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복 ()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봄비』를 저술한 시인.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4년
사망 연도
1986년
출생지
전라남도 함평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봄비』를 저술한 시인.
개설

전라남도 함평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목포시 문태중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예과(豫科)를 마쳤다. 1950년대 중반 무렵 조선대학교에서 시간강사로 재직하다가 1963년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학년에 편입하여 1965년에 졸업하였다. 광주 수피아여학교, 순천고교, 전남고교 등에서 교직생활을 했다.

1954년 「동백꽃」(『문예』 3월호), 「실솔(蟋蟀)」, 「봄비」(『현대문학』 3월호)가 서정주에 의해 추천되면서 등단했다. 서정주는 추천사에서 “상(想)에 헷것이 묻지 않은 게 첫째 좋고 그 배치와 표현에도 성공했으려니와 요즘 시단 시인의 대부분이 뜻면을 찾다가 시에 감동이나 지혜의 움직이는 모양을 주어야 할 것까지를 잊어버리고 천편일률로 ‘이다’ ‘이었다’ ‘하였다’만 되풀이하고 있는 실상에 비해 자기 시의 몸놀림이나마 뜻과 아울러 같이 가져보려고 노력한 점도 요새 일로서는 귀한 작품이다.”라고 하였다. 한자어 대신 우리말을 실감있게 살려낸 「봄비」의 작품이 가진 음악성을 높이 평가하였다.

그의 작품세계는 1930년대 시문학파의 순수시의 시적 전통을 계승한다고 평가받았다.

그는 생전에 34편의 시를 묶어 단 한 권의 시집인 『봄비』(현대문학, 1969)를 발간했다. 이후 여러 문예지에 열심히 작품을 발표하였으나 작품집으로 묶지 않았고 장이지가 『이수복 시전집』(현대문학, 2009)을 펴낸 바 있다. 1994년 광주시 사직공원에 그의 대표시 「봄비」가 새겨진 시비가 건립되었다.

의의 및 평가

이수복 시인은 1930년대 김영랑으로 대표되는 시문학파의 순수시를 계승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시세계가 추구하는 바는 전통적인 서정시의 세계에 맥이 닿아 있는데 특히 조화로운 음조를 고려해 시어를 새롭게 만들어내고 말줄임표를 활용하여 여운을 강조했으며 이런 경향은 시의 음악성으로 나타났다. 서정주 시인의 추천사에서도 드러나듯 이수복 시의 대표적인 서정성은 리듬감, 율조감 등이 어우러진 음악성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앞서 김영랑 시인이 보여준 향토언어 특유의 율동과 섬세한 감수성이 이수복에 이르러 시적 정서로 변주되면서 미묘한 정서의 흐름을 포착한 서정시의 세계로 나타난다. 특히 한국전쟁으로 상처받은 내면이 세계와의 동일시를 추구하는 서정양식을 통해 점차 회복되는 작품세계를 그려내고 있다.

상훈과 추모

전라남도문화상(1955)

현대문학상 신인상(1957)

참고문헌

『이수복 시전집』(장이지 엮음, 현대문학,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