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재의례문답(明齋疑禮問答)
반면에 안(按)을 한 자 낮추어 쓴 것과 공자·증자 및 우리나라의 이황(李滉)·이이(李珥)·송익필(宋翼弼)·정구(鄭逑)·성혼(成渾)·서경덕(徐敬德)·김집(金集) 등의 설을 한 자 올려 쓴 것은 윤증 자신이 한 것으로 보인다. 권1에 가례도(家禮圖)와 통례(通禮)가 각 1항목, 사당(祠堂) 3항목 등 모두 80여 항목을 싣고 있다. 권2에 관례 26항목, 혼례 38항목 등 80여 항목, 권3에 상례초종(喪禮初終) 6항목, 입상주(立喪主) 7항목, 역복(易服) 3항목 등 상례에 관한 90여 항목, 권4에 상례출후복(喪禮出後服) 29항목, 출가복(出家服) 9항목, 첩서복(妾庶服) 21항목 등 주로 복제에 관한 80여 항목이 실려 있다. 권5에 상례조석곡(喪禮朝夕哭) 4항목, 전(奠) 3항목, 상식(上食) 7항목 등 90여 항목, 권6에 상례우(喪禮虞) 8항목, 졸곡(卒哭) 1항목,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