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사찰(裨補寺刹)
우리나라에는 고려 말기에 들어와 조선의 통치 이념이 되었고, 길재ㆍ정도전ㆍ권근ㆍ김종직에 이어 이이ㆍ이황에 이르러 조선 성리학으로 체계화되었다. [→우리말샘](http://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97670) - 『고려사(高麗史)』 - 『고려국사도선전(高麗國師道詵傳)』 - 『도선밀기(道詵密記)』 -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상 - 「도선국사(道詵國師) 비보사탑설(裨補寺塔說)의 연구(硏究)」(양은용, 『선각국사(先覺國師) 도선(道詵)의 신연구(新硏究)』, 영암군, 1988) - 「고려전기(高麗前期) 사원전(寺院田)의 분급(分給)과 경영(經營)」(이병희, 『한국사론(韓國史論)』 18,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8) - 「도선비보사상(道詵裨補思想)의 연원(淵源)」(서윤길, 『불교학보(佛敎學報)』 13,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