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승 ()

이희승
이희승
언어·문자
인물
해방 이후 『한글맞춤법강의』, 『국어학개설』, 『새고등문법』, 『국어대사전』 등을 저술한 국어학자.
이칭
일석(一石)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6년(고종 33)
사망 연도
1989년
본관
전의(全義, 지금의 충청남도 연기)
출생지
경기도 광주
관련 사건
조선어학회사건
내용 요약

이희승은 해방 이후 『한글맞춤법강의』, 『국어학개설』, 『새고등문법』, 『국어대사전』 등을 저술한 국어학자이다. 1896년 출생하여 1989년 사망하였으며 호는 일석이다. 1930년 조선어학회에 입회하여 「한글맞춤법통일안」과 「표준어사정」 사업에 참여하였다. 『한글마춤법강의』(1946)에서는 1933년에 확정된 『한글맞춤법통일안』의 원리를 이론적으로 자세히 설명하였다. 『국어학개설』(1955)에서는 우리나라 국어학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초급국어 문법』(1949)과 이를 보완한 『새고등문법』(1957)과 같은 교과서도 출간하였다. 단어와 어휘 분야에도 관심을 기울여 1961년 『국어대사전』을 발행하였다.

정의
해방 이후 『한글맞춤법강의』, 『국어학개설』, 『새고등문법』, 『국어대사전』 등을 저술한 국어학자.
개설

본관은 전의(全義). 호는 일석(一石). 경기도 광주 출생. 이종식(李宗植)의 맏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03년부터 5년 간 주1에서 한문을 수학하였고, 1908년 이정옥(李貞玉)과 혼인한 다음 곧 상경하여 관립 한성외국어학교 영어부에 입학하였으나, 1910년 경술국치로 이 학교가 폐교되어 3년만에 졸업하였다. 이어 1911년 9월까지 경성고등보통학교에서 수학하고 1912년부터 1913년까지 주2에서 법학을 전공하였다.

1914년 사립 신풍학교(新豊學校) 교원으로 취임하고, 한편으로 1915년 사립 중동학교 야간부에 다녔으며, 이어 1918년 사립 중앙학교 4년을 졸업하였다. 같은 해 경성직뉴주식회사(京城織紐株式會社)에 서기로 입사하여 근무하다가 1919년부터 4년 반 동안 경성방직주식회사에 근무하였다.

1923년 전문학교 입학 검정 시험에 합격하여, 1925년 연희전문학교 수물과(數物科)를 졸업하고 이어 1927년 경성제국대학 예과를 수료한 다음, 1930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조선어학 및 문학과를 졸업하였다.

같은 해 주3에 입회하여 간사(이사)와 간사장(대표간사) 등을 역임하면서 이 회에서 추진하고 있던 「한글맞춤법통일안」(1933년 완성)과 「표준어사정(標準語査定)」(1937년 완성)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한편, 1930년 경성사범학교 교유(敎諭), 1932년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직에 취임하여 국어학 및 국문학을 강의하다가, 1942년 10월 1일 주4으로 검거되어 함경남도 홍원경찰서와 함흥형무소에서 1945년 8월 17일까지 3년 동안 복역하였다.

광복 후 1945년 12월 새로 개교한 경성대학 법문학부 교수에 취임하고, 1946년 10월 22일의 학제개편으로 국립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되어 국어학연구의 선구자로서 후진 국어학도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1952년 서울대학교대학원 부원장, 1957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장 등을 역임하고, 1960년 4월 25일 3 · 15부정선거규탄 대학교수단 데모에서는 앞장을 섰다. 1961년 9월 30일 서울대학교를 정년퇴임함과 동시에 서울대학교로부터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4년 3월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에 피선되고, 1962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에 피임되었으며, 1963년 8월 동아일보사 사장에 취임하여 2년 동안 군사정권 아래에서의 언론창달에 진력하였다.

1965년 9월 대구대학 대학원장에 피임되어 학계에 복귀한 뒤, 1966년부터 1969년까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장을 역임하였으며, 1971년부터 1981년까지 단국대학교 부설 동양학연구소 소장직을 맡아 국학 및 동양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한편, 1969년부터 19년 동안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회장으로서 국한문혼용 주장 등 어문교육 시정에 힘썼고, 1968년부터 20년 동안 현정회(顯正會) 이사장으로서 단군의 존숭사업에 공헌하였다.

학문적 업적은 국어학분야가 주이면서도 국문학분야에도 걸쳐 있어서, 첫번째 저서가 1938년에 간행된 『역대조선문학정화(歷代朝鮮文學精華)』 상권이었으며, 이어서 1946년에 『조선문학연구초(朝鮮文學硏究鈔)』가 출간되었다.

