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라달 ()

목차
고대사
제도
고구려시대의 지방관직.
목차
정의
고구려시대의 지방관직.
내용

고구려는 4세기경부터 각 방면 교통로상의 성(城)·곡(谷)을 단위로 지방통치조직을 정비하기 시작하여 점차 성을 중심으로 하는 일원적인 지방제도를 마련하였다.

『한원 翰苑』에 인용된 고려기(高麗記)에 따르면, 7세기 전반 각 성을 대성(大城)·제성(諸城)·소성(小城)·성(城) 등으로 편제하여 욕살(褥薩)·처려근지(處閭近支)·가라달·누초(婁肖) 등의 지방관을 파견하였다고 한다.

소성에 파견되었다는 가라달은 중국의 장사(長史)에 비견되는 존재로서 막료적·군관적 성격을 띤 특수한 지방관으로 추정되는데, 고위 지방관인 욕살·처려근지의 직할지를 관장하던 막료, 이들의 고위 막료로서 군사적인 소성을 관장하던 자, 변경지역의 현령급 지방관 등으로 보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7세기 전반 고구려 지방통치조직은 대성·제성·성 등 3단계로 이해된다. 한편, 『한원』의 기재 순서를 중시하여 처려근지와 누초 사이의 일반적인 지방관으로 이해하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고구려 률령에 관한 일 시론」(노중국, 『동방학지』 21, 1979)
「고구려의 주·군·현에 대하여」(이승혁, 『역사과학』 1987-1)
「고구려 집권체제 성립과정의 연구」(임기환, 경희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95)
「5∼7세기 고구려의 지방제도」(노태돈, 『한국고대사논총』 8, 1996)
「고구려 중·후기 중앙집권적 지방통치체제의 전개과정」(김현숙, 『한국고대사연구』 11, 199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