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아우와 호랑이의 도움(눈먼 아우와 虎狼이의 도움)
그러나 국내 자료는 두 사람 사이의 관계가 형제 사이라는 점, 비밀 지식을 호랑이나 도깨비 혹은 산신령에게 지시받는 경우도 있다는 점, 최후에 착한 아우가 악한 형을 용서하고 맞아들이는 경우도 있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보아 우애 및 권선징악이라는 주제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 설화에 내포되어 있는 주요 모티프로는 「흥부놀부」의 선악 형제, 「새의 말을 알아듣는 사람」의 도청, 「도깨비방망이」의 모방 실패 등을 들 수 있다. -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 The Types of Folktales(Thompson,S., Helsinki, 1961) - The Folktale(Thompson,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