시집으로 『박꽃』(1947) · 『심장의 파편』(1961)등이 있으며, 수필집으로 『벙어리 냉가슴』(1956) · 『소경의 잠꼬대』(1964) 등이 있다.

1946년에 출간된 『한글마춤법강의』는 1933년에 확정된 『한글맞춤법통일안』의 원리를 각 항마다 이론적으로 자세히 설명한 것으로, 일찍이 조선어학회의 기관지인 『한글』에 1938년부터 1940년까지 20회에 걸쳐서 연재한 것을 하나로 모으고 일부 내용을 보완한 책이다.

또한, 1947년에 간행된 『조선어학논고(朝鮮語學論攷)』는 1930년부터 1940년까지에 발표하였던 20여편의 논문 가운데에서 16편만을 수록한 것이다. 이러한 기초적인 연구 끝에 1955년에 간행된 『국어학개설(國語學槪說)』은 우리나라 국어학연구의 방향을 제시한 명저였다.

그의 문법에 관한 이론은 대학에서의 문법론 강의자료에 상당히 많은 분량에 걸쳐 나타나 있었으나, 공간(公刊)되지 못하여 중고등학교의 문법교과서를 통해서 문법체계를 엿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교과서로는 『초급국어 문법』(1949)과 이를 보완한 『새고등문법』(1957)을 출간하였는데, 문법을 정의하기를 ‘단어와 단어가 서로서로 관계를 맺어서 글월을 이루는 법칙’이라 하고, 문법의 영역을 총설 · 품사 · 글월[文]의 3부문으로 하였다.

이는 최현배(崔鉉培)『우리말본』(1937) 등에서 문법의 영역을 소리갈[音聲學] · 씨갈[詞論] · 월갈[文章論]과 같이 음성학이나 음운론 분야를 문법학에 포함시켜 오던 연구태도와는 다른 것이었다.

또, 용언의 활용어미는 독립된 품사로 인정하지 않았으나, 체언과 결합되는 여러 가지 주5어미는 이를 독립된 단위로 인정하여 ‘조사’라고 하였으며, 체언에 조사가 결합되는 언어형식을 ‘어절(語節)’이라고 하고, 품사론의 단위는 단어, 글월의 단위는 어절로 잡았었다.

품사는 명사 · 대명사 · 동사 · 형용사 · 존재사 · 관형사 · 부사 · 감탄사 · 접속사 · 조사로 하고, 지정사(指定詞) ‘이다'는 체언의 활용인 서술격조사로 처리하였다.

그의 이러한 문법체계는 최현배의 문법체계와 더불어 우리나라 문법체계의 2대계열을 형성하여 왔다. 문법론 이외에도 단어와 어휘분야에도 큰 관심을 기울여 1961년에 발행한 『국어대사전』(수록어휘 257,854)은 또 하나의 위대한 업적이었다.

1957년 학술원공로상, 1960년 서울특별시교육공로상,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1978년 인촌문화상, 1989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등을 받았다.

참고문헌

『일석선생의 학문세계』(강신항, 현정회, 1990)
「일석이희승박사연보」(『국어학』14, 1985)
주석
주1

예전에, 한문을 사사로이 가르치던 곳.    우리말샘

주2

1905년 엄주익(嚴柱益)이 서울에 창설한 사립 학교. 지금의 양정 중ㆍ고등학교의 전신(前身)이다.    우리말샘

주3

1931년 11월에 조선어 연구회를 고친 것. 국어의 연구ㆍ발전을 목적으로 한 민간 학술 단체로, 일제의 탄압 아래 꾸준히 우리말을 연구ㆍ보급해 왔으며, 뒤에 한글 학회로 이름을 고쳤다.    우리말샘

주4

1942년 10월에 일본어 사용과 국어 말살을 꾀하던 일제가 조선어 학회의 회원을 투옥한 사건. 일제는 조선어 학회를 학술 단체를 가장한 독립운동 단체라고 꾸며, 회원들에게 혹독한 고문을 자행하였다. 이 사건으로 학회는 해산되고 편찬 중이던 국어사전 원고의 상당한 부분이 없어졌다.    우리말샘

주5

인도ㆍ유럽어에서 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따위의 격(格), 수(數), 성(性)에 의한 굴절을 이르는 말. 국어에서는 명사, 대명사와 같은 체언에 격조사가 붙는 형태를 가리킨다. 곡용 어간은 체언, 곡용 어미는 격 조사로 처리하나, 학교 문법에서는 곡용을 인정하지 않는다.    우리말샘

집필자
강신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