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차 ()

목차
고대사
제도
삼한시대 소국(小國) 지배자의 칭호.
목차
정의
삼한시대 소국(小國) 지배자의 칭호.
내용

당시 지배자들 중에서 신지(臣智)보다 격이 낮은 하급지배자를 가리킨다. 신라 17관등의 하나인 대오지(大烏知, 15등)·소오지(小烏知, 16등)의 ‘오지’와 같은 말로서, 촌락단위의 공동체조직인 ‘두레’의 최고책임자에 대한 칭호, 또는 소규모 군현의 촌장이라는 뜻을 가진 용어로 풀이되기도 한다.

삼한사회에서 각 소국의 정치권력이 강화됨에 따라 소규모 집단들은 우세한 집단들에게 통합되고 그 족장들도 신지와 같은 유력한 수장(首長)의 지배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따라서, 독자적이고 대등한 위치에 있던 신지와 읍차도 점차 상하 지배·복속의 관계로 발전하고, 신지는 국읍(國邑 : 소국의 중심이 되는 대읍락)의 지배자로서 소국 전체를 통할하고, 읍차는 소별읍(小別邑 : 국읍 세력에 통합된 소규모 집단의 중심읍락)의 족장으로서 소국의 일부로 편제되어갔다.

참고문헌

『삼국지(三國志)』
『후한서(後漢書)』
「삼한(三韓)문제의 연구」(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삼한(三韓)의 국읍(國邑)과 그 성장에 대하여」(이현혜, 『역사학보』 69, 1976)
집필자
이현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