, 관형사형어미 혹은 부사형어미가 연결되면 관형사나 부사가 담당할 수 있는 모든 성분이 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는 제2차적인 기능으로, 그 본래적인 기능은 어디까지나 어떤 주체나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 성질이나 상태를 서술하는 데 있다. 용언에는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인 연결관계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화자(話者)나 청자(聽者) 또는 제삼자 사이의 신분이나 지위의 상하관계, 서법(敍法)이나 시제 등 다양한 문법적인 관계가 나타나기 때문에 문장을 이루는 데 있어서 그만큼 중추적인 구실을 하게 된다.

용언의 활용형은 어간에 일정한 어미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어간과 어미 사이에 선어말어미(先語末語尾 prefinal ending)나 혹은 보조어간이 오게 된다. 존경의 ‘-시-’, 시제표시의 ‘-았 · 었-, -겠-’, 겸양의 ‘-오-, -옵-, -사오-, -자옵-’ 및 회상의 ‘-더-’ 등이 흔히 쓰이는 선어말어미이다. 피동 · 사동의 ‘-이-, -히-, -리-, -기-’ 등은 일반적으로 파생접미사(派生接尾辭)로 취급된다. 선어말어미가 나타날 수 있는 자리는 ‘(보)-시-었-었-겠-사옵-니-(다)’와 같이 6자리나 된다.(Martin, 1954) 존경이 맨 먼저 오고, 시제 혹은 상의 형태가 그 다음에 오는데 자리가 3개나 있으며, 그 다음이 겸양이고, 그 다음에 공손법 형태가 온다. ‘(보)-시-었-었-겠-사옵-더-이-(다)’와 같이 보면, 공손법 형태 앞에 다시 회상의 ‘-더-’가 나타날 수 있게 되어 선어말어미가 나타날 수 있는 자리는 7개나 된다.

어말어미는 흔히 종결어미와 연결어미 그리고 관형사형어미와 명사형어미로 나뉜다. 연결어미를 접속법이라고도 하는데, 특히 ‘-아 · 어, -게, -지, -고’를 자격형이나 전성법의 부사형어미라고도 한다.

용언의 어간이 활용할 때, 어간이 일정한 모습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그 취하는 어미가 일반적인 어미가 아니거나 어미의 모습이 변할 때 이를 불규칙활용이라고 하며, 이에 대하여 어간이나 어미의 모습이 변하지 않고, 일반적인 어미를 취하는 것을 규칙활용이라고 한다. 불규칙활용에는 어간이 바뀌거나 어미의 형태가 바뀌는 것, 두 가지가 함께 바뀌는 것이 있다. 어간이 바뀌는 것에는 ‘ㅅ불규칙, ㄷ불규칙, ㅂ불규칙’ 등이 있으며, 어미가 바뀌는 것은 ‘여불규칙, 러불규칙’ 등이 있다.

불완전동사 및 보조용언

어간의 모습에도 변화가 없고 어미도 일반적인 것이나, 어간이 취하는 어미가 극히 제한되어 있을 때, 이를 불완전동사라 한다. ‘다오, 달라;가론, 가로되, 가라사대’와 같은 예가 그것이다. 그리고 ‘-고 싶다, -고 있다, -아/어 보다, -아/어 지다, -게 되다, -지 아니하다, -지 못하다’ 등과 같이 일정한 활용형 뒤에서만 쓰이는 용언을 보조용언이라 한다. 동사의 경우는 보조동사 또는 조동사라고 하고, 형용사의 경우는 보조형용사라고 한다.

참고문헌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이선웅, 태학사, 2012)
『국어 용언의 의미 분석』(남경완, 탑출판사, 2008)
『표준국어문법론』(남기심·고영근, 탑출판사, 1985)
『국어문법론』(이익섭·임홍빈, 학연사, 1983)
『문법』(허웅, 과학사, 1979)
『문법』(이응백·안병희, 보진재, 1979)
『문법』(김완진·이병근, 박영사, 1979)
『국어정책론』(김민수, 고려대학교출판부, 1973)
『국어문법사연구』(강복수, 형설출판사, 1972)
『우리말본』(최현배, 정음사, 1959)
『국어학개설』(이희승, 민중서관, 1955)
Korean Morpho-phonemics(Martin, S., Baltimore, 1954)
A Korean Grammar(Ramstedt, G. J., Helsinki, 1939)
주석
주1

자음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두 자음 사이에 끼워 넣는 모음. ‘먹으니’, ‘손으로’에서 ‘으’ 따위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임홍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