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계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개념
조선 왕조를 건국한 태조 이성계에 관한 설화.
내용 요약

「이성계 설화」는 조선 왕조를 건국한 태조 이성계에 관한 설화이다. 이성계의 행적과 조선 개국에 얽힌 숨은 사건에 관한 이야기로, 왜적을 물리친 그의 신화 영웅적인 능력을 칭송하는 이야기뿐만 아니라, 신하로서 고려 왕조를 멸망시킨 부정적인 인물로 평가한 이야기가 있다.

키워드
목차
정의
조선 왕조를 건국한 태조 이성계에 관한 설화.
내용

「이성계 설화」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대동야승(大東野乘)』 · 『동사강목(東史綱目)』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성호사설(星湖僿說)』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등의 자료에 상세하게 전한다.

인물전설(人物傳說)의 경우 대체로 언급되는 인물에 대하여 각편마다 평판이 일치하거나 비슷한 경향을 띠게 되는데, 「이성계 설화」의 경우는 상당히 다른 층위(層位)를 가지면서 전개된다.

「이성계 설화」가 전승되는 계층과 지역에 따라 이성계는 신화 영웅적 능력을 갖춘 위대한 인물로 나타나기도 하고, 신하로서 임금을 벤 배격(排擊)하여야 할 인물로 그려지기도 하며, 민중 영웅을 죽이고 왕이 된 부정적인 인물로 평가되기도 한다.

이성계를 신화적 능력을 갖춘 위대한 인물로 묘사한 설화는 그의 빼어난 능력이 왕조의 창업에 이르게 되었으므로, 조선 왕조의 건국이 당연하다는 논리를 펼침으로써 조선의 정통성(正統性)을 확보하자는 정치 주5의 하나로 창작된 것들이다.

이와 같은 내용의 설화들은 의도적으로 창작되고 거듭 전승되면서 폭넓게 수용된다. 그리고 건국의 시조(始祖)들을 찬양하고, 조선 왕조의 창업(創業)을 합리화(合理化)하자는 내용의 설화를 노래로 창작한 것이 바로 「용비어천가」이다.

이성계는 고려의 영웅들처럼 말 잘 타고 활 잘 쏘며, 용맹(勇猛)이 뛰어난 무장(武將)이다. 그가 남북 외적과 싸워 나라를 구출한 활약상(活躍相)을 다룬 대목이 상당히 많다. 특히, 왜구(倭寇)를 토벌할 때의 광경을 묘사한 대목이 가장 박진감이 넘치며 흥미롭다. 설화마다 이성계의 용맹성과 뛰어난 활 솜씨 · 현명함을 강조한다.

이성계가 말을 타고 돌로 된 벽을 올라가 왜구를 무찔렀는데, 이와 같은 그의 활약은 다른 사람이라면 말을 몇 번 뛰어오르게 하여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고 한다. 뛰어난 활 솜씨를 알리는 여러 각편들은 주로 왜장(倭將) 아지발도와의 싸움에서 상세히 묘사된다.

‘인월(引月)’ · ‘피바위’ 등의 지명은 이성계의 신통력(神通力)과 관련되어 있는데, 왜구와의 전투가 밤까지 이어져 달이 산을 넘어가려 하자 이성계가 달을 끌어올려 대승(大勝)을 거두어서 그 지역을 인월이라 하고, 이성계의 화살을 맞은 왜구 대장 아지발도의 피가 바위를 붉게 물들여 이 바위를 ‘피바위’라 한다. 패주(敗走)하는 적을 끝까지 추적하지 않고 살려 주는 덕장(德將)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주로 이성계가 왕이 되기 전의 행적을 다루면서, 외적을 물리치고 민족을 위기에서 구출하였기에 새 왕조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정통성을 확보하였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지향과는 대조적으로 이성계가 등장하는 다른 설화에서는 이성계를 ‘신하로서 임금을 벤[以臣伐君]’ 패륜적인 인물로 평가하며, 그에 대한 적대감을 표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의 경우, 고려 왕조를 멸망시킨 이성계에 대한 적대감이 노골적(露骨的)으로 표방되어 있는 각편이 상당수 있으며, 개성 사람들의 이성계에 대한 반발을 생활 문화에 반영한 삽화(揷話)도 많다.

조선에 나와서 벼슬하라는 이성계의 요청을 거부하고 72명의 선비가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서 평생을 나오지 않았다는 설화에서 ‘두문동’은 말 그대로 이성계를 인정하지 않고 주20’하겠다는 고려 주21들의 의지를 표명해 주고 있다.

‘부조현(不朝峴)’과 ‘갓걸재’ 등의 지명전설(地名傳說)도 조선에 주22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고는 갓도 벗어서 걸어 두고 고개 넘어 숨어 버린 선비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것으로 「이성계 설화」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하겠다.

이성계가 기해생 돼지띠이므로 돼지고기로 국을 끓이고는 ‘성계탕’이라고 부른다는 이야기나, 떡국을 만들 때 떡을 칼로 가지런히 썰지 않고 손으로 수제비를 뜨듯 둥글게 떼어 넣고는 ‘조랑떡국’이라고 하면서 사실은 이성계의 목을 비트는 것으로 인식하기도 한다.

이 계통의 이야기들은, 이성계가 고려를 뒤엎고 왕이 되자 그의 행위에 대하여 반발하는 유신들과 개성 사람들의 태도를 반영한 것으로, 고려 왕조에 대한 충절(忠節)과 이성계의 부도덕함을 강조하며 분풀이하는 내용의 것이 주24을 이룬다. 이성계에 대한 또 다른 평가를 보여 주는 설화로 다음과 같은 것도 전하여진다.

