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남도 ( )

목차
관련 정보
중국 고구려 남도 중 망파령차단성 성벽
중국 고구려 남도 중 망파령차단성 성벽
고대사
지명
고구려시대의 요동 평원에서 고구려 국내성(國內城)에 이르는 교통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구려시대의 요동 평원에서 고구려 국내성(國內城)에 이르는 교통로.
내용

4세기 전반 이 교통로에는 남도와 북도 두 갈래가 있었다. 남도가 험하고 좁았던 반면 북도는 평탄하고 넓었다. 남도상에는 목저성(木底城)이 위치했다고 한다.

342년(고국원왕 12)전연(前燕)모용황(慕容皝)이 남도로 기습 공격했을 때, 고국원왕은 전연이 북도로 침공하리라 예상하고 북도로 주력군을 파견하고, 나머지 군대를 거느리고 남도 방어에 나섰다가 목저성에서 크게 패하였다.

남도와 북도의 종착점을 국내성으로 보는 데에는 이견이 별로 없지만, 분기점에 대해서는 분분하다. 일반적으로 혼하(渾河)·소자하(蘇子河) 합류지점을 분기점으로 보지만, 혼강(渾江)·부이강(富爾江) 합류지점, 부이강 상류의 왕청문, 소자하 연안의 영릉진 등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그 밖에 국내성을 종착점으로 설정하지 않고 혼하·소자하 합류지점에서 흑구산성(黑溝山城), 요동평원에서 소자하, 전연의 수도인 용성(龍城 : 朝陽)에서 혼강 등에 이르는 교통로로 보기도 한다.

이처럼 남·북도 경로의 다양한 견해는 ‘남도험협(南道險狹)’·‘북도평활(北道平闊)’을 기준으로 삼아 경로를 설정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남도상의 목저성이 소자하 연안에 비정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남도가 소자하 연안을 경유한 것은 틀림없다.

한편, 남도가 국내성∼요동지역의 전통적인 교통로, 북도는 고구려∼부여 및 요동∼부여 교통로의 일부가 합해진 오래된 경로라는 사실에 착안해 4세기경 남도·북도 등 각 방면 교통로를 매개로 지방통치조직을 정비하던 모습을 밝힌 연구성과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3세기 후반∼4세기 전반 고구려의 교통로와 지방통치조직」(여호규, 『한국사연구』 91, 1995)
「고구려의 남도·북도와 환도성의 위치에 대하여」(손영종, 『역사과학』 1989-3·4, 1989)
『東北歷史地理』 二( 孫進己·馮永謙, 黑龍江人民出版社, 1989)
『東北古代交通』(王綿厚·李健才, 瀋陽出版社, 1988)
「高句麗南北道新探」(梁志龍, 『社會科學戰線』73, 1995)
「關于高句麗南北交通道」(?達, 『博物館硏究』 1993-3)
「吉林集安高句麗南道和北道上的關隘和城堡」(集安縣文物管理所, 『考古』 1964-2)
「南北朝時代の滿洲」(箭內恒, 『滿洲歷史地理』 1, 1913)
「高句麗前期·中期の遼東進出路」(田中俊明, 『朝鮮社會の史的展開と東アジア』, 山川出版社, 1997)
「高句麗の南北道と南蘇·木底」(今西春秋, 『靑丘學叢』 22, 1935)
「高句麗時代の新城木底城及び南蘇城について」(津田左右吉, 『滿鮮地理歷史硏究報告』 1, 191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