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경욱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청북소모장, 신도진수군첨절제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경식(敬植)
시호
충양(忠襄)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60년(영조 36)
사망 연도
1812년(순조 12)
본관
칠원(漆原)
출생지
진주(晉州)
주요 관직
신도진수군첨절제사 겸 방어장
관련 사건
홍경래의 난
정의
조선후기 청북소모장, 신도진수군첨절제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경식(敬植). 성주목사 제말(諸沫)의 6세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으로 운총만호(雲寵萬戶)가 되어 군기(軍器)를 수리하는 등 군비에 만전을 기하였으며, 해서우후(海西虞候)가 되어 군비를 쇄신할 때 군민(軍民)의 폐를 끼치지 않았다.

1811년(순조 11)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나자 관서절도영(關西節度營)의 청북소모장(淸北召募將)이 되어 절도사 이해우(李海愚)의 휘하병 200명을 인솔, 청천강을 건너가 많은 군병을 모집하였다.

정주에 이르러 현인복(玄仁福)과 더불어 선봉이 되어 정주성 남문을 포격하는 한편, 큰 도끼를 들고 성문을 찍어 성문이 거의 떨어지게 되었으나, 적이 일제히 포를 쏘며 시석(矢石)을 퍼붓자 관군이 모두 달아나게 되었다.

이 모습을 보고 관군의 기율이 해이한 것을 개탄하면서 되돌아와, 신도진수군첨절제사 겸 방어장(薪島鎭水軍僉節制使兼防禦將)에 임명되어 다시 선봉으로 남문에 육박하였을 때, 홍경래군의 일제사격으로 전사하였다.

삼도수군통제사에 추증되고, 난이 평정된 날에 칠의사사(七義士祠)의 단을 쌓아 제사지내졌으며, 정주의 오봉산(五峯山)에 표절사(表節祠)를 세워 제향되었다. 이 때 현판이 하사되기도 하였다. 시호는 충양(忠襄)이다.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매산집(梅山集)』
『관서평난록(關西平亂錄)』
「홍경래난(洪景來亂)」(정석종, 『창작(創作)과 비평(批評)』 25, 197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