이성계가 왕이 되고자 하여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산신(山神)들에게 동의를 구한다. 그런데 유독 지리산의 여산신은 그를 지지하지 않고 민간의 영웅인 우투리를 내세운다. 그러자 이성계는 술수(術數)를 써서 당시에 왕으로 예정되었던 민중 영웅인 우투리를 죽이고 자신이 왕이 되었다. 이 설화는 「아기장수 설화」의 유형과 같은 것이다.

또 다른 각편으로 이성계가 전국을 돌아다닐 때 산신회를 엿들었는데, 그 내용은 지리산의 여산신은 정 도령을 지지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정 도령을 없애려고 찾아다녔는데, 정 도령은 주26를 쓰고 다니면서 신출귀몰(神出鬼沒)하여 잡지 못하였다는 내용이다.

이 설화는 이성계가 진정한 민중의 왕이 아니며, 진정한 인물은 따로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설화는 도참서의 영향을 받아서 형상화된 것으로서 사회가 어수선할 때나 변혁기(變革期)에는 각각 해당하는 인물을 ‘정진인’ · ‘ 홍경래(洪景來)’ 등으로 달리 바꿔 가면서 나타나 일정하게 작용하였다.

이 밖에도 퉁두란과 의형제를 맺었다가 대결하여 죽이거나, 주29과 대립하고 조선을 세웠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이성계에 관한 부정적 · 긍정적 인식이 동시에 표출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원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대동야승(大東野乘)』
『동사강목(東史綱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성호사설(星湖僿說)』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최상수, 『한국민간전설집』(통문관, 195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1980∼1988)

논문

문재윤, 「조선 건국과 이성계 설화의 정치적 함의」(『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10,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이화영, 「이성계설화의 전승과 의미 연구」(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주석
주1

어떤 유(類)의 언어 요소가 전체 언어 구조에서 차지하는 위치. 음(音)에서 문장에 이르기까지 하위(下位)의 요소가 상위(上位)의 요소에 포함되는 밀접한 계층적 관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언어의 분석 단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예를 들어 음소보다 높은 층위의 기술로서 형태소를 설정하거나, 다시 형태소의 구조를 음소라는 낮은 층위의 단위를 바탕으로 기술하여 그 분석에 능률을 기한다. 우리말샘

주2

어떤 사상, 의견, 물건 따위를 물리치다. 우리말샘

주3

통치를 받는 사람에게 권력 지배를 승인하고 허용하게 하는 논리적ㆍ심리적인 근거. 베버(Weber, M.)의 카리스마적 정통성, 전통적 정통성, 합법적 정통성의 세 유형이 유명하다. 우리말샘

주4

문화, 풍속, 제도 따위가 이어받아져 계승되다. 또는 그것이 물려받아져 잇게 되다. 우리말샘

주5

연설을 통해 대중을 조작하거나, 특정 정치적 방향으로 대중을 유도하는 일. 대중에게 자의적 내용의 정보가 일방적으로 전달된다. 우리말샘

주6

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우리말샘

주7

나라나 왕조 따위를 처음으로 세움. 우리말샘

주8

사건이나 행위를 기존 체계의 다른 부분들과 연관하여 수용할 만한 논리를 추구하거나 찾음. 또는 그런 태도. 우리말샘

주9

용감하고 사나움. 우리말샘

주10

무관으로서의 장수. 우리말샘

주11

활발히 활동하는 모습. 우리말샘

주12

이야기나 글 따위의 특정한 부분. 우리말샘

주13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우리나라 연안을 무대로 약탈을 일삼던 일본 해적. 우리말샘

주14

일본 장수를 낮잡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5

무슨 일이든지 해낼 수 있는 영묘하고 불가사의한 힘이나 능력. 불교에서는 선정(禪定)을 수행함으로써 이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16

싸움이나 경기에서 크게 이김. 우리말샘

주17

싸움에 져서 달아남. 우리말샘

주18

숨김없이 모두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19

어떤 이야기나 사건의 줄거리에 끼인 짤막한 토막 이야기. 우리말샘

주20

세상을 피하여 집에서 숨어 살면서 나라나 사회의 일을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1

왕조가 망한 뒤에 남아 있는 신하. 우리말샘

주22

모든 벼슬아치가 함께 정전에 모여 임금에게 문안드리고 정사를 아뢰던 일. 대조(大朝), 조참(朝參), 상참(常參)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3

충성스러운 절개. 우리말샘

주24

사물의 주류. 우리말샘

주25

어떤 일을 꾸미는 꾀나 방법. 우리말샘

주26

짚, 띠 따위로 엮어 허리나 어깨에 걸쳐 두르는 비옷. 예전에 주로 농촌에서 일할 때 비가 오면 사용하던 것으로 안쪽은 엮고 겉은 줄거리로 드리워 끝이 너털너털하게 만든다. 우리말샘

주27

귀신같이 나타났다가 사라진다는 뜻으로, 그 움직임을 쉽게 알 수 없을 만큼 자유자재로 나타나고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8

급격히 바뀌어 달라지는 시기. 우리말샘

주29

중국 명나라의 제1대 황제(1328~1398). 자는 국서(國瑞). 묘호(廟號)는 태조(太祖). 창장강(長江江) 일대를 평정하고 국호를 명(明), 연호를 홍무(洪武)라 하였다.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과거 제도의 정비, 대명률의 제정, 전국의 토지ㆍ호구 조사와 같은 많은 업적을 남겼다. 우리말샘

집필자
홍나래(성공회대학교 학술연구교수, 구비문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