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찬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우승지, 한성부우윤,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청주(淸州)
주요 관직
동부승지|우승지|행첨지중추부사|한성부우윤|동지중추부사
정의
조선 전기에, 우승지, 한성부우윤,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지순창군사(知淳昌郡事) 한영정(韓永矴)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서성부원군(西城府院君) 한확(韓確)이고, 아버지는 좌의정 한치인(韓致仁)이다. 인수대비(仁粹大妃)의 조카이다. 부인은 이질(李質)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한확의 누이가 중국 선종(宣宗)의 후궁이 되고 성화(成化)황제의 총애를 받으면서, 칙령으로 한씨 족친을 해마다 성절사(聖節使)로 충원하여 입조(入朝)하게 하고, 금대(金帶)와 서대(犀帶)의 착용을 허락하였다.

이 당시 그는 환관 정동(鄭同)과 결탁, 황제의 사신으로 입국하며 잦은 폐단을 야기시키고 임금에게 벼슬을 내릴 것을 요청하여 한씨 족친에게 자급을 더해주기도 하였다. 이로써 한씨 일족은 중국황제의 금은채단의 상사(賞賜) 등으로 부귀를 누리는 한편, 나라에 끼치는 해독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사헌부집의, 동부승지를 거쳐 1483년(성종 14)에는 정동이 그를 성절사로 임명하여 보내기를 청하자 재상의 지위에 있지 않던 그를 2품계를 올려 제수하여 통정대부 수동지사(守同知事)로 삼아 보내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수동지는 사신의 예가 아니라는 주장에 따라 ‘수’자를 빼고 임시로 가선대부의 직함을 띠고 가도록 하는 편법을 취하기도 하였다.

중국의 한씨가 1483년 5월 18일에 죽자 중국 황제가 성절사 한찬을 통해 보낸 칙서에 “그의 집을 후하게 돌볼 것이며, 진공할 때마다 그 친족 한 사람을 보내도록 하라.”는 내용이 들어 있었다.

그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정동도 죽자 한씨 족친의 사행과 사인채(私人債) 등에 관한 논란이 일어 사인채의 별헌(別獻)은 폐지되었다. 우승지·행첨지중추부사 등을 거쳐 1486년 9월 한성부 우윤이 되었다. 이후 동지중추부사가 되어 다시 1487년 8월에 성절사로 중국을 다녀왔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집필자
임민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