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승방략 ()

목차
관련 정보
제승방략(권1)
제승방략(권1)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전기 문신 김종서와 이일이 야인의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함경도 8진과 이에 소속된 각 보의 방수에 대하여 서술한 군서. 병서.
정의
조선전기 문신 김종서와 이일이 야인의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함경도 8진과 이에 소속된 각 보의 방수에 대하여 서술한 군서. 병서.
개설

2권 1책. 목판본. 조선 초기김종서(金宗瑞)가 저술한 것을 1588년(선조 21) 함경북도병마절도사 이일(李鎰)이 다시 시의(時宜)에 맞게 정리, 증수한 것이다.

그러나 현존하는 『제승방략』은 1670년(현종 11)에 함경북도병마평사(咸鏡北道兵馬評事) 이선(李選)이 중간한 것이다.

내용

내용은 권1과 권2의 상반까지에는 도내 각 진(鎭)의 위치와 산천의 형세, 노정(路程)의 원근, 성보(城堡)의 배치, 행군(行軍)의 절목(節目) 등이 자세하게 기술되었다.

그리고 각 진보(鎭堡)에서 일어났던 야인의 침범사건을 고사(故事)로 취급하고 있어 전에 어떠한 사건이 있었던가를 밝히고 있다. 또 적침에 대비한 응변책(應變策)·봉수(烽燧)·복병(伏兵)·체탐(體探)·망해(望海) 등의 배치를 열거하고 향화야인(向化野人)부락의 위치와 추장·호수(戶數) 등도 부기하였다.

권2 끝 부분은 속록(續錄)의 형태로 국경 수비의 군무(軍務) 29조, 금령(禁令) 27조, 육진 군관의 관명(六鎭大分軍) 등을 수록하였다. 끝으로 이일의 「청행제승방략장(請行制勝方略狀)」과 이에 대한 조정의 회답인 「비국회관(備局回關)」, 그리고 「보순영(報巡營)」·「방량식(放糧式)」과 이선의 발(跋)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선조 때의 야인에 대처한 조선시대의 비변책(備邊策)은 물론 두만강 주변의 야인부락 사정도 잘 살필 수 있으며, 연산군 이래의 주요 고사도 알 수 있어 여진관계사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1936년 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에서 『조선사료총간(朝鮮史料叢刊)』제12호로 출간된 뒤, 1982년 정문사(政文社)에서 또 복사판으로 출간되었다. 규장각도서에 원본 2부가 전한다.

참고문헌

『(국역) 제승방략』(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선조실록(宣祖實錄)』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제승방략(制勝方略)」(허선도, 『한국(韓國)의 고전백선(古典百選), 신동아, 1969.1.)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이장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